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Pollution Index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DNCB로 유도한 아토피 유사 피부염에 지모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Extract on Atopic-Dermatitis like Skin Lesions in DNCB-induced Balb/c Mice)

  • 장유미;김용웅;김미려;임혜선;박건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7-76
    • /
    • 2023
  • Under constant environmental pollution, the incidence of Atopic Dermatitis (AD) caused by air pollutants and allergens has increased. AD is an allergy inflammatory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pruritus, eczema, and skin dryness. In herbal medicine, Anemarrhena asphodeloides (Anemarrhenae Rhizoma; AR) has been utilized to treat Alzheimer's disease, osteoporosis, hypertension, and inflammation. The purpose of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AR in a mouse model of 2,4-dinitrochlorobenzene (DNCB)-induced AD-like skin lesions. After acclimatization for 5 days, the mice (6-week-old, male Balb/c)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6/group): NC (normal control), DNCB (control), Dex (5 mg·kg-1, p.o.), AR100 (100 mg·kg-1, p.o.), and AR300 (300 mg·kg-1, p.o.). On days 1 and 3, 1% DNCB was applied to the skin and ears. After 4 days, 0.5% DNCB was applied once every 2 days for 2 weeks. Then, skin and ears eczema area and severity index (EASI); skin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2) levels; and plasma immunoglobulin E (IgE) levels were examined. The AR groups showed lower EASI, skin and ear thickness, mast cell count, and IgE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s. Moreover, AR reduced iNOS, COX-2, and PGE2 levels. Therefore, AR possesses anti-inflammatory properties and can improve skin damage, indicating its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AD.

Landsat 녹색식생지수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녹지 변화 조사 (A Change Detection of Urban Vegetation of Seoul with Green Vegetation Index Extracted from Landsat Data)

  • 박종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4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ct and evaluate the change of urban vegetation of Seoul during 1980s. Large areas covered with agricultural crops or forests were converted to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roads, schools, sports complexes, etc. There were also widespreas concerns on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urban vegetation due to severe air pollution, overcrowding of nature parks, and idling of farm lands by land speculators. The image used for this study were MSS(Oct. 4, 1979) and TM(Apr. 26, 1990). The Green Vegetation Index of Kauth & Thomas(1976) was for the analysis. The GVI were resampled with 75$\times$75m grids and overlaid with the jurisdictional boundaries of 22 districts of Seoul. The results were reclassified to 6 classes, class 6 representing grids with the most vigorous vegetation or the best vegetation improvement in 1980s.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most vigorous vigorous vegetation, in terms of GVI, of the 1979 image can be found at paddy fields located on alluvial near Han River. Broad-leaf forests located on hilly terrains have higher GVI than conifers located on the upper-parts of mountains. The average GVI of the northern part and southern part of Han River are 3.56 and 3.74,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why the southern part has higher GVI is that there are more prime agricultural lands. Districts of Kangseo, Yangcheon, and Songpa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grids of GVI class 6, and the percentages are 3.55 %, 3.47 %, and 2.69 %, respectively. Second, the most vigorous vegetation of the 1990 image can be found at the grass lands of the Yongsan golf club and the Sungsu horse racing track. The GVI of farm lands is lower than forest because most agricultural crops are at the early stage of growing season when the TM image was taken. The size of built-up area is much larger than of 1979. On the other hand, vegetation patches surrounded by developed area become smaller and have stronger contrast to surrounding area. The average GVI of the northern part and southern part of Han River are 3.57 and 3.51,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why the southern part has lower GVI is the at more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in there during 1980s. Districts of Tobong, Nowon, and Seocho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class 6, and the perecentages are 16.58 %, 10.14 %, and 8.50% respectively. Third, the change of urban vegetation in Seoul during 1980s are significant. Grids of GVI change classes 1 and 2, which represent severe vegetation loss, occupy 15.97% of Seoul. Three districts which lost the most vegetation are Yangcheon, Kangseo, and Songpa, where the percentages of GVI class 1 are 13.42%, 13.39% and 9.06%, respectively. The worst deterioration was mainly caused by residential developments. On the other hand, the vegetation of some part of Seoul improved in this period. Grids of GVI change classes 5 and 6 occupy 9.83 % of Seoul. Distircts of Jung, Yongsan, and Kangnam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grids with GVI change classes 5 and 6, and their percentages are 22.31%, 19.17%, and 13.66%, respectively. The improvement of vegetation occurred in two areas. Forest vegetation is generally improving despite of concerns based on air pollution and heavy use by recreationists. Vegetation in open spaces established in riverside parks, large residential areas, and major public facilities are also improving.

