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 concentration

검색결과 1,831건 처리시간 0.029초

Al6061 합금의 PEO 피막 형성에 미치는 Na2SiO3 농도의 영향 (Effect of Na2SiO3 concentration on PEO film formation of Al6061 alloy)

  • 이병건;한영욱;장기범;조성열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86-91
    • /
    • 202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a2SiO3 concentration on the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PEO) film formation of Al6061 alloy. The morphology of the PEO films were examined by Optical Microscope(O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PEO film thickness increases as the Na2SiO3 concentration increases. The elemental analysis of PEO films was conducted using Dispersive X-ray Spectrometer(EDS). The cross-sectional elemental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Si concentration tends to increase as the concentration of Na2SiO3 increases. X-Ray Diffraction(XRD)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egree of phase change according to Na2SiO3 concentration. In addition,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to confirm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EO film. As the concentration of Na2SiO3 increases, the hardness value also tends to increase.

Bridgman 결정성장시 장입 주괴와 도가니 사이의 틈이 용액이 초기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p between ingot and crucible on the distribution of initial melt concentration in Bridgman crystal growth)

  • Seung-Mo Chung;Man-Sug Kang;Zin-Hyoung Lee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9-177
    • /
    • 1994
  • 결정성장된 시편의 농도분포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초기융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여야 한다. 용질농도가 초기융액에 있어서 균일하지 않다면, 성장된 시편에 예측한 것과 다른 거시편석이 발생할 수 있다. 위 쪽의 온도가 높은 온도 구배를 갖고 아래로부터 응고를 진행시키는 Bridgman 방법으로 Al-Cu 합금을 성장시키는 경우, 성장된 시편의 어용질 농도분포가 초기응고 부분이 높고 을고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런 현사은 주괴가 녹으면서 도가니와 주괴의 틈으로 스며나온 Cu의 농도가 높은 융액이 주괴가 완전히 녹은 후의 대류에 의해 아래부분에 축적됨으로 발생했다. Al-Mg 합금의 경우 도가니와 주괴의 틈으로 스며나온 Mg의 농도가 높은 융액이 주괴가 완전히 녹은 후의 대류에 의해 떠오르면서 용질 농도분포가 성장중에 최소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거시편석을 억제하기 위하여, 균질화 처리 또는 도가니와 주괴의 틈을 없게 함으로 균일한 농도의 초기유액을 얻었다.

  • PDF

Theoretical Calculation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Hf/Al Concentration Ratio in Nano-mixed $Hf_xAl_yO_z$ Films Prepared by Atomic Layer Deposition

  • Kil, Deok-Sin;Yeom, Seung-Jin;Hong, Kwon;Roh, Jae-Sung;Sohn, Hyun-Cheol;Kim, Jin-Woong;Park, Sung-Woo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5권2호
    • /
    • pp.120-126
    • /
    • 2005
  • We have proposed a characteristic method to estimate real composition when multi component oxide films are deposited by ALD. Final atomic concentration ratio was theoretically calculated from the film densities and growth rates for $HfO_2$ and $Al_2O_3$ using ALD processed HfxAhOz mms.W e have transformed initial source feeding ratio during deposition to fins] atomic ratio in $Hf_xAl_yO_z$ films through thickness factors ($R_{HFO_2}$ ami $R_{Al_2O_3}$) ami concentration factor(C) defined in our experiments. Initial source feeding ratio could be transformed into the thickness ratio by each thickness factor. Final atomic ratio was calculated from thickness ratio by concentration factor. It has been successfully confirmed that the predicted atomic ratio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measured value by ICP-MS analysis.

