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conomic Value for the First Precipitation Event during Changma Period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

  • Seo, Kyong-Hwan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Ho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s,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서경환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
  • 최진호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대기환경과학과)
  • Received : 2022.01.06
  • Accepted : 2022.02.28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is study evaluates the economic values for the several first precipitation events during Changma period. The selected three years are 2015, 2019, and 2020, where average precipitation amounts across the 58 Korean stations are 12.8, 20.1 and 13.3 mm, respectively. The four categories are used to assess the values including air quality improvement, water resource acquisition/accumulation, drought mitigation, and forest fire prevention/recovery. Economic values for these three years are estimated 50~150 billion won. Among the four factors considered, the effect of air quality improvement is most highly valued, amounting to 70 to 90% of the total economic values. Wet decomposition of air pollution (PM10, NO2, CO, and SO2) is the primary reason. The next valuable element is water resource acquisition, which is estimated 9~15 billion won. Effects of drought mitigation and fire prevention are deemed relatively small. This study is the first to estimate the value of the precipitation events during Changma onset. An analysis for more Changma years will be performed to achieve a more reliable estimate.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기 위해 수자원 확보, 대기질 개선, 산불 예방 효과, 가뭄 경감효과의 네 항목에 대해서 그 가치를 추산하여 합하였다. 본 연구는 장마의 시작에 동반된 강수에 의한 경제적 가치를 추산하는 첫 논문에 해당한다. 선택된 세 경우에 대해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최근 우리나라 장마 기간에 해당하는 세 가지 사례(2015년, 2019년, 2020년)를 위주로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강수의 세정효과에 따른 대기실 개선 효과(전체의 70~90%를 차지)가 가장 높았으며, 수자원 확보, 가뭄 경감, 산불 예방 순으로 경제적 효과를 불 수 있다. 2) 장마철 첫 강수의 경제적 가치는 500억~1,500억 정도로 추정된다. 3) 한편 물가상승률(국가지표체계;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226)을 고려하였을 때의 경제적 가치는 2019년 및 2020년은 2015년 대비 4.9%와 5.4%의 물가상승률이 있기 때문에 그 때의 548~998억원은 574~1,052억 정도로 추산된다. 본 연구는 장마철 첫 강수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특정한 연도(2015년, 2019년, 2020년)의 특정한 항목(수자원 확보, 대기질 개선, 산불 예방 효과, 가뭄 경감 효과)에 대해 한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앞으로 30년 이상의 과거 자료에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통계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물론 매해 장마 시작의 모습은 달라서 장마 첫 강수를 정의하기에 쉽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가령 정체전선이나 이동성 저기압에 의해 특징 지역만 아주 짧은 시간에 첫 강수가 내리는 경우라든지 또는 이와 반대로 장마의 시작 후에 장기간 동안 계속하여 한반도에 강수를 내리는 경우 등 다양한 모습이 있기에 이에 대한 각각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네 가지 경제적 측면 외에 다양한 부분에서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수로 인한 댐 유역에서의 물 유입을 통해 수질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도시의 열섬 효과와 열대야를 약화시키는 냉방효과를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장마철 강수로 인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도 활용될 수 있다. 가령, 장마 기간과 강도를 미리 예측하여 신발, 비옷 등의 판매 및 재고 전략을 통해 기업의 매출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면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모두 고려한다면 본 연구에서에서 측정한 가치보다 훨씬 더 높게 평가될 것으로 사료된다. 좀더 포괄적인 범위에서의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 경제, 수자원, 환경, 농업, 생활적인 측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유익한 제언을 해 주신 심사위원님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KMA, 2012: White Note on Changma 20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67 pp.
  2. KMA, 2015: An economic value of spring precipitation during 2015 drought spel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4 pp [Available online at http://www.nims.go.kr/?cate=1&sub_num=755&pageNo=9&state=view&idx=658].
  3. KRI, 2020: K-water Research Institute Annual Report. Kwater Research Institute, 89 pp.
  4. Lee, S. W., K. Lee, J.-Y. Kim, and B.-J. Kim, 2014: Impact of Changma on the retail sales in Jeju. J. Climate Res., 9, 303-314, doi:10.14383/cri.2014.9.4.3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Y.-G., B.-J. Kim, K.-U. Cha, G.-U. Park, and K.-S. Ryoo, 2010: A study on the positive economic values of rain after a long drought: for the rainfall case of 20~21 April, 2009. Atmosphere, 20, 173-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NFA, 2019: White Note on Fire Disaster 2018. National Fire Agency, 189 pp.
  7. Park, S.-Y., K.-S. Ryoo, J.-Y. Kim, and B.-J. Kim, 2014: The case study of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spring rainfall in the aspect of water resources. J. Environ. Sci. Int., 23, 193-205, doi:10.5322/JESI.2014.23.2.1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Seo, K.-H, J.-H. Son, and J.-Y. Lee, 2011: A new look at Changma. Atmosphere, 21, 109-121, doi:10.14191/Atmos.2011.21.1.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Wang, B., 2006: The Asian Monsoon. Springer, 845 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