화학사고물질 노출에 따른 피해지역 주민 건강위해성평가: 폼알데하이드 사례를 중심으로 (Health Risk Assessment for Residents after Exposure to Chemical Accidents: Formaldehyde)

  • 박시현;조용성;임희빈;박지훈;이철민;황승율;이청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5
    • /
    • 2021
  • Objectives: Acute exposure to high concentrations of chemicals can occur when a chemical accident takes place. As such exposure can cause ongo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in the soil and groundwater, there is a need for a tool that can assess health effects in the long ter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sessing the health risks of residents living near a chemical accident site due to long-term exposure while considering the temporal concentration changes of the toxic chemicals leaked during the accident until their extinction in the environment using a multimedia environmental dynamics model. Methods: A health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ree cases of formaldehyde chemical accidents. In this study, health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a multimedia environmental dynamics model that considers the behavior of the atmosphere, soil, and water. In addition, the extinction period of formaldehyde in the environment was regarded as extinction in the environment when the concentration in the air and soil fell below the background concentration prior to the accident. The subjects of health risk assessment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age: 0-9 years old, 10-18 years old, 19-64 years old, and over 65 years old. Carcinogenic risk assessment by respiratory exposure and non-carcinogenic risk assessment by soil intake were conducted as well. Results: In the assessment of carcinogenic risk due to respiratory exposure, the excess carcinogenic risk did not exceed 1.0×10-6 in all three chemical accidents, so there was no health effect due to the formaldehyde chemical accident.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non-carcinogenic risk due to soil intake, none of the three chemical accidents had a risk index of 1, so there was no health effect. For all three chemical accidents, the excess cancer risk and hazard index were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0-9. Next, 10-18 years old, 65 years old or older, and 19-64 years old showed the highest risk.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s environmental changes after a chemical accident occurs and until the substance disappears from the environment. It also conducts a health risk assessmen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persistence and concentration change over time. It is thought that it is of significance as a health risk assessment study reflecting the exposure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 substance for an actual chemical accident.

한국 서울 식생의 번성자로서 팥배나무의 형질 변화 양상 (Changes in Leaf and Reproductive Traits of Mountain Ash (Sorbus alnifolia) as Urban Flourisher in the Seoul Metropolitan, South Korea)

  • 정성희;조용찬;이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44-658
    • /
    • 2021
  • 도시 생태계에서 우점 수종의 형질 특성은 분획화 및 고립된 식생, 그리고 생물상호작용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대한 종의 형질 적응과 생태계 기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우리는 한국의 서울 중심에서 남쪽 방향의 4개 산지에서 환경 요인 (지리, 기상 및 토양 속성)을 포함하여 모두 40개체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에서 측정한 4개 유형의 잎 형질 (Leaf area, Specific leaf area, Leaf dry mass content, Leaf shape index)과 7개 유형의 번식 형질 (Fruit width, Fruit length, Fruit shape, Fruit dry weight, Fruit dry matter content, Seed weight 및 Seed ratio)의 평균과 분산 양상, 그리고 형질 조합에 대한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환경 요인은 조사 장소의 개별성을 나타내었지만, 도심 식생이 더 건조하고 생장도일이 길었다. 도심에서 팥배나무의 잎은 작고 무거워지며, 열매는 길쭉하고 가벼운 종자를 생산하여, 오랜 도시화 영향에 따른 형질 반응들이 관찰되었다. 우리의 연구는 식생 파편화 및 고립화에 따른 생물 상호작용 감소를 나타내는 도심 환경에서 팥배나무 집단의 성장 및 번식 기제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우리는 축소된 생물 상호작용 규모, 그리고 대기 오염 같은 부정적 환경 요인이 많은 도시에서 핵심 수종의 기능과 지속성에 관해 제한적이지만 뚜렷한 생태 정보를 제공한다.

