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kebia quinat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8초

목통 (Akebia quinata Decaisne)의 물추출물이 Clostridium perfringens 및 주요 장내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of Akebia (Akebia quinata Edcaisne) on the Growth of Clotridium perfringens and Some Intestinal Microorganisms)

  • 한복진;우상규;신현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33-640
    • /
    • 1995
  • As a result of screening the medicinal herbs which selectively control human intestinal microflora, water extract of Akebia quinata Decaisne was proved to have a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Clostridium pefringens, a major harmful intestinal bacterium.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ble under the thermal treatment at 100$\circ$C for 120 min and in a range of pH 1 to 11.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 of Akebia quinata Decaisne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ive different strains of Clostridia including C. perfringens. On the contrary, the extract did not inhibit the growths of Bifidobacterium, Lactobacillus, Escherichia coli, Enterococcus faecalis. The extract, however, suppressed markedly the growth of Bacteroides fragili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vitro. Alike in the mixed culture inoculated with human feces as starter, in vivo tests using rats showed that the extract tends to increase the numbers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n the intestinal microflora of rats, whereas those of Clostridia were attenuated.

  • PDF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피부미용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fruit extract and the Effects of Skin)

  • 김민희;최태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39-450
    • /
    • 2015
  • 으름열매는 폴리페놀과 사포닌과 같은 페놀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실험을 통해 으름열매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고,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수분과 유분, 멜라닌과 홍반변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 측정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DPPH소거능이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으름열매 추출물 크림을 사용하였을 때 수분함량 변화, 유분함량 변화, 멜라닌지수, 홍반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으름열매 추출물 함유 화장품이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으름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피부보습, 피부개선효과를 가진 천연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으름 열매를 첨가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the Fruit of Akebia quinata during Fermentation)

  • 이준기;조현주;김경임;윤진아;정강현;송병춘;안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19-627
    • /
    • 2013
  • 으름열매를 각각 0, 1, 3, 5 그리고 7%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총산도, 아미노산, 알코올, 총당은 으름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총균 및 효모수는 모든 실험구가 발효 3일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다. 종합적 관능검사 평가결과는 으름 첨가군 7%에서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은 으름 첨가군 7%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대조군에 비해서 24% 증가하였고 산화질소 억제활성 역시 으름 첨가군 7%에서 대조군에 비해 56% 증가하였다. 항암활성은 전립선암(DU145), 자궁경부암(HeLa), 유방암(MCF-7), 뇌종양(U87) 세포주에서 으름첨가 시 항암활성이 증가하였고. 항균활성은 S. flexneri 균에서 으름첨가 시 항균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으름의 생리활성이 막걸리 및 기타식품에서 기능성 소재 이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여준다.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kebia quinata Decne

  • Rim, A-Ram;Kim, Sun-Jung;Jeon, Kyung-Im;Park, Eun-Ju;Park, Hae-Ryong;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84-87
    • /
    • 2006
  • Antioxidant activity of Akebia quinata Decne was evaluated. Water extract (0.5 g/50 mL) of flowers and leaves of A. quinata were prepared and total phenol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determined for antioxidant activity. The total phenol contents of extracts from A. quinata flowers (FAQ) and leaves (LAQ) were $30.05{\mu}M\;and\;20.23{\mu}M$, whil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AQ and LAQ were 60.51 % and 52.97%,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effect of FAQ and LAQ extract on DNA damage induced by $H_2O_2$ in human lymphocytes was evaluated by comet assay. The FAQ and LAQ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DNA damage induced by $200{\mu}M$ of $H_2O_2$.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of A. quinata Decne flowers and leaves showed significant (p<0.05)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개에서 목통(Akebia quinata Decaisne) 추출물의 이뇨효과 평가 (Evaluation of Diuretic and Hemodynamic Effect of Extract from Akebia quinata Decaisne in Dogs)

  • 한숙희;김예원;현창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3-206
    • /
    • 2012
  • 심부전의 치료는 심방의 용적 과부하를 줄이기 위한 이뇨제, 심실 압력 과부하를 줄이기 위한 혈관확장제, 심근의 수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심제 치료로 이루어진다. 이 중 이뇨제가 개의 심부전 조절에서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장기간의 이뇨제 사용으로 급성 신부전이나 전해질 이상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개에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더 나은 이뇨효과를 가지는 생약성분의 이뇨제를 찾기 위해 설계되었다. 5마리의 건강한 개를 대상으로 한 예비실험에서 목통(Akebia quinata Decaisne) 추출물은 경도에서 중등도의 이뇨효과(furosemide 2 mg/kg 용량 효과의 0.3-0.5배의 효력)를 보였으며 혈청화학 수치와 전해질 변동은 거의 없었다. 실험 개체 수가 적고 기간이 충분하지 않지만 이 실험을 통해 심부전 환자에서 furosemide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생약성분의 이뇨제 성분을 발굴하였다.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ompounds from Akebia quinat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Yen, Nguyen Thi;Thu, Nguyen Van;Zhao, Bing Tian;Lee, Jae Hyun;Kim, Jeong Ah;Son, Jong Keun;Choi, Jae Sui;Woo, Eun Rhan;Woo, Mi Hee;Min, Byung S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7호
    • /
    • pp.1956-1964
    • /
    • 2014
  • To provide the scientific corroboration of the traditional uses of Akebia quinata (Thunb.) Decne., a detailed analytical examination of A. quinata stems was carried out using a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method coupled to photodiode array detector (PDA)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our phenolic substances; cuneataside D (1), 2-(3,4-dihydroxyphenyl)ethyl-O-${\beta}$-D-glucopyranoside (2), 3-caffeoylquinic acid (3) and calceolarioside B (4). Particular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main compound, 3-caffeoylquinic acid (3), which has a range of bio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2-(3,4-dihydroxyphenyl)ethyl-O-${\beta}$-D-glucopyranoside (2) was considered as a discernible marker of A. quinata from its easy confuse plants. The contents of compounds 2 and 3 ranged from 0.72 to 2.68 mg/g and from 1.66 to 5.64 mg/g, respectively. The validation data indicated that this HPLC/PDA assay was used successfully to quantify the four phenolic compounds in A. quinata from different locations using relatively simple conditions and procedures. The pattern-recognition analysis data from 53 samples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allowing discrimination between A. quinata and comparable herb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stablished HPLC/PDA method is suitable for quantitation and pattern-recognition analyses for a quality evaluation of this medicinal herb.

