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aska pollock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42초

베링해와 알라스카만 명태의 비늘과 이석에 의한 연령사정 비교 (Comparative Study on Age Determination Using Scales and Otoliths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Bering Sea and the Gulf of Alaska)

  • 이장욱;허영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7-183
    • /
    • 1993
  • 베링해 공해 및 알라스카만에서 표본된 명태의 동일 개체로부터 비늘과 이석을 사용하여 연령사정한 결과를 비교, 고찰하였다. 베링해 공해 명태 44~54cm 범위의 개체에 대한 연령사정 결과, 비늘연령은 4~9세, 이석연령은 4~18세로 나타났다. 동일개체의 두 연령형질간에 1~11세까지의 큰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이식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알라스카만 명태 22~59cm 범위의 개체로부터 비늘 연령은 2~9세, 이석연령은 2~11세로 나타났다. 두 연령형질간의 연령사정 결과는 6세까지는 잘 일치하였고, 7세 이상에서는 이석에 의한 연령이 1~7세까지 높게 나타났다.

  • PDF

Partial Purific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s from Gelatin Hydrolysates of Alaska Pollock Surimi Refiner Discharge

  • Heu, Min-Soo;Park, Chan-Ho;Kim, Hyung-Jun;Park, Jae-W.;Kim, Jin-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4호
    • /
    • pp.249-257
    • /
    • 2009
  • This study is conducted to partially purify an antioxidative peptide in a two-step gelatin hydrolysate from Alaska pollock surimi refiner discharge, which was obtained by sequential treatment with Pronase E and Flavourzyme. The two-step gelatin hydrolysate was fractionated using chromatographic methods. Based on the same protein concentration of each frac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85.1-95.4%) of positive fractions fractionated by ion-exchange chromatography were higher than those (27.2-87.8%) from gel filtration. Then, further purification of the positive fractions was performed. Among them, the partially purified A1C1L2G1 and A1C1L2G2 fractions showed 96.2% and 85.1% inhibition, respectively, of linoleic acid peroxidation. The A1C1L2G1 fraction was composed of 15 kinds of amino acids and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proline, glycine and alanin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raction partially purified through chromatographic methods from the two-step gelatin hydrolysate of Alaska pollock surimi refiner discharge could be useful as a supplementary source for improving health functionality.

명태 (Gadus chalcogrammus)의 성장 단계별 질병 모니터링 (Disease monitoring of Alaska pollock (Gadus chalcogrammus) based on growth stages)

  • 김광일;변순규;강희웅;남명모;최 진;유해균;이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명태 양식 기술 개발 과정 중 수산생물 병원체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사육수 내 총 세균수 변화, 분포와 명태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성장 단계별 명태의 병원체(세균, 기생충 및 바이러스) 조사 및 비정상 개체 발생에 대한 원인 구명을 수행하였다. 자어 단계에서 사육수의 평균 세균수는 $2.11{\times}10^3cfu/mL$로 나타났으며, 비브리오균이 52%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치어 및 미성어 단계에서 사육수의 세균수는 $3.43{\times}10^3cfu/mL$(슈도모나스균 90% 분포) 그리고 성어 단계에서는 $3.2{\times}10^2cfu/mL$(슈도모나스 52%)로 나타났다. 명태 사육수 세균총의 변화는 먹이생물의 종류, 공급 및 잔류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외관상 건강한 개체에서는 대량 폐사를 일으킬 수 있는 세균,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부 안구돌출, 턱 주변 조직 출혈을 보이는 비정상 개체에서 아가미 새변의 기포 형성, 각막 조직 및 맥락막 주변 조직 괴사가 관찰되었다. 특히, 병변 부위에서 검출된 세균(P. fluorescens, Vibrio sp., V. pelagius, Planococcus maritumus 그리고 Pseudoalteromonas sp.)이 사육수에도 동일하게 분포하였으며, 사육 과정 중 외상 발생 이후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명태의 안정적인 양식 산업화를 위한 요소로 기초 질병 데이터 구축과 더불어 지속적인 질병관리가 필요하다.