Sol-gel 법으로 제작한 Al-doped ZnO 박막의 도핑 농도 및 열처리 온도에 따른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l-doped ZnO Thin Films Fabricated by Sol-gel Method with Various Al Doping Concentrations and Annealing Temperatures)

  • 신현호;강성준;윤영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5호
    • /
    • pp.1-7
    • /
    • 2007
  • Sol-gel 법으로 quartz 기판 위에 Al 도핑 농도와 열처리 온도에 따른 AZO 박막을 제작하였다. 1 % Al 이 도핑되고 550 $^{\circ}C$ 에서 열처리한 ZnO 박막에서 가장 우수한 (002) 배향성과 가장 평탄한 박막 (1.084 nm) 이 제작되었다. 모든 박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약 80 % 이상의 투과율을 보였으며, Al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너지 밴드 갭이 넓어지는 Burstein-Moss 효과가 관찰되었다. Hall 측정 결과, 순수한 ZnO 박막보다 Al 이 도핑된 ZnO 박막에서 캐리어 농도의 증가와 비저항 값의 감소가 나타났다. 또, Al 의 도핑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egregation 효과로 인한 캐리어 농도의 감소와 비저항 값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1% Al 이 도핑되고 550 $^{\circ}C$ 에서 열처리한 ZnO 박막에서 가장 큰 캐리어 농도 ($1.80{\times}10^{19}\;cm^{-3}$) 와 가장 낮은 비저항 (0.84 ${\Omega}cm$) 값을 나타내었다.

$CaF_2$ 기전력법에 의한 용융아연 중 알루미늄 농도의 측정 (Measurement of Al Concentration in Liquid Zinc by E.M.F Method with $CaF_2$)

  • 박진성;김항수;정우광;;김종상
    • 전기화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04-210
    • /
    • 2000
  • 용융아연 도금 강판 제조시 용융아연 도금 bath중의 알루미늄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용융아연 도금욕 중 알루미늄 농도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 개발을 위한 기초 data를 제공하는 것이다. $CaF_2$고체전해질과 3가지 종류의 참조극을 사용하여 $460^{\circ}C\~500^{\circ}C$의 순수한 용융아연 bath에서 불소포텐샬을 측정하였다. 용융 아연 중 알루미늄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불소 이온 농담전지 센서를 구성하였다. $$(-)W|Zn-Al,\;AlF_3|CaF_2|Bi,BiF_3|W(+)$$ 알루미늄의 농도가 $0.984wt\%$이하인 Zn-Al bath의 온도를 $460\pm10^{\circ}C$로 유지하고 상기의 알루미늄 농도 센서를 이용하여 기전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기전력 값으로부터 최소 자승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알루미늄 농도와 기전력과의 관계식을 얻었다. $$E/mV=56.795log[\%Al]+1881.7\;R=0.9704$$,$$0.026wt\%{\leq}[\%Al]{\leq}0.984wt\%$$

Mg-Al합금 분진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마그네슘 성분의 영향 (Influence of the Magnesium Content on the Explosion Properties of Mg-Al Alloy Dusts)

  • 한우섭;이근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6
    • /
    • 2012
  • Mg-Al합금 분진의 마그네슘 성분 비율이 분진폭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Siwek 20 L 구형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체적평균입경이 $151{\sim}160{\mu}m$의 Mg-Al합금 분진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Mg-Al합금에서의 Mg성분의 증가는 폭발하한농도의 감소와 최대폭발압력의 증가로 나타났다. 또한 Mg-Al합금의 최대폭발압력과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는 주로 분진 농도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Mg-Al (40:60 wt%), Mg-Al (50:50 wt%) 및 Mg-Al (60:40 wt%)의 폭발지수(Kst)에 있어서, 마그네슘 성분의 증가에 따라서 폭발지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미만의 부피비를 가지는 알루미나 나노유체의 유효 열전도도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Al_2O_3$ Nanoparticles Suspended in Water with Low Concentration)

  • 이병호;김준호;공유찬;장석필;구자예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177-2181
    • /
    • 2007
  • In this paper,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water-based $Al_2O_3$-nanofluids with low concentration from 0.01 vol. % to 0.3 vol. % are experimentally obtained by transient hot wire method (THWM). The water-based $Al_2O_3$-nanofluids are manufactured by two-step method which is widely used. To examine suspension and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the water-based $Al_2O_3$-nanofluids, Zeta potential as well as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TEM) is observed. We confirm the manufactured $Al_2O_3$-nanofluids have good suspension and dispersion.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water-based $Al_2O_3$-nanofluids with low concentration are enhanced up to 1.64% compared with that of DI water at $21^{\circ}C$. In addition,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oretical results from Jang and Choi model.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nti-oxidant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lum and Burnt Alum

