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irborne Bacteria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31초

양송이 재배사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조사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indoor air of a greenhouse for button mushroom cultivation)

  • 권혁우;최민아;오연이;공원식;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29
    • /
    • 2015
  • 양송이는 재배사라는 밀폐된 환경에서 재배되는 바 양질의 생산을 위해서는 재배사 내 환경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양송이 재배사내 실내환경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재배사 내 온도와 습도는 $19.75{\pm}0.35^{\circ}C$, $87{\pm}3.67%$로 세균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조건이었으며, 부유세균의 농도는 $3.84{\times}10^3cfu/m^3$로서 환경부에서 고시한 실내공기질 오염유지 기준치인 $8.0{\times}10^2cfu/m^3$을 초과하는 수치였다. 분리된 부유세균은 Advenella kashmirensis, Bacillus vietnamensism, B. licheniformis, Burkholderia sordidicola, Fictibacillus phosphorivorans, Lysobacter daejeonensis, Microbacterium esteraromaticum, Pseudomonas aeruginosa, P. protegens, P. gessardii, P. mosseli 등 7속 11종으로 동정되었다.

일부 음식점 주방의 부유세균 및 부유진균 조사연구 (Assessment of Bacterial and Fungal Aerosols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 김종규;박정영;김중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4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irborne bioaerosols such as bacteria and fungi in the kitchens of restaurants,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rmal factors on the levels of the bioaerosols. Methods: Air samples were taken from kitchens of nine restaurants. An Anderson type air sampler was used for sampling and measurements. Petri dishes filled with a microbiological culture medium (trypticase soy agar for bacteria and Sabouraud dextrose agar for fungi) were used as the sampling surface. Results: The levels of bacterial aerosol measured were $10-10^3CFU/m^3$ and fungal aerosol $10-10^2CFU/m^3$, respectively The mean value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in the kitchens were $24.6^{\circ}C$ and 46.4%, respectively. Overall, the levels of bacterial aerosol varied by the restaurant type, and fungal aerosol by the business period (p < 0.05). The main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interaction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to the bacterial level were significant (p < 0.05), whereas th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onto the fungal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a wide variation in the levels of bioaerosols among different kitchens. The observed differences in bioaerosol levels in the kitchens reflect different periods of use. The interactions of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to the bacterial level suggest that constant attention should be paid to avoid peaks of contamination during the summer season.

실내 미생물 입자 살균을 위한 광촉매 기술의 효율 (Effectiveness of Photocatalytic Techniques for Disinfection of Indoor Bioaerosols)

  • 신승호;김모근;조완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785-791
    • /
    • 2007
  •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itanium dioxide ($TiO_{2}$) photo-catalytic air cleaners for the disinfection of bioaerosols present in indoor air. The evaluation included both laboratory and field tests and the tests of hydraulic diameter (HD) and lamp type (LT). Disinfection efficiency of photocatalytic oxidation (PCO) technique was estimated by survival ratio of bacteria or fungi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viable cells which form colonies on the nutrient agar plate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actor coating with $TiO_{2}$ did not enhance the adsorption of bioaerosols, and that the UV irradiation has certain extent of disinfection efficiency. The disinfection efficiency increased as HD decreased, most like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light intensity since the distance of the catalyst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d when increasing the HD. It was further suggested that the mass transfer effects were not as important as the light intensity effects on the PCO disinfection efficiency of bioaerosols. Germicidal lamp was superior to the black lamp for the disinfec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hich is supported by the finding that the disinfection efficiencies were higher when the germicidal lamp was used compared to the black lamp in the laboratory test. These findings, combined with operational attributes such as a low pressure drop across the reactor and ambient temperature operation, can make the PCO reactor a possible tool in the effort to improve indoor bioaerosol levels.

