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al Bloom and Distribution of Prorocentrum Population in Masan-Jinhae Bay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 개체군의 발생양상과 분포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Genus Prorocentrum of dinoflagellate has been known as representative causative algae of red tide in Masan-Jinhae Bay. Prorocentrum populations- P. dentatum Stein, p. micans Ehrenberg, P. minimum (Pavillard) Schiller and P. triestinum Schiller- were monitored from January 1990 to August 1997, Prorocentrum populations usually have bloomed during the water stratification periods from June to August.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24$^{\circ}C$ to 28$^{\circ}C$ and salinity from 24$\textperthousand$ to 34$\textperthousand$ during the Prorocentrum blooms. Bloom magnitude of Prorooentrum populations gradually increased from offshore to inshore area of coastal embayment and this populations tended to concentrate from surface to 2.5m depth. Prorocentrum algal bloom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intense than those of 1980s and early 1990s. P. minimum was the most persistent species in terms of bloom frequency and cellular abundance.

마산-진해만에서 1990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Prorocentrum 개체군 (P. dentatum Stein, P. micans Ehrenberg, P. minimum (Pavillard) Schiller, P. triestinum Schiller) 변동을 monitoring하였다. Prorocentrum 개체군은 대부분 6-8월 해수 성층화가 일어나는 시기에 bloom을 일으켰고 수온은 24-28$^{\circ}C$, 염분도는 24-34$\textperthousand$ 범위였다.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 개체군은 외만에서 내만으로 갈수록 발생빈도와 발생량이 증가하였고, 수직적으로는 2.5m상층부에 집중되었다. 또한 마산-진해만에서 Prorocentrum개체군은 과거 80년대와 90년대 초반과 비교하여 출현 종수는 감소하였으나 세포밀도는 점차적인 고밀도의 양상을 띠었다. 그리고 Prorocentrum 개체군은 과거와 비교하여 저수온기인 겨울철에도 출현빈도가 빈번해짐을 관찰하였다. Prorocentrum속 조류 중에서 P. minimum의 bloom규모와 그 지속 기간이 가장 길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연안의 적조생물 김학균;박주석;이삼근;안경호
  2. 한국조류학회지 v.1 적조와편모조류의 생태학적 연구 2. Prorocentrum minimum (Pav.) Schiller의 군증식 김학균
  3. 수진연구보고 v.39 적조와편모조의 생태학적 연구 1. Prorocentrum triestinum Schiller의 증식과 구제 김학균
  4. 수진연구보고 v.43 마산만의 와편모적조의 발생과 환경 특성 감학균
  5. 한국환경과학회지 v.4 Prorocentrum속에 관한 연구 문성기;이삼근;홍채규
  6. 수진연구보고 v.41 진해만의 적조현상과 원인생물의 천이 박주석;김학균;이삼근
  7. 한국연안의 적조발생과 천이에 관한 연구. 사업보고 v.69 수진원(국립수산진흥원)
  8. 한국연안의 적조 수진원(국립수산진흥원)
  9. 한국연안의 적조 수진원(국립수산진흥원)
  10.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심재형;신은영;이원호
  11. 해양개발연구소 보고서. SBPE 00022-43-7 진해만의 적조 및 오염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광우;남기수;허형택
  12. 부산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진해만의 적조 및 유독성 부유생물에 관한 연구 이삼근
  13. 마산만 준설에 따른 해양환경 종합 모니터링(1990~1994) 이찬원;권영택
  14. 해양연구 v.17 한국연안역의 식물플랑크톤 대발생 장만;김웅서;이진환
  15.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적조원인종인 Prorocentrum minimum의 온도에 따른 생화학적 조성변화 장만;조진하;신경순;이우성;이택견
  16. 한국해양학회지 v.3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변동 조경제;최만영;곽승국;임성호;김대윤;박종규;김영의
  17. 한국환경생물학회지 v.16 적조원인종인 Prorocentrum minimum의 광도에 따른 생화학적 조성변화 조진하;이택견;신경순;이우성;장만
  18.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마산-진해만에서 적조원인조류 개체군의 변동과 생태학적 특성 최만영
  19. Red tide organisms in Japan Fukuyo Y;H Takano;M Chihara;K Matsuoka
  20. Toxic dinoflagellate blooms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ritic red tide flagellate Iwasaki H;Taylor DL(ed.);HH Seliger(ed.)
  21. Environmental sciences of the sea Red tide in Ise Bay Iwasaki H;Hirano T(ed.)
  22. Bulletin of Plankton Society of Japan v.37 Red tide in the brackish lake Nakanoumi (Ⅱ). Relationships between the occurrence of Prorocentrum minimum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Kunio K;S Yasushi;D Yoshio
  23.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A taxonomical study on thecate dinoflagellates of korean coastal waters Shin EY
  24. Toxic dinoflagellates Ecological factors related to Prorocentrum minimum blooms in Obidos lagoon (Portugal) Silva ES;Anderson DM(ed.);White AW(ed.);Baden DG(ed.)
  25. Bulletin of Plankton Society of Japan v.31 Nutrient factors involved in controlling the growth of red tide flagellates Prorocentrum micans, Eutreptiella sp. and chattonella marina in Osaka Bay Susumu Y
  26. Kdentifying marine diatoms and dinoflagellates Tomas CR;GR Hasle;EE Syvertsen;KA Steidinger;K Tangen
  27. J. Oceanol. Soc. Korea v.21 taxonomical studies on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1, Genus Prorocentrum Ehrenberg Yoo KI;JB Lee
  28. Bull. Environ. Sci. Hanyang Univ. v.3 Taxonomic study on the causative organism of red tide. 1. genus Prorocentrum Yoo 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