요소수(Urea solution)의 온도변화에 따른 요소 및 뷰렛함량 변화 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ange of Urea and Biuret Content by Temperature Variation in Urea Solution)

  • 도진우;박태성;이유림;임의순;이정민;강형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07-1319
    • /
    • 2018
  •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대기오염물질의 저감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량용 요소수(Urea solution)를 이용한 디젤 차량의 질소산화물(NOx) 제거는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요소수의 품질은 국내법으로 엄격히 규정하고 있으나 요소수 내 불순물의 증대는 질소산화물 저감 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정 온도와 시간동안 요소수를 가열한 후 요소수의 물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요소수를 보관하는 저장용기와 저장온도의 변화에 따른 요소수 물성변화도 함께 분석하였다. 요소수를 일정시간 가열한 후 요소수 내 뷰렛함량은 증가하고 요소함량은 감소하였으며, 요소함량감소에 따라 밀도와 굴절률도 함께 감소하였다. 철제 및 PET 용기와 일정온도($30^{\circ}C$, $50^{\circ}C$)에서 실시한 저장안정성 시험에서는 물성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로수 선정 평가기준과 세부지표의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Priority of Evaluation Criteria and Detailed Index for Selecting Street Trees)

  • 김민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2-53
    • /
    • 2021
  • 가로수는 도시환경개선과 환경회복기능, 그리고 차단된 도시녹지의 연결통로로 소생태계 서식처 제공의 역할 등 녹색 네트워크의 핵심 및 자연성 회복의 수단으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가로수는 일반적으로 도시환경에 적응이 우수한 몇 가지 수종을 선별하여 대단위 식재를 해오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편중화에 대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가로수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과 세부지표를 마련하고, 계층적 분석기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가로유형별 중요도를 보면 상업가로는 경관향상성이 0.2640, 세부지표는 수형이 0.1245로 가장 높았다. 업무가로도 경관향상성이 0.2496, 세부지표는 수형이 0.1177로 가장 높아 상업가로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주거가로는 시민편의성이 0.2250, 세부지표는 수형이 0.0936으로 가장 높았다. 일반생활가로는 유지관리성이 0.2479, 수형이 0.1062이었다. 역사경관가로는 지역특성이 0.3488, 세부지표는 상징성이 0.1586, 기념성이 0.1095로 높았다. 생태네트워크가로는 생태계균형성이 0.4266, 세부지표는 종다양성이 0.1643, 자생종이 0.1556으로 높았다. 자동차중심가로는 대기오염저감성이 0.4639, 세부지표는 배기가스 저감이 0.1928, 미세먼지 저감이 0.1765, 이산화탄소 저감이 0.0945로 높게 나타났다. 가로유형별 세부지표 중 수형의 중요도가 공통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가로의 위치 특성 상 가로 경관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가로수 수종 선정 시 가로유형별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기준과 세부지표를 설정하고 중요도의 정량적 기준 제시를 통하여 객관적 수종 선정 기준을 도출하였다.

바이오 연료 적용에 따른 차량 증발가스 및 성능특성 연구 (The Characteristics Study of Vehicle Evaporative Emission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io-Fuel Application)

  • 노경하;이민호;김기호;김신;박천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74-882
    • /
    • 2017
  • 국내 외에서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및 연료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은 새로운 엔진설계, 향상된 후처리장치, 청정연료 그리고 연료품질향상을 통해 자동차의 배출가스 감소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증발가스와 성능, 환경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료의 옥탄가 향상제로 쓰이는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부탄올, 바이오 ETBE (Ethyl Tertia ry Butyl Ether), 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가 환경에 미치는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로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제로 쓰이는 바이오 에탄올, 바이오 부탄올, 바이오 ETBE, MTBE가 휘발유 연료 특성 중 증발가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바이오 연료 특성에 대한 가솔린 자동차의 가속 및 동력 성능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증발가스는 최대 1.04g/test로 모든 시험 연료가 국내 배출가스 기준에 부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원료에 대한 증기압 측정 결과 바이오에탄올 15kPa, 바이오 부탄올 1.6k Pa로 E3급 연료 제조 시 바이오 부탄올 함유량을 늘리면 증기압과 증발가스 또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바이오 연료의 종류에 따라 유사한 가속 및 동력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바이오 부탄올과 바이오 에탄올 비교시 가속 성능이 약 3.9%, 출력은 0.8% 개선되었다.