명태(Theragra chalcogramma)의 산란장, 알라스카만 쉘리코프 해협의 1980년대 초반의 해황에 관한 연구 (Descriptive hydrography of shelikof Strait, Gulf of Alaska, during the Spring Spawning Time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Early 1980's)

  • 김수암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5-46
    • /
    • 1993
  • 알라스카만 명태 산란장에서의 해수의 성질과 해류의 흐름을 규명하기 위하여, 쉘 리코프 해협에서의 CTD 조사 결과와 해류계 자료가 분석되었다. 쉘리코프해협에서는 3개의 수괴가 구분되었다. 첫 번째 수괴는 Cook 내만으로부터 유래된 적은 양의 차갑고 염분이 낮은 ($<{\;}3^{\circ}C,{\;}<{\;}31.5\textperthousand$) 표층수로서 알라스카 반도 해안에 바짝 붙어서 남서쪽을 향하여 흐르고 있다. 둘째의 수괴는 알라스카 해안류 (ACC)의 가지로서 해협의 북종쪽 입구로 들어와 남서쪽을 향해 흐르며, 해협내에서는 중층과 표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해협의 가장 깊은 골의 상부층에 가장 빠른 흐름이 존재하며, 그들은 Semidi섬과 Chirikof섬 사이의 남서쪽 계곡을 통하여 해협에서 빠져나간다. 세 번째의 수괴는 비교적 느리고, 따뜻하고 염분이 높은 ($>{\;}5^{circ}C,{\;}>{\;}32\textperthousand$) 대륙사면으로부터 남서쪽 입구의 저층을 통하여 해협으로 들어온 저층수인데 이들은 북동쪽을 향해 흐르며 해협 저층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 PDF

Effects of Number of Washes and pH Adjustment on Characteristics of Surimi-like Materials from Pork Leg Muscle

  • Jin, Sang-Keun;Kim, Il-Suk;Choi, Yeung-Joon;Yang, Han-Su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4호
    • /
    • pp.584-590
    • /
    • 2009
  • The effects of different washing time and pH adjustment of surimi-like materials from pork leg on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urimi was made from pork leg by washing two or four times with water, as well as by pH adjustments of 3.0 or 11.0. The control surimi was made by two times washing from Alaska pollock.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higher in the surimi manufactured from pork leg with pH adjustments. The highest gel strength was found in the control, and the control had greater lightness and whiteness value. The control had higher texture attributes than the other samples, whereas the surimi from pork leg made by a pH 11.0 adjustment had higher texture attributes than the pH 3.0 adjustment. The sensory color was higher in the control compared to other surimi samples, whereas aroma was lower in the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cceptability among the surimi samples.

A Large and Changing U.S. Market for Gadoids and Other Groundfish

  • Dae-Kyum Kim
    • 수산경영론집
    • /
    • 제17권1호
    • /
    • pp.107-115
    • /
    • 1986
  • The United States is the world's leading importer of frozen processed groundfish products, with over two thirds of total world imports. Over 90% of the U.S. groundfish demand is met by inports, while about 2 million mt of groundfish are taken from U, S. waters by joint-venture and foreign fleet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escriptive information concerning the U.S. groundfish market and the potential for groundfish resources off Alaska to become a major source of supply to this market. The size of the U.S. market, U.S. imports, trade policies, and catch from U.S, waters are discussed, and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potential domestic catch of groundfish off Alaska and current U.S. groundfish consumption. The total optimum yield of 2.3 million mt for flounders, cod, and pollock is about four times the round weight equivalent of U.S. imports of these species in 1984.

  • PDF

해수어를 활용한 연제품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ish-meat Gels Prepared from Farmed-fish)

