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ometric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초

육상식물의 생산력추정을 위한 상대상장법의 이용에 대하여 (On the Utilization of the Allometric Method for an Estimation of the Productivity of the Terrestrial Plants)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3권1호
    • /
    • pp.47-55
    • /
    • 1970
  • In order to approach a reasonable method for the indirect estimation of the productivity in terrestrial plants, allometric method was studied with herbs, such as Boenmeria frutescens and Hibiscus mutabilis, and scrubs, such as Robinia pseud oacacia and Morus alba f. Hchiroe. Allometric relations between D230H, square of the stem(or shoot) diameter(D30) on 30cm height above ground multiplied by stem length(H), and the amount of the stem(Ws), orof the leaves per stem, were fitted to each material plant with linear regression. The allometric coefficient in relation of D230H to Ws was approximated between scrubs having different life form, and the allometric function in relation of DF2 to WL was common between herbs in spite of having different growth habitat. As the allometries between D230H and Ws or WL were changeable with the seasonal change it funciton should be calculated repeatedly whenever investigating the standing crop of such community. It is able to utilize an indirect value of D30 obtained from the allometry between D30 and H because direct measurement of D30 in the field is accompanied by troublesome and waste of much time.

  • PDF

삼나무 조림지의 임분밀도에 따른 상대생장식과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by Stand Density in Cryptomeria japonica Plantations)

  • 권정화;서희영;이광수;유병오;박용배;정재엽;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75-181
    • /
    • 2014
  • 경상남도 남해군의 유사한 입지환경에서 생육한 삼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47년생의 고밀도임분($667tree{\cdot}ha^{-1}$)과 49년생의 저밀도임분($267tree{\cdot}ha^{-1}$)으로 구분한 후 임분밀도에 따른 상대생장식과 현존량 확장계수를 비교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부위별 건중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은 고밀도임분의 가지, 저밀도임분의 잎과 종실을 제외하고 상대생장식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5), 결정계수($R^2$)의 값은 0.80-0.96 범위였다. 또한 각 임분밀도에 대한 상대생장식(stand density-specific allometric equations)의 회귀계수(slope)에 유의적인 차가 없어(P>0.05), 일괄 상대생장식(generalized allometric equations)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존량 확장계수는 고밀도임분 1.33, 저밀도임분 1.50으로 임분밀도 간 유의적인 차가 있었다(P<0.05). 성숙한 삼나무 조림지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의 경우 임분밀도의 영향이 크지 않으나 현존량 확장계수의 경우 임분밀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곰솔임분의 임분연령별 상대생장식 및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an Age-sequence of Black Pine (Pinus thunbergii) Stands)

  • 김춘식;이광수;손영모;조현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4호
    • /
    • pp.543-549
    • /
    • 2013
  • 경상남도 진주지역의 유사한 입지환경에서 생육한 평균 임령 35년생, 51년생, 62년생 곰솔임분을 대상으로 각 연령별 8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과 줄기밀도 및 현존량 확장계수를 개발하였다. 흉고직경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부위별 건중량을 종속변수로 하는 상대생장식은 62년생 임분의 잎 바이오매스를 제외하고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P<0.05), 결정계수($R^2$)의 값도 0.55-0.98 정도로 나타났다. 또한 각 임분 연령에 대한 상대생장식(Age-specific allometric equations)의 회귀계수(slope)에 유의적인 차가 없어(P>0.05), 35년 이상 곰솔임분의 경우 임분 연령에 관계없이 일괄 상대생장식(Generalized allometric equations)을 이용하여 바이오매스 추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줄기밀도와 현존량 확장계수도 임분 연령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줄기밀도는 $0.45-0.51gcm^{-3}$, 현존량 확장계수는 1.32-1.38 정도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35년 이상 성숙한 곰솔임분의 바이오매스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줄기밀도, 현존량 확장계수는 임분 연령의 영향이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소나무 및 굴참나무의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 (Development of Biomass Allometric Equations for Pinus densiflora in Central Region and Quercus variabilis)

