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ici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2초

양파의 진공 동결 건조 과정 중 Alliinase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Alliinase Activity during the Vacuum Freeze Drying of Onions(Allium cepa L.))

  • 채수규;윤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4-151
    • /
    • 2008
  •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것을 진공 동결 건조 처리하여 각각 건조 과정 중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과 alliinase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양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각각 26.40 ppm, 2.78 ppm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cin 및 diallyl disulfide의 함량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증가 정도는 시료의 형태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생양파의 alliinase 비활성은 7.536 units/mg protein이었으며, 양파를 원형 그대로, 절편으로 하여 그리고 마쇄한 시료의 alliinase 활성은 진공 동결 건조가 진행함에 따라 감소되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8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5.51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73.2%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3.304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43.8%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절편으로 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366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31.4%의 잔존율을 나타내었고, 양파를 마쇄하여 36시간 동안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효소의 비활성은 2.232 units/mg protein로 감소되었으며 29.6%의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양파를 원형 그대로 진공 동결 건조하였을 때 alliinase 활성에 있어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 PDF

마늘 추출물의 벼 키다리병에 대한 종자소독 효과 (The disinfective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Bakanae Disease)

  • 성창근;최지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1호
    • /
    • pp.45-52
    • /
    • 2004
  • 마늘의 주요 항균성분은 allicin이며, allicin을 유효물질로 한 마늘 종자소독제를 제조하였다. 마늘 종자소독제 중의 allicin 함량은 약 0.62%였으며 키다리병균 Gibberella fujikuroi에 대하여 1% 농도에서 가장 강한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벼 키다리병의 방제가는 병원균을 접종한 처리구에서는 87.5%, 접종하지 않은 처리구에서는 81.7%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이는 대조약제인 prochloraz, fludioxonil 처리구 보다는 효과가 미흡하지만 친환경 종자처리제로서의 만족할 만한 방제효과라고 사료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수온에 따른 키다리병의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수온 $30{\sim}35^{\circ}C$에서 91~95%의 방제효과를 보인 반면 온도가 낮아질수록 방제가가 떨어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마늘 종자소독제를 이용하여 처리할 때에는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마늘 종자소독제의 처리시 수온과 약량에 따른 키다리병 방제효과에 관한 실험에서는 종자소독제의 처리농도가 높고 종자소독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발병이 적어졌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아 어느 방법도 실용적인 방제법이 될 수 없었다. 마늘을 이용한 종자소독제는 다른 소독제와 같이 소량으로 대량의 볍씨를 소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실용화 가능성은 매우 크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광 조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함량 변화 (Changes in Allicin Contents of Garlic via Light Irradiation)

  • 정훈;이선호;윤홍선;최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7
    • /
    • 2013
  • 최근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먹거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항암효과나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기능성 농산물이나 식품 등의 소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마늘은 항균, 항암, 항산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 효과 때문에 건강 농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꾸준히 소비가 되고 있는 농산물이다. 특히 마늘의 알리신 성분의 증폭을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광 조사에 의한 알리신 성분 향상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깐 마늘에 형광등, 컬러등(녹색, 황색, 청색, 적색), 자외선등(UV-A, UV-B, UV-C) 등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사 했을 때, 알리신 성분의 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처리구는 UV-B 자외선등으로 700 mm 광원 거리에서 15초 동안 조사한 $0.129W/m^2$ (40 W) 강도의 처리구와 적색등의 700 mm 광원 거리에서 24시간 동안 조사한 126 lx (40 W) 조도의 처리구이며, 각각의 알리신 함량 변화는 $15.15{\pm}0.25mg/g$$15.15{\pm}0.34mg/g$ 으로 나타나 대조구에 비해 10%의 증폭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들 두 처리구에 대해 광 조사 처리를 하지 않은 마늘과의 유의성 검증 결과, 5% 이하의 유의수준에서 광 조사 미처리구에 비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광조사 처리에 의한 마늘의 알리신 등의 기능성 성분이 증폭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대량으로 마늘의 기능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처리장치의 개발 등으로 산업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5-치환 3-alkoxy-6-allylthiopyridazine 유도체 합성 (Synthesis of 4,5-substituted 3-alkoxy-6-allylthiopyridazine Derivatives)

  • 권순경
    • 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5-160
    • /
    • 2002
  • Through a modification of allicin structure a disagreeable odor and chemical instability of allicin can be improved. 3-Alkoxy-6-allylthiopyridazine derivatives exhibit a superior effec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ic diseases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and aflatoxin B1 and for prevention of human tissues from radiation. These compounds inhibit also efficiently SK-Hep-1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So another 4,5-mono- or di-substituted 3-alkyloxy-6-allylthiopyridazi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on purpose to find out SAR of allylthiopyridazine in hepatoprotective and hepatotherapeutic acitivitis and to develop more effective drug candidate.

