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gal bloom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3초

Chlorophyll-a의 히스토그램 분석을 통한 녹조발생 우심지역 분류 (Classification of the Algal Monitoring Points by Histogram Analysis of Chlorophyll-a)

  • 이새로미;안창혁;박재로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1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Chlorophyll-a (Chl-a)값을 빈도분석인 히스토그램(histogram)을 통해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을 분류 하고자 하였다. 누적도수분포곡선(ogive curve)에 따라 지점별 녹조발생정도를 분석하였고, 히스토그램의 형태에 따라 관리지점을 3단계로 분류하였다. 4대강 중 한강에서 저농도의 Chl-a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금강과 영산강 지점에서 높은 농도의 Chl-a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히스토그램의 패턴에 따라 녹조의 관리 정도를 분류 할 수 있었는데, 한강의 경우 집중관리가 필요한 지점이 나타나지 않았고, 금강과 영산강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녹조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낙동강은 중류 및 하류 지점부터 녹조관리가 필요한 지점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빈도분석이 녹조발생의 우심지역 판단의 보조지표 활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국 남해안 내만의 해양환경과 적조발생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and Algal Blooms in the Inner Bays of the Korean South Coast)

  • 이문옥;김평주;권영아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469-472
    • /
    • 2006
  •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ain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of algal blooms in relation to the marine environment of the Korean Southern Coast, using more than 22 years worth of data since the first known occurrence of algal blooms. Algal blooms tend to occur when the precipitation or water temperature for a ten-day period prior to the annual bloom exceeds the long-term mean value. There are three notable causative species in six different inner bays, namely Prorocentrum sp., Skeletonema costatum, and Heterosigma akashiwo, and in addition, these three species appeared in different condi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t each region.

  • PDF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during the Outbreak of Harmful Algal Bloom at the South Coastal Area in the Korean Sea Waters

  • Kim, Sook-Yang;Lim, Woel-Ae;Kang, Young-Sil
    • 환경생물
    • /
    • 제28권1호
    • /
    • pp.20-29
    • /
    • 2010
  • Cochlodinium polykrikoides has occurs regularly during the summer in the South Sea of Korea. To investigate photosynthetic pigments concerned with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s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the experiment was sampled at 20 stations three times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02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distribution of peridinin, the biomarker of dinoflagellate, was higher at the blooming time than it was before and it disappeared after bloom.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between Chl. a and peridinin at the blooming time and out of bloom were 0.9253 and 0.1613,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bloom was caused by dinoflagellate.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between Chl. a and fucoxanthin were 0.3282 and 0.9759, respectively, and the correlative coefficients showed the succession from dinoflagellate to diatom. This result means that the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can be detected by Chl. a information from satellite remote sensing. Therefore, if the algorithm to detect peridinin in addition to Chl. a were to be developed, dinoflagellate red tide could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Influence of Rainfall on Cyanobacterial Bloom in Daechung Reservoir

  • 안치용;김희식;윤병대;오희목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13-419
    • /
    • 2003
  • 1999년과 2001턴, 여름부터 가을까지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현상에 대한 강우영향을 조사하였다. 두 해의 6,7월 강수량은 매우 유사하였으나, 수화발생 시기인 8,9월의 강수량은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1999년에는 8월 하순 이후 그전 2개월에 비해 약 70%의 강수량 증가가 있었으나, 2001년에는 같은 기간 동안 5분의 1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더 높은 엽록소-a, 파이코시아닌, 남조류 농도가 2001년 측정되었으며, 이것은 극심한 수화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또한 2001년에는 조사기간동안 남조류의 비율이 항상 80%를 상회하였으며, 남조류는 Microcystis spp.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1999년에는 수화의 발생이 보고되지 않았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수화가 절정을 이루는 시기는 두 해 모두 8월 하순에서 9월 초순으로, 강수량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수화 이전 시기의 적당한 강수와 이후의 충분한 일조 시기가 남조류의 수화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인자들 중의 하나로 판단되었다.

농업용저수지의 녹조제어를 위한 수환경 특성과 포식성 천적생물의 분리 및 효과분석 (Property of Water Environment and Evaluation of Zooplankton as Predators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 in the Agricultural Reservoir)

  • 남귀숙;송영희;이의행;홍대벽;한명수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3-43
    • /
    • 2011
  • Jundae reservoir has basin area of 234ha, average depth of 3.77m and total storage of $619{\times}10^3m^3$, and is located in Dangin-gun, Chungcheongnam-do. The water quality of Jundae reservoir exceeded the IV grade of water quality standard as available for irrigation water in COD, TN, TP, Chl-a. COD and Chl-a were higher in spring season, because the algal bloom by phytoplankton increased. And the algal blooms in October by inflow non-point pollution during summer rainy season. The most dominant zooplankton was rotifers during study period at all stations. Dominant species were Keratella cochlearis, Polyarthra spp., and Trichocerca spp. We successfully established 2 isolated clone cultures as predator. One is Rotifer, Euchlanis sp. and another is cladocerans, Bosmina sp. To test the removal rate of 2 cultures against Microcystis aeruginosa, we inoculated Euchlanis sp. and Bosmina sp. separately when the abundance reached at $1.0{\times}10^6$cells/ml. Euchlanis sp. removed M. aeruginosa around 98.9% and Bosmina sp. removed it around 98.4%. They are useful grazers for controling algae blooms, Euchlanis sp. and Bosmina sp. feeding on M. aeruginosa highly.