  • 손영모;이경학;표정기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65-7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 개발에 있다. 부위별 상대생장식의 개발을 위하여 축적 및 임분의 구조를 고려하여 중부지방소나무에서 30개소 (70그루), 굴참나무에서 15개소 (32그루)를 선정하고 시료를 수집하였다. 바이오매스의 추정에 이용된 인자는 흉고직경,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하는 두 가지이며, 지수식, 대수식, 2차방정식의 형태로 구분하였다. 최적의 상대생장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용된 통계량은 적합도지수 (FI), 잔차의 평균 (Bias), 잔차의 표준오차 (SEE)이다. 이를 통하여 추정된 수종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에서 $W=aD^b$, $W=aD^bH^c$ 식이 적합하며 적합도는 0.937, 0.943이다. 반면, 굴참나무는 $W=a+bD+cD^2$, $W=aD^bH^c$ 식이 적합하며 적합도는 0.865, 0.874이다. 또한, 중부지방소나무와 굴참나무의 부위별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중부지방소나무 $W=aD^b$ 이고, 굴참나무 $W=a+bD+cD^2$ 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중부지방소나무, 굴참나무의 바이오매스 상대생장식은 일부지역에 국한되어 개발되었던 상대생장식에 대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 수종에 대한 탄소량의 계정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백합나무의 상대생장식 및 현존량 확장계수 (Allometric Equations and Biomass Expansion of Yellow Poplar(Liriodendron tulipifera) in Southern Korea)

  • 강민선;장경수;손영모;김래현;박인협;이계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63-471
    • /
    • 2016
  •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의 자원량 파악 및 바이오매스 통계자료 구축을 위해 줄기밀도,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뿌리함량비를 구하였으며, 흉고직경과 수고를 이용한 상대생장식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과 경급을 고려하여 총 40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고 21본은 뿌리까지 굴취 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백합나무의 줄기밀도는 $0.43g{\cdot}cm^{-3}$,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2, 뿌리함량비는 0.2이며, 각각의 불확실성은 3.9%, 4.6%, 24.1% 이었다. 백합나무 지상부 상대생장식은 $W=0.060D^{2.524}$이었고, 전체 바이오매스 및 지하부 상대생장식은 각각 $W=0.063D^{2.578}$, $W=0.010D^{2.591}$이었다.

버섯 자실체의 현존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Standing Biomass of Basidiocarps)

  • 허은복;유영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59
    • /
    • 2009
  • 버섯은 생태계에서 분해자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양은 생태계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버섯의 생산량을 알기 위해서는 개체를 수확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버섯 개체를 수확할 때 서식지를 훼손하고, 또한 한 지역에서 버섯의 동태를 장기적으로 관찰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실체의 외부 형질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현존량을 추정하는 비례식을 만들었다. 사용한 버섯은 표고(L. edodes), 느타리(P. ostreatus), 팽이버섯(F. velutipes)과 종버섯(C. tenera)이다. 버섯의 자실체에서 형질 변수(갓 직경, PD; 갓 면적, PA; 대 길이, SL; 대 두께, ST)를 측정하고, 이 변수로부터 건조 생물량과의 회귀관계식을 구하였다. 그 결과 버섯 4종 모두 추정한 식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임으로써(p < 0.05), 외부 형질 변수로부터 유도된 비례식을 사용하여 버섯의 현존량을 예측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록시스로마이신의 체내동태에 대한 이종간 예측모델 (Interspecies Scaling of Roxithromycin Pharmacokinetics Across Species)

  • 임종환;박병권;윤효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랫트, 토끼, 닭, 개 등의 각종 동물들의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록시스로마이신의 이종간 예측모델을 수립하였으며, 이때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는 반감기, 청소율, 분포용적, 평균체류시간 등을 이용하였다. 이종간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의 변화 예측은 체중과 지수적 상관관계 $(Y=aW^b)$를 이용하였으며, 이때 Y는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 W는 체중, a는 allometric coefficient를 의미한다. B는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와 체중간의 상관관계를 의미하는 비례상수이다. 랫트, 토끼, 닭, 개 등의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인 분포용적, 청소율, 반감기, 평균체류시간 등은 체중과 유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 의해 수립된 록시스로마이신에 대한 이종간 약물동태학적 파라미터의 이종간 예측모델은 다양한 종의 동물종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용법용량을 구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Biomass Estimation of Shrub Lindera obtusiloba by Allometry

