• 제목/요약/키워드: Allozyme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D. melunogaster species group의 발생단계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유전적 유연관계 III. 효소분석 (Genetic Relationships and Protein Variations during Development within the Drosophila melanogaster Species Group. III. allozyme Analysis)

  • 이택준;홍경자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80-591
    • /
    • 1994
  • 한국산 Drosophila melanogaster species group 8종의 생화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3령기 유충, 말기 번데기, 성체의 세 발생단계에서 각각 효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Rogers의 공식에 의해 각 발생단계 별로 8종간의 유전적 유사도를 계산하고 그 값을 근거로 UPGMA법에 의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발생단계에 따라 관찰된 효소allele의 빈도는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는 효소의 활성도나 유전자 발현의 발생단계별 차이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발생단계별 효소분석 결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세 발생단계에서 모두 같은 pattern의 dendrogram이 얻어졌다. 따라서 대소 분석은 성체뿐만 아니라 유충이나 번데기와 같은 초기발생단계를 재료로 취할 때에도 종간 유연관계의 분석에 유용한 분석법이 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세 발생단계에서 효소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볼 때 D. melanogaster species group 8종은 크게 두개의 계통으로 나뉘었는데 D. melonogaster와 여. simulons, D. lutescens가 한 계통에 속했고 D. suzukii와 D. aurauia, D. biourariu, D. trioururia, D. rufa가 다른 한 계통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섬집단에 있어서 D.melanogaster의 효소좌위와 염색체간의 연관관계

  • 강영순;김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7-95
    • /
    • 1992
  • 한국의 세 섬집단으로부터 채집한 Drosophila melanogaster를 대상으로 465개의 haploid genome을 추출한 후, 제 2염색체 상에 위치한 Gpdh와 각서 유전자 및 In(2I)t의 빈도를 조사하여 이들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Gpdh와 Adh 효소 좌위 사이 에 유의 한 연관 불평형 이 제주도와 울릉도집 단에서 관찰되었으며 , Gpdh와 In(2I)t, Adh와 In(21)t 사이에 모두 유의한 연관 불평형이 제주도, 영종도 그리고 울릉도집단에서 관찰되었다. 조사된 전체 genome들 중에서 In(21)t 를 가지고 있는 염색체의 98%(48/49)가 Gpdhf와 Adhs형으로 연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이들 효소 좌위 사이에 나타난 연관 불평형은 In(21)t와의 hitchhiking현상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되며 본 섬집단에서 그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 특산식물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populations of the Korean endemic Eranthis byunsanensis (Ranunculaceae))

  • 소순구;이병순;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53-259
    • /
    • 2012
  • 한국특산식물이며 희귀식물인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의 보전을 위해 5개 자생지 집단을 대상으로 9개의 allozyme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변산바람꽃 집단의 대립 유전자의 수(A)는 2.4개, 다형적 유전좌위의 비율(P)은 90.0%, 이형접합자의 평균 기대치($H_E$)는 0.311을 나타내어 분포 역이 넓은 특산식물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구조분석 결과 집단간 $F_{IS}$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고 집단간 유전적 분화도는 낮은 결과(0.131)를 보였다. 집단간 높은 유전적 변이, 낮은 유전적 분화, 이형접합자의 결여양상은 이 종이 최근 고립되어 서식지의 단편화를 경험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유전적 확산을 막아 집단의 근친교배율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마이산과 나로도 자생지는 집단의 작은 크기와 종의 생존을 위협하는 인간활동에 의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유전적 변이가 다소 높고 분화가 적은 변산바람꽃 집단의 합리적 보전을 위해서는 특정한 집단에 대한 보전의 우선권을 설정하는 것 보다 전체 집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근친교배율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울릉도 희귀.특산 식물 섬현호색의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a Rare and Endemic, Spring Ephemeral Plant Corydalis filistipes Nakai of Ullung Island in Korea)