  • PDF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 개체군의 발생양상과 분포 (Algal Bloom and Distribution of Prorocentrum Population in Masan-Jinhae Bay)

  • 최만영;곽승국;조경제
    • 환경생물
    • /
    • 제18권4호
    • /
    • pp.447-456
    • /
    • 2000
  • 마산-진해만에서 1990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Prorocentrum 개체군 (P. dentatum Stein, P. micans Ehrenberg, P. minimum (Pavillard) Schiller, P. triestinum Schiller) 변동을 monitoring하였다. Prorocentrum 개체군은 대부분 6-8월 해수 성층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bloom을 일으켰고 수온은 24-28$^{\circ}C$, 염분도는 24-34$\textperthousand$ 범위였다.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 개체군은 외만에서 내만으로 갈수록 발생빈도와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수직적으로는 2.5m상층부에 집중되었다. 또한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개체군은 과거 80년대와 90년대 초반과 비교하여 출현 종수는 감소하였으나 세포밀도는 점차적인 고밀도의 양상을 띠었다. 그리고 Prorocentrum 개체군은 과거와 비교하여 저수온기인 겨울철에도 출현빈도가 빈번해짐을 관찰하였다. Prorocentrum속 조류 중에서 P. minimum의 bloom규모와 그 지속 기간이 가장 길었다.

  • PDF

대청호 수류차단막 설치 위치에 따른 녹조제어 효과 분석 (Analysis the Effects of Curtain Weir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according to Installation Location in Daecheong Reservoir)

  • 이흥수;정세웅;정희영;민병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1-242
    • /
    • 2010
  • The objective of study was to determine an optimal location of a float-type curtain weir in Daecheong Reservoir an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s in the reservoir. CE-QUAL-W2, a laterally 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eutrophication model, was modified to accommodat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eir according to water surface fluctuation and applied to simulate the reservoir hydrodynamics and water quality changes for the reservoir. The model calibrated in a previous study was updated and validated for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s representing drought year (2008) and normal year (2006) for the study, and adequately simulated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nutrients and algal (Chl-a) concentrations. The effectiveness of curtain weir on the control of algal bloom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validated model to 2001 and 2006 assuming 9 scenarios for different installation locations. The reduction rates of algal concentration were placed in the range of 11.2~40.3% and 20.3~56.7% for 2001 and 2006, respectively. Although, the performance of curtain weir was slightly varied for different locations and different hydrological years, overall,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as the weir was installed further downstream.

포식성 천적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유해조류 제어기술 개발 (Eco-friendly Control of Harmful Algal Bloom Species Using Biological Predators)

  • 김석;이창수;보티타오;한상일;최윤이
    • 환경생물
    • /
    • 제34권2호
    • /
    • pp.91-9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동물플랑크톤인 Daphnia magna를 이용하여 유해조류인 Microcystis aeruginosa, Anabaena variabilis, Limnothrix planctonica에 대한 제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D. magna와 유해조류를 공생배양 시킨 경우, M. aeruginosa ($80.2{\pm}4.2%$), A. variabilis ($39.7{\pm}4.0%$) 그리고 L. planctonica ($25.9{\pm}10.9%$)의 순으로 조류 발생 억제효율을 보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섭생에 의한 조류 제어 효과 이외에 D. magna의 대사/분비물질의 조류 제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 magna를 배양한 배지를 유해조류 제어에 이용했을 때, M. aeruginosa와 A. variabilis에 대하여 각각 $24.9{\pm}9.9%$$8.9{\pm}4.0%$의 성장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L. planctonica에 대한 성장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동물플랑크톤인 D. magna를 활용한 친환경적 유해조류 제어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최적 성장모형 (Optimal Growth Model of th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조홍연;조범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217-224
    • /
    • 2014
  •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생물은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빈번하게 적조를 유발하는 생물이다. 적조는 식물플랑크톤의 급격한 번식(algal bloom)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적조를 유발하는 적조생물에 대한 최적의 성장조건 정보가 가용하다면 정확한 적조성장 모형 구성이 가능하며, 적조 발생예측에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적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빛, 수온, 염분, 영양염류 농도 등으로 다양하고, 적조성장을 제어하는 함수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험조건의 최적 성장조건에 대한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적조 수치모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최적 성장모형을 구성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적조생물에 해당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생물의 최적 성장조건에 관한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함수형태에 따른 최적 매개변수 추정 및 오차비교 분석과정을 거쳐 적조 모형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최적 성장모형을 개발 제시하였다. 개발된 성장모형은 실험조건에서 추정된 최적 성장모형이기 때문에 현장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보정 및 검정과정에서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최적 함수형태, 최적 매개변수 및 보정 매개변수의 범위 등을 기본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실험조건과 현장조건의 차이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은이온 수용액의 Microcystis 생장 억제 효과 (Effect of Silver Ion Solution on the Inhibition of Microcystis Growth)

  • 최강국;이상훈;배기서;신재기;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183-191
    • /
    • 2008
  • The effect of silver ion solution on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UTEX 2388 (cyanobacterium)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green alga) was investigated using separated and mixed culture in filtered natural water and BG11 medium. In separated culture, M. aeruginosa UTEX 2388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0.01 and 0.1 mg L$^{-1}$ of silver ion, respectively. Also, the silver ion concentrations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M. aeruginosa UTEX 2388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in the mixed culture were same in separated culture. Cyanobacteria were more sensitive to the silver ion solution than green algae. In bloom sample,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of silver ion solution for the low Chl-${\alpha}$ sample (110$\sim$190 ${\mu}g$ L$^{-1}$) and high Chl-${\alpha}$ sample (1,500$\sim$1,900 ${\mu}g$ L$^{-1}$) was about 0.1 and 3.0 mg L$^{-1}$, respectively. The silver ion concentration for the inhibition of algal bloom sample was affected by the algal biomass. In order to use silver ion solution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 the silver ion concentration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minimal effect on th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