홍콩지하철의 실내공기질 개선사례 연구 (Case Study of Hong Kong Metro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 권순박;조영민;박덕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61-1565
    • /
    • 2008
  • More than 3.4 million people use Hong Kong metro a day. It was first constructed in 1979, and extended to 9 operating lines with 168.1km length operated by Hong Kong Mass Transit Railway Corporation (MTR). In Hong Kong, airborne viruses such as avian influenza (bird's flu) and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air pollution by high-density traffics, bacteria and mold due to relatively high humidity are major concerns on air quality management.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case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conducted by Hong Kong MTR currently. The case includes the photocatalytic coatings on knobs (or hand straps) to prevent outbreak of bird's flu and SARS, the high voltage ionizers installed at metro platform, and the periodical radon monitoring.

  • PDF

생물학적 정보를 활용한 병원에서 존재하는 공기중 부유 세균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유용성 (Usefulness of Chlorine Dioxide to Airborne Bacteria at a Hospital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2020
  • 본 연구에서, 세균의 생물학적 정보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생화학적 정보들을 활용하여, 그람 양성 세균인 Alloiococcus otitis, Erysipelothrix rhusiopathiae, Staphylococcus caprae, Staphylococcus lentus 및 그람 음성 세균인 Acinetobacter baumannii complex, Aeromonas salmonicida, Brucella melitensis, Oligella ureolytica에 대한 이산화염소가스의 성장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는 10 CFU 미만으로 세균의 성장을 약 99 % 억제하였다. 하지만, 그람 양성인 Alloiococcus otitis 및 그람 음성인 Aeromonas salmonicida는 약 50 CFU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세균과의 실험 결과를 비교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는 세균 억제에 대해 10 ppm 내지 400 ppm 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임상에 있는 근무자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예방하는 사전 지식에 도움이 되는 경우, 융합분야 중, 임상에서처럼 환자 치료와 같은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에,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해 억제되는 미생물들의 정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감염된 미생물들을 신속히 억제하는데 기초가되는 연구결과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2003년 태안지역에서 황사 부유분진의 미생물학적 동정과 금속 성분 및 농도 (Microbiological Identification and Distribution of Metal Components in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during Yellow Sand Phenomena at TaeAn Region in 2003)

  • 배강우;김윤섭;김종호;박재석;지영구;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2호
    • /
    • pp.167-173
    • /
    • 2005
  • 연구배경 : 황사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3월에서 5월까지 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대기오염의 주된 원인으로 사람에게 만성 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사기간 중 부유분진 중의 무기이온 성분과 금속성분의 분석에 대한 연구와 천식 등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아직까지 황사의 부유분진중의 미생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황사 현상시 부유분진 중에 박테리아,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의 검출유무와 종류를 알아보고 금속 성분 및 농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시료의 채취는 충남 태안군 파도리에서 cascade impactor(AN-200, USA)를 설치하여 1시간 동안 얻었으며 채취는 황사현상 기간과 비황사기간중 각각 한번씩 시행하였다. Cascade impactor에 의해 채취된 부유분진중의 미생물 검사는 cascade impactor내에 있는 여과지를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 그리고 바이러스의 배지(4종, influenza, parainfluenza, adenovirus, RSV)에 옮긴 후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금속 성분의 분석은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조사 대상 지역의 황사기간과 비황사 기간 중 부유분진의 농도는 각각 80.2, $40.3g/m^3$ 이었다. 부유분진 중 XRF로 분석한 금속성분은 알루미늄과 규소, 황, 칼륨과 칼슘, 철 등 대부분의 금속이 비 황사 기간에 비해 황사 기간에서 농도가 높았다. 미생물 검사 결과상 그람 양성균은 Bacillus species,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가 자랐으며 황사기간보다 비 황사 기간동안 채취한 시료에서 오히려 더 많은 단계의 여과지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나 두 기 간에서 자라는 균주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다. 진균 배양은 비 황사 기간동안 Mucor species, Cladosporum, Alternaria, Aspergillus, Penicillium, Alternaria등의 진균들이 자랐으며, 황사 기간동안은 Penicillium과 Alternaria, 그리고 다른 mold form fungus들이 자랐다. 바이러스와 그람 음성균은 두 기간 다 자라는 균주는 없었다. 결 론 : 이 연구는 황사 기간동안 대기분진 중에 포함된 미생물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황사 현상시 미생물의 검출 종류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개체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금속 성분의 종류는 차이가 없었으나 농도는 황사 현상시에 더 높은 수치를 보여 황사현상에 따른 호흡기 질환자의 주의와 대기오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출시 마스크의 바이오에어로졸 여과효율 평가 (Filtration Efficiencies of Commercial Face Masks in Korea for Biological Aerosols)