Allicin-induced apoptosis of gastric epithelial cells is associated with changes of caspase-independent effector and involvement of PKA

  • Baeg, Hye-Kyoung;Rhee, Dong-Kwon;Pho, Suhk-Ne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66.2-166.2
    • /
    • 2003
  • Garlic (Allium sativum) has been used as a general food and a remedy in Oriental for a long time. Since garlic compounds have been also shown to inhibit growth of tumors and to modulate the activity of carcinogenesis, the effects of allicin on growth and survival in human gastric epithelial cells were evaluated by cell viability, cell cycle analysis and DNA fragmentation. Protein levels of cytochrome C, Bcl-xL, Bax and AIF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Effects of recombinant VacA on caspase proteases activity were also determined. (omitted)

  • PDF

흰쥐 간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에 미치는 Diallyl disulfide의 영향 (Effects of Diallyl Disulfide on the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y in Rat)

  • 허근;이상일;박종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4-150
    • /
    • 1986
  • 마늘성분중의 하나인 diallyl disulfide가 간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여러 농도의 diallyl disulfide를 흰쥐에 투여 하였을때 혈청 transaminase의 활성은 변동이 없었으며 또한 간 glutathione의 함량도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간 가용성분획의 glutathion peroxidase 활성은 현저히 증가되었다. 시험관 내에서 간 가용성분획의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15{\mu}g/m{\ell}$ 이상의 diallyl disulfide를 첨가 하였을때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동력학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을때 diallyl disulfide$(20{\mu}g/m{\ell})$에 의해 Km치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Vmax치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마늘 성분 중에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증가시키는 성분은 allicin의 분해산물인 diallyl disulfide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이 성분은 효소의 기질결합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서 효소의 활성을 조절해 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Modulation of $TNF-{\alpha}-induced$ ICAM-1 Expression, NO and $H_2O_2$ Production by Alginate, Allicin and Ascorbic Acid in Human Endothelial Cells

  • Mo, Sung-Ji;Son, Eun-Wha;Rhee, Dong-Kwon;Pyo, Suhkne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244-251
    • /
    • 2003
  • Plant nutrients are believed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various diseases including inflammation. Since interactions of the cell adhesion molecules are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ediating inflammation, inhibiting adhesion protein upregulation is a possible therapeutic target. In this study, the inte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was induced in human umbilical endothelial cells (HUVECs) after stimulation with $TNF-{\alpha}$. In addition, alginate, ascorbic acid and allicin were demonstrated to inhibit the $TNF-{\alpha}$ induced expression of ICAM-1 on the HUVEC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compounds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and $H_2O_2$ induced by $TNF-{\alpha}$, which suggests that the inhibition of ICAM-1 expression by the three compounds may be due to the modulated production of the reactive oxygen/nitrogen components. Overa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dietary components have a therapeutic potential in the treatment of various inflammatory disorder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endothelial leukocyte adhesion molecules.

마늘 황화합물의 병원성미생물 번식억제작용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 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5-152
    • /
    • 2006
  • 마늘과 마늘의 황화합물은 여러 가지 미생물(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 곰팡이, 효모, 원생동물)의 번식을 저해하므로 마늘을 감염증치료에 쓰고자 하는 노력이 많았고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번식저해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마늘에 의한 병원성 미생물의 번식저해작용을 연구한 대상 미생물 중에서 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기타 많은 종류의 그람음성 및 앙성 병원성 세균이 연구대상이었다. 효모와 곰팡이를 통털어 Candide albicans의 번식저해 연구가 전체 진균류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특이하게 Giardia intestinalis에 대한 연구보고도 있었으며 마늘은 시험한 대부분의 미생물에 대해 강력한 천연 항균제로서 인정되었다. 마늘은 원래 가열하지 않은 생마늘이어야 알린이 alliinase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강력한 항균물질인 알리신을 생성하게 되므로 주로 생마늘의 항균작용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알리신은 불안정하여 저장중에 분해되어 여러 가지 물질로 변화하게 되는 데 알리신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ajoene이나 기타 여러 가지 sulfide류 역시 세균이나 효모에 매우 강력한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마늘의 알리신이 나타내는 항균작용은 thiosulfinate기가 미생물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중에서 -SH 기를 가지는 효소단백질과 결합하여 불활성화시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미생물이 사멸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반적인 독성 메카니즘 이외에 특이한 효소에 특이하게 저해작용을 나타낸다는 가설이 있고 그 중에서도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저해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최근에 식품의 조리 온도에서 가열한 마늘이 항균작용이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그 작용은 주로 항진균작용이며 그 항균작용물질은 알린이 열분해 되어 생성되는 allyl alcohol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산지별 국내산 마늘종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비교 (Antioxidant Activities of Domestic Garlic (Allium sativum L.) Stems from Different Areas)

  • 정지영;김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72-978
    • /
    • 2008
  • 마늘의 재배 부산물인 마늘종을 산지별로 나누어 항산화 관련 물질을 측정하고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여 마늘종의 소비 확대를 장려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 중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페놀화합물, allicin 함량은 한지형 마늘종이 많았고, 비타민 C 함량은 난지형 마늘종이 조금 많았다. 마늘은 마늘종에 비해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함량은 유의적으로 크게 낮았으나 페놀화합물과 allicin 함량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항산화 효능은 추출용매나 재배지역의 기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ethanol 추출물보다 methanol 추출물이, 난지형 마늘종보다 한지형 마늘종이 더 높았다. 마늘종은 마늘에 비해서 전자공여능, linoleic acid system에서의 항산화능, 아질산염 소거능이 낮았지만 마늘 항산화 효능의 50% 이상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마늘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로 마늘종도 마늘과 마찬가지로 항산화 효능이 있고 한지형이 난지형보다 더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마늘종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충분히 활용가치가 있다고 보이므로 이를 다양한 제품 개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도 추후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