  • Seo, Hyung-Sik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4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lum (AL) and Burnt Alum (BAL), which are commonly used as external ointments. Methods: Extracts of AL and BAL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20, 50, and $100mg/{\mu}{\ell}$.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using MTT assays in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The anti-oxidant effect was measured by using the DPPH (1, 1-diphenyl-2-picryl-hydrazyl-hydrate) radical scavenge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measured by using the inhibitory efficacy for the amount of nitric-oxide (NO) produced in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Results: BAL showed a higher level of cytotoxicity than AL. The AL group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s, but no significant relevance was found. The BAL group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scavenging effect on DPPH radicals. The scavenging effects of the BAL groups were almost insignificant, but the values for the 20, 50, and $100{\mu}g/m{\ell}$ trials were different. The BAL groups showed significant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ory effects on NO production, but the AL groups did not. Conclusions: AL showed an anti-oxidant effect more efficiently than BAL did, which demonstrated a superior anti-inflammatory effect. Therefore, for external usage, AL must be distinguished from BAL.

Reduction of Ammonia Accumulation and Improvement of Cell Viability by Expression of Urea Cycle Enzymes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 Chung, Myung-Il;Lim, Mi-Hee;Lee, Yun-Jeong;Kim, Ik-Hwan;Kim, Ick-Young;Kim, Jung-Hoe;Chang, Kern-Hee;Kim, Hong-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17-224
    • /
    • 2003
  • Previously, we developed a CHO cell line (CHO-OTC1-Al9) that expresses the first two enzymes in the urea cycle and exhibits a higher ammonia-removing ability and faster growth rate than a vector-controlled CHO cell line (CHO-neo-5). The curr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cell line with an ammonia-removing ability higher than the cell line developed previously. To accomplish this, CHO cell lines expressing the first three, first four, or all five enzymes of the urea cycle were constructed using a stable transfection method. Finally, the CHO-AS-16, CHO-AL-19, and CHO-Arg-11 cell lines expressing the first three, first four, and all five enzymes of the urea cycle, respectively, were selected and found to exhibit higher ammonia-removing ability than the CHO-OTC1-Al9 cell line. Among the three selected cell lines, CHO-AL-19 showed the highest ammonia-removing ability and highest cell viability at a higher cell density, with 40% and 15% lower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than that of CHO-neo-5 and CHO-OTC1-A19 cell lines, respectively. CHO-AL-19 also showed 44% and 10% higher cell viability than the CHO-neo-5 and CHO-OTC-Al9 cell lines, at a higher cell density, respectively. The ammonia concentrations in the culture media were expressed as the ammonia concentration/cell, and the CHO-AL-19 cells revealed 45-60% and 20% lower ammonia concentration/cell than the CHO-neo-5 and CHO-OTC1-Al9 cells, respectively.

알루미늄 농도(濃度)에 따른 소나무 묘목(苗木)의 생장(生長), 영양상태(營養狀態) 및 광합성속도(光合成速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Growth, Nutrient Statu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Pinus densiflora Seedlings in Various Levels of Aluminum Concentrations)

  • 이충화;진현오;이주타 다케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2호
    • /
    • pp.249-254
    • /
    • 1999
  • 여러 가지 Al농도가 소나무 묘목의 생장, 영양상태 및 광합성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수경재배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배양액의 Al농도는 0(대조구), 10, 30 및 60ppm의 4처리구로서 1/5000a 포트에 배양액의 pH를 4.0으로 조절한 후,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2년생 묘목을 배양액에 이식하여 1996년 5월 8일부터 8월 6일까지 90일 동안 온실에서 생육시켰다. 소나무 묘목은 10ppm 이상의 처리구에서 건물생장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소나무 묘목의 상대생장율(RGR) 및 순동화율(NAR)은 배양액의 A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l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순광합성속도도 저하되었다. 이는 Al처리에 의한 소나무 묘목의 RGR 및 NAR저하는 광합성저해가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60ppm 처리구에서 잎의 Ca 및 Mg농도는 대조구 및 10ppm 처리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식물체 각 기관의 Al농도는 10ppm 이상의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이것은 지하부에 축적된 Al에 의해서 뿌리의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양분흡수 능력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지상부의 Ca 및 Mg와 같은 식물생육 필수원소의 농도가 감소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