  • 최수은;최도선;장성재;박성준;윤충식;이기영;고광표;이정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6-122
    • /
    • 2022
  • Background: The recent COVID-19 pandemic is one of the worst disease outbreaks of the 21th century. Due to a lack of reliable antiviral therapeutics, wearing face masks is recommended to prevent airborne infection originating from virus-contaminated bioaerosol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iltration efficiencies of face mask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South Korea for a biological aerosol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nd murine coronavirus, a well-known surrogate for human coronaviruses. Methods: We collected six different kinds of commercial masks: two Korea Filter (KF)94 (KF94-1, KF94-2) masks, one surgical (Surgical-1) mask, one anti-droplet (KF-AD-1) mask, and two dust (Dust-1, Dust-2) face masks. S. aureus (ATCC 6538), a well-performing test bacteria and murine coronavirus (ATCC VR-764) were prepared under a suitable culture condition. Then, a mask biological filtration tester was used to examine the microbial filtration efficiencies of masks. Test microorganism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via cultivation methods and microbial filtration efficiencies were calculated appropriately. Results: All face masks showed over 99.6% filtration efficiency for S. aureus or murine coronaviru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acterial filtration efficiencies of the face masks. KF94-1 (99.97±0.08%) and Dust-1 mask (99.97±0.07%) showed the highest (over 99.9%) filtration efficiency for murine coronavirus. KF94-1 or Dust-1 masks showed a significant virus filtration efficiency compared to Surgical-1 mask (p<0.05; Mann-Whitney U test). Conclusions: All the commercially available face masks used in this study can filter S. aureus or murine coronavirus in bioaerosols efficiently, regardless of the mask type.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wearing a certified face mask is a reliable means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infectious airborne diseases via biological aerosols.

초등학교내 공기중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사멸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w to Kill Airborne Bacteria and Viruses in Elementary Schools)

  • 이수연;김창수;곽은미;임종언;전재환;권준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66-573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및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19)의 국내 유행 이후 늘어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감염취약계층의 집단감염 위험이 있는 초등학교에서 공기살균기 적용에 따른 공기살균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교의 교실 및 급식실, 화장실에 공기살균기를 각 1대씩 설치하고 공기살균기와 2m 떨어진 거리에서 표면 및 공기 시료를 채취하여 미설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균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표면에서의 살균효과는 대조군 및 시험군 모두 2log CFU/cm2미만의 결과가 나왔으며,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이 54~87%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기중에서의 살균효과는 공기살균기 설치 위치에 따라 살균능력이 차이 났으며, 벽면 설치는 대조군에 비해 최대 91%의 저감 효과를 보였으며, 중앙 설치는 최대 93%의 저감 효과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상시적인 소독을 진행하는 초등학교에서 현재의 방역프로그램을 유지하는 한편 공기살균기의 적용하여 상시적인 공기살균을 병행하면 감염병 전파 방지에 상승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기살균기로의 공기유입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기정화기 적용에 따른 돈사 작업장내 입자상 물질 및 생물학상 물질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Reduction Effect of Air Cleaner on Particulate Matters and Biological Agents in a Swine Facility)