곤충 다양성 지수를 이용한 도시 및 공단지역 농경지 환경평가 (Evaluation of Farm Lands located in Urban Area and Industrial Complex using Insect Diversity Indices)

  • 최영철;김종길;최지영;김원태;심하식;박병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3-373
    • /
    • 2007
  • 우리나라 도시 및 공단지역의 농경지에 대해 서식하고 있는 지표곤충 및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농업생태계 내의 환경상태를 평가하고자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곤충 서식환경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곤충 상을 조사하였다. 각 조사지역 내에서의 서식식물을 조사하여 식생을 평가한 결과 농업지역의 자연성이 좋았으며, 도시지역 과 공단지역은 자연환경 상태가 다소 떨어졌다. 각 지역별 수질, 토양 및 대기환경을 조사한 결과 농업지역에 비해 도시지역과 공단지역의 수질, 토양중금속, 대기 등 오염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부터 10월까지 서식곤충을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 모두 6월부터 8월까지 가장 많은 곤충이 채집되었으며, 농업지역은 총 12목 106과 166종, 도시지역은 11목 102과 148종, 공단지역은 11목 100과 152종으로 농업지역에서 가장 많은 곤충이 서식하고 있었다. 목별로는 딱정벌레목의 곤충이 가장 많이 서식하였으며, 곤충 군집분석 결과 다양도 지수는 농업지역이 2.36으로 도시지역(1.92)과 공단지역(1.28) 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평가 항목별 기준을 보면 양호한 지역은 농업지역이며, 곤충 다양성 지수 2.1이상, 지표곤충은 남방폭탄먼지벌레, 환경조건은 수질 BOD 4.8 ml/L, 토양중금속 Cd 0.06 ppm이하였다. 보통인 지역은 도시지역이며, 곤충 다양성 지수 1.5-2.0, 지표곤충은 끝동매미충, 환경조건은 수질 BOD 10.98 ml/L, 토양중금속 Cd 0.30 ppm이하였다. 그리고 불량한 지역은 공단지역이며, 곤충 다양성 지수 1.5미만, 지표곤충은 콩잎벌레, 환경조건은 수질 BOD 29.7 ml/L, 토양중금속 Cd 1.01 ppm이었다. 따라서 도시 및 공단지역은 농업지역에 비해 곤충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조건, 특히 식생, 수질, 토양환경이 떨어졌으며, 서식하고 있는 곤충 종수, 개체수 등 서식밀도가 낮은 것으로 보아 이들 농경지에 대한 건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일부 기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 (An Economic Value for the First Precipitation Event during Changma Period)