  • 김진석;양병훈;정재민;이병천;이재천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247-252
    • /
    • 2006
  • 울릉도의 특산 식물종으로서 희귀식물종이며, 춘계 단명성 식물로서 개미에 의해 종자 산포가 이루어지는 섬현호색(Corydalis filistipes Nakai) 4개의 아집단에 대하여 합리적인 보전 및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하여 9 개의 동위효소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 대립 유전자의 수(A)는 1.73개, 95% 수준에서 다형적 유전자좌의 비율은(P)은 61.2%, 이형접합체의 평균 관측치(Ho)는 0.201, 기대치(He)는 0.167로서 분포역이 넓은 특산 식물 종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섬에 고립된 유사한 생활사를 갖는 특산식물 종들에 비해서는 높은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소집단이기는 하나 적정수준의 개체수가 유지되고 있고, 타가수정을 주로 하며 개미에 의해 종자 산포가 이루어져 적응력이 높고, 또한 폐쇄화에 의한 유 무성 번식 체계를 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유전적 구조분석 결과 아집단내($F_{IS}$)와 전체 아집단($F_{IT}$)의 근친교 배계수가 각각 -0.1889 와 -0.1226로서 H-W의 평형구조에 비해 이형접합자의 빈도가 높았으며, 아집단간 유전적 분화도는 매우 낮은($F_{ST}=0.0557$)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희귀 및 특산 식물종인 섬현호색의 유전적 변이의 유지 기작과 합리적인 보전과 관리 대책을 논의하였다.

각시족도리풀(Asarum misandrum)의 유전적 다양성 및 집단 구조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sarum misandrum (Aristolochiaceae) in Korea)

  • 소순구;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81-187
    • /
    • 2013
  • 한국과 일본에만 한정 분포하는 각시족도리풀(Asarum misandrum) 4개 집단의 자생지 상태와 합리적인 보전전략의 수립을 위하여 7개의 allozyme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적 다양성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각시족도리풀 집단의 대립 유전자의 수(A)는 2.05개, 다형적 유전좌위의 비율(P)은 71.4%, 이형접합체의 평균 기대치($H_E$)는 0.294를 나타내어 분포 역이 넓고 주로 내륙에 분포하는 특산식물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자가수분이 가능하지만 타가수정을 주로 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전적 구조분석 결과 집단간 $F_{IS}$는 양의 값을 나타내었고 집단간 유전적 분화도는 매우 낮은 결과(0.112)를 보였다. 각시족도리풀의 자생지가 비록 적정 수준의 유전적 다양도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의 남쪽지방에만 한정분포하는 특징, 불연속적이고 분산되어있는 자생지의 상태, 대부분의 자생지에서 적은 개체가 나타나며 특이하고 희귀한 꽃 때문에 남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은 이 식물의 보전을 위한 관심을 필요로 한다. 각시족도리풀은 최근에 기록되어 현재 희귀식물로 지정된 종은 아니지만 보전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며 이 종의 보전을 위해 종 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 유전적 변이의 유지기작을 포함한 합리적인 보전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돌나물(돌나물과)집단의 유전적 변이: 남부지방 집단의 기원에 대한 암시 (Notes on genetic variation in Sedum sarmentosum (Crassulaceae): Implications for the origin of southern Korean populations)

  • 정미윤;;정명기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1-377
    • /
    • 2016
  • 다년생 다육식물인 돌나물은 한반도 중남부에 흔하게 자란다. 이 종은 중국 고유종이며, 아마도 식용과 약용 때문에 한반도에 도입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만약 식물이 단일 공급원에서 한반도로 도입되었다면, 저자들은 남한집단에서 유전적 변이가 없거나 낮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 한두 곳에서 도입되었다면 알로자임 변이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식물종이 여러 곳에서부터 도입되었다면, 저자들은 이런 종이 높은 수준의 유전적다양도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측된다. 어떤 가설이 더 타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저자들은 한반도 남부지방 10곳 집단을 대상으로 알로자임 변이를 조사하였다. 저자들은 조사된 15개의 모든 알로자임 유전좌위에서 변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두 동속종(기린초및 바위채송화)과 두 관련 종(둥근잎꿩의비름과 세잎꿩의비름)은 중간 정도 및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H_e$ 값이 각각 0.203, 0.144, 0.201 및 0.204). 저자들은 (한국남부지방, 자생지 및 다른 귀화된 돌나물이 불염이기에) 남부지역에 생육하는 돌나물은 소수의 클론 분주체가 한번 도입된 후 무성적 번식에 의해 넓게 귀화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Genetic Varia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Alder (Alnus hirsuta : Betulaceae) in Korea