  • 김기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0-76
    • /
    • 2017
  • Objectives: This on-sit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iciency of an air cleaner on particulate matters and biological agents in a swine facility. Materials and Methods: Particulate matter was measured using a real-time monitoring recorder and biological agents were sampled with a one-stage impactor and then analyzed based on the microbial culture method. An experimental process for the reduction effect on airborne pollutants through air cleaner operation consisted of three conditions: no treatment, wet scrapper by water spray and wet scrapper by disinfectant spray. Results: Geometric mean levels of particulate matter(TSP, $PM_{10}$, $PM_{2.5}$ and $PM_1$) were presented at $1,608{\mu}g/m^3$, $1,373.8{\mu}g/m^3$, $401.8{\mu}g/m^3$ and $144.5{\mu}g/m^3$ for no treatment; $1,503{\mu}g/m^3$, $1,017{\mu}g/m^3$, $159.4{\mu}g/m^3$ and $69.8{\mu}g/m^3$ for wet scrapper by water spray; and $1,222.17{\mu}g/m^3$, $477.17{\mu}g/m^3$, $33.2{\mu}g/m^3$ and $11.1{\mu}g/m^3$ for wet scrapper by disinfectant spray, respectively. In the case of biological agents, the geometric averaged concentrations of total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as follows: $45,371cfu/m^3$ and $13,474cfu/m^3$ for no treatment, $43,286cfu/m^3$ and $8,610cfu/m^3$ for wet scrapper by water spray, and $2,440cfu/m^3$ and 1,867 cfu/ for wet scrapper by disinfectant spray, respectively. Regardless of particulate matter and biological agent, the highest concentrations were found for no treatment, while the lowest concentrations were found with wet scrapper by disinfectant spra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on-site evalu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on particulate matter and biological agent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n air cleaner in this study.

축분 퇴비화시스템 운용방식에 따른 실내 대기오염 평가 (Evaluation of Air Quality in the Compost Pilot Plant with Livestock Manure by Operation Types)

  • 김기연;최홍림;고한종;김치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83-294
    • /
    • 2004
  • 본 연구는 환기 방식 및 교반 유무에 따른 축분 퇴비화 시스템 내 대기 및 작업 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측정대상 가스상 물질인 암모니아, 황화수소, 악취농도의 경우 자연환기-미교반시 2.45ppm, 19.96ppb, 15.8, 강제환기-미교반시 7.61ppmm 31.36ppb, 30.2, 자연환기-교반시5.50ppm, 14.69ppb, 46.4, 강제교화기- 교반시 30.12ppm, 39.91ppb, 205.5가 평균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운용조건에 따른 흡입성 분진과 호흡성 분진의 평균 농도는 자연환기-미교반시 368.6${\mu}g$/$m^3$,96.0${\mu}g$/$m^3$, 강제화기-미교반시 283.9${\mu}g$/$m^3$, 119.5${\mu}g$/$m^3$, 자연환기-교반시 208.7${\mu}g$/$m^3$, 139.8${\mu}g$/$m^3$, 강제환기-교반시 209.2${\mu}g$/$m^3$, 131.7${\mu}g$/$m^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총 부유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경우 자연환기-미교반시 28,673cfu/$m^3$, 22,507cfu/$m^3$, 강제환기-미교반시 7,462cfu/$m^3$,3,229cfu/$m^3$, 자연환기-교반시 19,592cfu/$m^3$, 26,376.29cfu/$m^3$, 강제환기-교반시 18,645cfu/$m^3$, 24,581cfu/$m^3$가 평균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체로 가스상 물질은 자연환기와 교반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강제환기와 교반을 하는 경우에 더 많이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흡입성 분진과 총 부유박테리아의 경우, 자연환기-미교반시에 대체로 더 높게 발생된 반면, 호흡성 분진과 총 부유곰팡이의 경우 강제환기-교반시에 더 많이 발생되는 경향을 보였다. 내부 온도와 상대습도는 입자상 물질과 생물학상 오염물질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는 축분 퇴비화시 발생되는 악취 원인물질로 입증되었다. 물리적 요인인 온도와 상대습도는 축분 퇴비화 시스템내에서 주로 입자상 오염물질과 생물학상 오염물질의 발생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로 입증되었는데, 시스템 내부 온도와 상대습도가 높으면 이것들의 농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