  • 서경환;최진호
    • 대기
    • /
    • 제32권1호
    • /
    • pp.61-70
    • /
    • 2022
  •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기 위해 수자원 확보, 대기질 개선, 산불 예방 효과, 가뭄 경감효과의 네 항목에 대해서 그 가치를 추산하여 합하였다. 본 연구는 장마의 시작에 동반된 강수에 의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는 첫 논문에 해당한다. 선택된 세 경우에 대해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우리나라 장마 기간에 해당하는 세 가지 사례(2015년, 2019년, 2020년)를 위주로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강수의 세정효과에 따른 대기실 개선 효과(전체의 70~90%를 차지)가 가장 높았으며, 수자원 확보, 가뭄 경감, 산불 예방 순으로 경제적 효과를 불 수 있다. 2)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는 500억~1,500억 정도로 추정된다. 3) 한편 물가상승률(국가지표체계;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을 고려하였을 때의 경제적 가치는 2019년 및 2020년은 2015년 대비 4.9%와 5.4%의 물가상승률이 있기 때문에 그 때의 548~998억원은 574~1,052억 정도로 추산된다. 본 연구는 장마철 첫 강수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특정한 연도(2015년, 2019년, 2020년)의 특정한 항목(수자원 확보, 대기질 개선, 산불 예방 효과, 가뭄 경감 효과)에 대해 한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30년 이상의 과거 자료에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통계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물론 매해 장마 시작의 모습은 달라서 장마 첫 강수를 정의하기에 쉽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정체전선이나 이동성 저기압에 의해 특징 지역만 아주 짧은 시간에 첫 강수가 내리는 경우라든지 또는 이와 반대로 장마의 시작 후에 장기간 동안 계속하여 한반도에 강수를 내리는 경우 등 다양한 모습이 있기에 이에 대한 각각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경제적 측면 외에 다양한 부분에서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수로 인한 댐 유역에서의 물 유입을 통해 수질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도시의 열섬 효과와 열대야를 약화시키는 냉방효과를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장마철 강수로 인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 가령, 장마 기간과 강도를 미리 예측하여 신발, 비옷 등의 판매 및 재고 전략을 통해 기업의 매출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면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모두 고려한다면 본 연구에서에서 측정한 가치보다 훨씬 더 높게 평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좀더 포괄적인 범위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 경제, 수자원, 환경, 농업, 생활적인 측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도시주민(都市住民)과 농촌주민(農村住民)의 호흡기증상(呼吸器症狀) (Comparison of Respiratory Symptom between Urban and Rural Residents)

  • 윤정숙;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8권1호
    • /
    • pp.113-127
    • /
    • 1985
  • 대기오염(大氣汚染)이 비교적 심각(深刻)하다고 생각되는 도시와 농촌과의 호흡기증상을 비교(比較)해 보고자 대구 주민 470명, 포항 364명, 농촌지역인 의성군 주민 472명을 대상(對象)으로 호흡기증상에 대한 설문지를 만들어서 1984년 4월 10일에서 4월 30일까지 각 지역 중 고학생들을 통하여 그들 가족에게 설문하였다. 각 지역에 따른 증상호소율을 볼 때 대체로 도시가 농촌보다 높았는데 특히 ${\ulcorner}$목이 부었다${\lrcorner}$고 느끼거나 ${\ulcorner}$가래${\lrcorner}$, ${\ulcorner}$천식${\lrcorner}$ 증상이 농촌에 비해 도시가 높게 나왔으며(p<0.05), 다만 여자에서 ${\ulcorner}$감기를 심하게 앓는다${\lrcorner}$는 경우는 농촌이 높았다. 연령군(年齡群)에 따라 도시, 농촌을 비교(比較)해 보면 남자 19세 이하군에서 ${\ulcorner}$목이 부었다${\lrcorner}$고 느끼는 경우가 농촌에 비해 포항이 높았으며(p<0.05), 남자 40대에서는 ${\ulcorner}$식은땀${\lrcorner}$, ${\ulcorner}$목의 이물감${\lrcorner}$이 오히려 도시에서 농촌보다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에게서는 도시, 농촌간의 차가 거의 없었고, 직업인에서 ${\ulcorner}$목이 부었다${\lrcorner}$고 느끼는 예가 포항이 농촌보다 높았으며(p<0.05), ${\ulcorner}$감기${\lrcorner}$, ${\ulcorner}$잔기침${\lrcorner}$은 포항이 농촌보다 낮았다(p<0.05). 이상에서 몇 항목에 대해 농촌이 더 높은 것은 농부(農夫)들의 심한 피로(疲勞)와 농약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나 전반적(全般的)으로 볼 때 ${\ulcorner}$천식${\lrcorner}$, ${\ulcorner}$가래${\lrcorner}$ 등 도시가 농촌보다 많은 항목에서 호소율이 높았다. 이는 산업연료(産業燃料), 차량(車輛)의 배기(排氣)가스, 먼지 등의 영향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