  • Park, Joo-Soo;Huh, Man-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4-19
    • /
    • 2000
  • Variation at 25 allozyme loci in Korean wateralder (Alnus hirsuta Rupr.) from nine distinct populations was measured to estimate the amount and pattern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The mean genetic diversity within population was 0.166. Korean alder populations have slightly high levels of genetic diversity compared to those present in associated temperature-zone species and two Canadian alder species. Among population s genetic differentiation accounted for an significant 9% of the total variation. High gene flow(Nm=2.63) was observed.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calculated for all polymorphic loci in each population, showed a substantial deficiency of heterozygotes relative to Hardy-Weinberg expectations. The mean GST value A. hirsuta in Korea (GST = 0.087) is similar to those of A. rogosa in Canada (GST = 0.052). These low values of GST in two countries. reflecting little spatial genetic differentiation, may indicate extensive gene flow (via pollen and/or seeds) and/or recent colonization. These factors reduce the effect of geographic isolation of breeding and the chance for genetic divergence. A pattern of increasing is observed with increasing rainfall per y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54% (F = 4.67) of the variability observed can be explained by this relationship.

  • PDF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llozyme Polymorphisms within a Small Population of Abies nephrolepis in Mt. Ohdae, South Korea

  • Lee, Seok-Woo;Yang, Byeong-Hoon;Lee, Kab Yeon;Song, Jeong Ho;Hur, Seong Doo;Lee, Jung J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2호
    • /
    • pp.144-151
    • /
    • 2008
  • Using 8 isozyme polymorphic loci as gene markers, we studi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enotypes in a naturally regenerated uneven-aged Eastern Siberian Fir (Abies nephrolepis Max.) stand (1ha, $100{\times}100m$) on Mt. Ohdae in northeastern South Korea. Gregorius' distograms and Moran's I correlograms revealed no evidence of significant genetic structure at three spatial classes of 5 m, 10 m, and 20 m. Extensive gene flow, due to the long distance dispersal of pollen and seeds in A. nephrolepis, may account for the lack of fine-scale spatial structure. Alternatives would be overlapping seed shadows caused by high densities of A. nephrolepis adult trees (160 trees/ha) and/or intraspecific competition resulting in extensive thinning within maternal half-sib groups.

남강 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의 공간적 상관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mong Subpopulations of Salix koriyanagi in Swampy Area at the Namgang River, Korea)

  • 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25-1330
    • /
    • 2008
  • 키버들(Salix koriyanagi)은 관목으로 한국에 고유종이다. 전분 젤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남강 상류 저습지에 분포하는 키버들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과 집단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집단을 세분하였다. Moran's I값으로 세분화 된 1.0 m 간격별 구간 내 개체들의 대립유전자좌위에서 유의한 상관을 조사한 결과 약 6 m 간격 내 개체들의 뭉침이 나타났으며, 12 m 이상일 경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키버들의 경우 집단구조가 12 m 이내에서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의 집단이 제한된 유전자 유동과 유효집단의 감소가 예상되며, 겨울철 가뭄과 여름철 홍수로 심한 병목을 유발하고, 주기적인 홍수와 배수로 인한 개체 수의 교란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Allozyme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 II. Hosta yingeri (Liliaceae)

  • Chung, Myong G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41-149
    • /
    • 1994
  • Levels of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gene flow in Hosta yingeri, a herbaceous perennial endemic to Taehuksan, Sohuksan, and Hong Islands, were investigated.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conducted on leaves for 101 plants collected from three population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thespecies is restricted in the islands, it maintains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n; 64% of polymorphic loci in at least one population (Ps),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p) of 1.92, and the mean effectiv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ep) of 1.52. Overall, mean genetic diversity (Hep=0.250)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mean estimate for species with very similarlife history traits (0.102). Large populaton size, the persistence of multiple generations within populations, high fecundity, predominantly outcrossing breeding system, large size of pollinator visitation areas may be explanatory factors contributing the higher level of genetic diversity maintained within populations.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showed an overall slight excess of heterozygotes (mean FIS=-0.066) relative to Hardy-Weinberg expectations, which may in part be due to the near self-incompatible breeding system in the speci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le frequencies among populaitns were found for 14 out of 16 polymorphic loci (P<0.05). Slightly more than 80% of the total variation in the species was common to all populations (GST=0.198). As expected,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0.45, calculated from mean GST) and nine private alleles found in the three populations indicate that gene movement among three isolated island populations was 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