  • 김형광;김세종;파티카라데니즈;권명숙;배민주;고아;이슬기;장병근;정준모;김서연;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80-1289
    • /
    • 2015
  • 연제품 제조에 이용되는 어육원료는 저가의 연육이 국내에서 일부 생산되고 있으며 대부분은 동남아산 또는 북아메리카산 등의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제품용 어육 원료의 안정적인 수급과 고품질 연제품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되고 있는 어종의 고급 연육 및 연제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양식어종인 광어(Paralichthys olivaceus), 도미(Pagrus major),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숭어(Mugil cephalus), 도다리(Pleuronichthys cornutus)를 원료로 하여 전통 수세법으로 연육을 제조하였다. 연육의 품질과 등급은 수분함량, 백색도, 겔 강도, 불순물의 함량 등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이들 해수어 유래 연육의 겔 형성능 및 품질은 겔 강도, 텍스쳐 실험, 백색도, 수분유출정도 및 SDS-page pattern 측정을 통해 검토하였다. 또한 이들 결과는 명태연육(FA급과 RA급)의 겔 특성과 비교하였다. 겔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미리 준비한 5 종류의 해수어 유래 연육에 2% NaCl를 첨가하여 소금갈이를 한 후 전체 수분함량이 84%가 되도록 졸 형태로 제조하였다. 졸 형태의 연육을 polyvinylidene chloride 필름에 20-25 cm 길이로 충진한 후 90℃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소시지 형태의 어육 겔을 제조하였다. 연육을 이용한 어육 겔의 제조에 의해 연육의 겔 강도와 백도는 증가하였다. 해수어 유래 연육의 겔 특성을 비교한 결과 광어와 도미가 가장 높은 겔 강도와 파단 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수분 이수율은 광어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해수어 유래 연육은 RA급 명태연육에 비해 높은 겔 형성능을 나타내었으며, 광어와 도미는 FA급 명태연육과 비슷한 정도의 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광어와 도미를 이용한 고품질 연제품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태(Theragra chalcogramma) 두부와 비정형 다시마(Laminaria japonica)로부터 고온가압 추출물의 최적 제조 조건 (Optimization Processing Conditions of Water Soluble Fraction from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Head and Non-forming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under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

  • 노윤이;박권현;이지선;김기현;김민지;김현정;김정균;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7-21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processing conditions, including the ingredient ratio and extraction time, for a water-soluble fraction of Alaska pollock head and non-forming sea tangl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independent variables for obtaining extracts with a high yield and desirable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1.32 for $X_1$ (extraction time), 1.36 for $X_2$ (sea tangle concentration) and 0.93 for $X_3$ (water volume) in coded values, and 5.48 h for $X_1$, 18.18% for $X_2$ and 6.86 times for $X_3$ in uncoded values. The predicted values of $Y_1$ (yield), $Y_2$ (TCA soluble-N) and $Y_3$ (overall acceptance) for extracts produced under these optimized conditions were 22.10%, 1.83 g/100 mL and 5.9, respectively, their experimental values were 21.4%, 1.7 g/100 mL and 5.7,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and predicted values were found.

명태 수리미 부산물 유래 젤라틴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시판 간장의 항산화성 및 ACE 저해활성의 개선 (Improvement of the Antioxidative and ACE-inhibiting Activities of Commercial Soy Sauce using Gelatin Hydrolysates from the By-products of Alaska Pollock)

  • 허민수;박찬호;김정균;김형준;윤민석;박권현;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79-187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ways to improv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mmercial soy sauce using gelatin hydrolysates from the refiner discharge of Alaska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The total nitrogen content and pH of gelatin sauce prepared by dissolving the second-step gelatin hydrolysates (15 g), salt (20 g), sugar (5 g), glucose (2.5 g), inosine monophosphate (IMP) (0.5 g), black pepper (0.1 g), caramel powder (0.1 g), ginger powder (0.05 g), garlic powder (0.05 g), vinegar (3 mL), and fructose (3 mL) in water(100 mL) were 1.71% and 5.35,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when preparing blended soy sauce, the optimal blending ratio of gelatin sauce to commercial soy sauce was 20:80 (v/v). Because the total nitrogen content and pH of the blended soy sauce were 1.52% and 5.31, respectively, the blended soy sauce could be sold as a soy sauce. The oxidative property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similar to that of 20 mM ascorbic acid, and i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ng activity was 1.5 mg/mL.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oxidative and ACE-inhibiting activities of commercial soy sauce can be improved by blending gelatin sauce (20) with commercial soy sauce (80).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9,107.3 mg/mL, which was higher than that (8,992.4 mg/100 mL) of commercial soy sauce. However, the taste value of the blended soy sauce was 415.8, which was lower than that (431.2) of commercial soy sau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