  • Mun, Hyeong-T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5호
    • /
    • pp.485-488
    • /
    • 2006
  • Allometric equations for biomass measurement of the shrub species, Lindera obtusiloba, were developed. The allometric equations between $(BD)^2H$ and dry weight of leaves ($W_I$), stems and branches ($W_{sb}$), roots ($W_r$) and total weight ($W_t$) of the Lindera obtusiloba were as follows: $W_I=0.7318\;(BD^2H)^{0.6108},\;W_{sb}=0.6067(BD^2H)^{0.8355},\;W_r=0.4524(BD^2H)^{0.7608},\;W_t=1.672 (BD^2H)^{0.7664}$. The $R^2s$ between $(BD)^2H\;and\;W_I,\;W_{sb},\;W_r\;and\;W_t$ of the Lindera obtusiloba were 0.9251, 0.9571, 0.9353 and 0.9546, respectively. Root weight of this Lindera obtusiloba was about 38% of the aboveground biomass.

완도지역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 특성과 종실량 상대성장식 (Growth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No. of Acorns/tree Allometric Equations of Quercus acuta Thunb. in Wando Island, Korea)

  • 김소담;박인협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40-446
    • /
    • 2019
  • 완도수목원내 백운로 상부의 붉가시나무림을 대상으로 난대 상록활엽수림 복원 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종실공급과 관련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붉가시나무의 성장 및 결실특성을 조사하고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구하였다. 성장특성은 평균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실생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수간석해하였다. 표본목의 평균치의 수령(X)에 의한 흉고직경과 수고의 성장특성(Y)의 상대성장식(Y=aX+b)을 개발하였으며, 추정식에 의한 붉가시나무 수령에 따른 흉고직경 및 수고를 추정하였다. 결실특성은 성숙종실초기인 8월에 평균 흉고직경급에 속하는 임목을 대상으로 결실이 충실한 임목 3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여 조사하였다. 붉가시나무의 종실량 상대성장식을 개발하기 위하여 결실목 중 흉고직경이 고르게 10주의 표본목을 선정 벌목하였다. 벌목한 표본목은 흉고직경, 수고, 수관폭, 수관고 등의 성장특성(X)과 종실량(Y)을 조사 분석하여 종실량 상대성장식($Y=aX^b$)을 유도하였다. 표본목 평균치의 수령에 의한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 Y=0506X-2.064($R^2=0.999$), 수고 Y=0.321X+0689($R^2=0.992$)이었다. 개발된 상대성장식에 의하여 수령 10, 20, 30, 40년일 때 흉고직경은 각각 3.0cm, 8.1cm, 13.1cm, 18.2cm, 수고는 각각 3.9m, 7.1m, 10.3m, 13.5m가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결실특성 조사 결과 결과모지(結果母枝)당 잎 수를 제외한 결과모지의 길이, 직경, 결과모지 당 결과지 수, 종실 수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수관 상, 중, 하부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종실 총수의 경우 수관 상, 중, 하부 각각 1,312립, 115립, 5립이었다. 붉가시나무 표본목을 일괄하여 추정한 종실량 상대성장식의 흉고직경(D)를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Y=0.003X^{4.260}$, 결정계수($R^2$)은 0.896이었다.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은 흉고직경과 수고($D^2H$)를 독립변수로 하는 결정계수가 다소 낮으나, 측정오차를 고려하면, 흉고직경만을 독립변수로 하는 상대성장식을 적용하는 것이 실용적이라고 판단된다.

밤나무림에 있어서의 꽃 생산에 관하여 (Flower Production in a Chestnut (Castanea crenata) Forest.)

  • Young-Deuk R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권1호
    • /
    • pp.25-30
    • /
    • 1978
  • The flower production in the Castanea crenata forest in Gapyong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litter trap and allometric method. Among serveral variables, DBH is the most reliable one but the estimated value by DBH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from the value obtained by the litter trap method. Litter trap showed 149.3 kg of flower production per ha in the Castane crenata forest. And the F/L ratro increased with the itme until flowers began to fall. The variation of flower production among trees by allometric method seems to be unreli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