Effect of Beverage Containing Fermented Akebia quinata Extracts on Alcoholic Hangover

  • Jung, Suhan;Lee, Sang Hoon;Song, Young Sun;Lee, Seo Yeon;Kim, So Young;Ko, Kwang 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9-13
    • /
    • 2016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everages containing fermented Akebia quinata extracts on alcoholic hangover. For this study, 25 healthy young men were recruited. All participants consumed 100 mL of water (placebo), commercial hangover beverage A or B, fermented A. quinata leaf (AQL) or fruit (AQF) extract before alcohol consumption. After 1 h, all participants consumed a bottle of Soju, Korean distilled liquor (360 mL), containing 20% alcohol. Blood was collected at 0 h, 1 h, 3 h, and 5 h after alcohol consumption. The plasma alanine transaminase (ALT) activity was highest in the placebo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QL and AQF groups showed decreased ALT activity at 5 h after alcohol consumption.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fter alcohol intake and peaked at 3 h after alcohol consump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 group showed a higher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at 1 h (P<0.05). At 3 h after alcohol consumption, the AQF group showed the lowest mean plasma ethanol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fter 5 h of alcohol consumption, the AQL and AQF groups showed lower plasma ethanol concentrations compared with the B group.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for the fermented A. quinata fruit extract was lower than for the commercial hangover beverages. In conclusion, the present intervention study results suggest that fermented A. quinata extracts alleviate alcoholic hangover and reduce plasma ethanol concentrations.

으름유래 사포닌의 HepG2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세포자살유도 효과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Saponins from Akebia quinata on HepG2 Hepatocarcinoma Cells)

  • 강혜숙;강재선;정우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1-319
    • /
    • 2010
  • 생리활성에 따른 용매분획을 통해 으름(Akebia quinata) 과피로부터 4종의 사포닌을 분리하였다. 으름 과피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층으로 순차분획하였으며 분광학적 분석을 통해 부탄올 분획으로부터3-O-${\alpha}$-L-arabinopyranosyl hederagenin (${\delta}$-hederin), 3-O-${\alpha}$-L-rhamnopyranosyl (1${\rightarrow}$2) ${\alpha}$-L-arabinopyranoly oleanolic acid (${\beta}$-hederin), 3-O-${\beta}$-D-xylopyranosyl (1${\rightarrow}$3) ${\alpha}$-L-arabinopyranosyl hederagenin (saponin C), 및 3-O-${\alpha}$-Lrhamnopyranosyl (1${\rightarrow}$2) ${\alpha}$-L-arabinopyranosyl hederagenin(${\alpha}$-hederin)을 구조동정하였다. 또한, 산분해 분석을 통해 oleanolic acid 및 hederagenin을 해당 sapogenin으로 확인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은 HepG2 간암세포에서 강력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beta}$-hederin의 경우 항세포사멸단백질인 bcl-2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한 모든 화합물은 세포사멸유도효소인 caspase-3의 효소활성을 촉진하였으며 이중 ${\alpha}$-hederin의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으름의 세포자살유도활성을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며 이러한 결과는 으름이 향후 천연항암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으름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Akebia quinata Decaisne Ethanol Extract)

  • 김유진;권순현;송지현;이소미;김용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7-75
    • /
    • 2024
  • 피부는 자외선, 감염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피부 노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피부의 섬유아세포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를 분비한다. MMPs는 세포외기질에 위치하는 콜라겐의 분해를 유도하여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aisne) 줄기는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으름덩굴 줄기 에탄올 추출물(AQSEE)의 항노화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MMP-1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MTT asaay를 통해 AQSEE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400 ㎍/mL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T-qPCR과 ELISA를 통해 MMP-1 mRNA와 단백질 분비를 억제하는지 확인한 결과 100, 200, 400 ㎍/mL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 MAPKs 신호전달경로와 전사인자의 인산화가 감소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p38, c-Jun, p65의 인산화가 모든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AQSEE의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기 위해 DPPH, ABTS assay를 진행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MMP-1 억제 효과와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항노화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으름덩굴(Akebia quinata DECAISNE) 추출물의 항균효과

  • 황현익;이인순;김지은;문혜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1-874
    • /
    • 2001
  • 으름덩굴로부터 식품 보존재 개발을 위하여 실시한 연구 72hr동안 물 추출한 목통의 수용성 물질이 도시락 부패 및 식중독 유발균인 Bacillus subtills KCTC 1021 Bacillus cereus KCTC 1012에 항균력을 나타내있으며, Autoclave($121^{\circ}C$ 15min)를 할 경우 항균물질의 항균 활성이 더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연에 6hr 이상 열수 추출에서는 오히려 추출물의 항균력이 저하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