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r Chemistry

검색결과 986건 처리시간 0.022초

아이소프렌 일차표준가스의 제조 및 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imary gas standards for isoprene)

  • 김태수;강철호;김용두;이승호;김달호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357-363
    • /
    • 2014
  • 아이소프렌은 자연기원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BVOCs) 중의 하나로 대류권 오존 생성 및 포름알데히드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이소프렌은 호흡가스에 포함된 미량 성분으로 폐암과 같은 질병의 진단마커로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기 중 아이소프렌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신뢰성 있는 가스 표준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소프렌 측정용 일차표준가스의 개발을 위해 중량법에 의한 제조 및 특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독립적으로 제조한 일차표준가스들의 농도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로 비교하여 0.01%의 순도를 포함한 중량법에 의한 제조 불확도와 0.08% 수준의 제조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일차표준가스는 14개월간 동안 1.3%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다. 원료의 순도, 질량측정(질량값), 제조 재현성, 흡착성 및 장기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한 $10{\mu}mol/mol$ 수준 아이소프렌 일차표준가스 인증값의 상대 확장불확도는 2.8%(95%의 신뢰수준, k=1.96)이었다.

Poly(vinyl chloride) 유도체로부터 제조된 바이오센서용 고분자막의 기체 투과특성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meric Membranes for Biosensor Prepared from Poly(vinyl chloride) Derivatives)

  • 임춘원;김완영;이연식;윤정원;정용섭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362-366
    • /
    • 1999
  • Poly(vinyl chloride) (PYC) 유도제들로부터 용매증발법을 이용하여 바이오센서용 막을 제조하고 기체 투과특성을 조사하였다. 진공하에서 용매를 증발시켜서 제조된 막보다 공기 중에서 서서히 증발시켜 제조된 막의 투과도 계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VC 유도체 막들에 대한 $CO_2$$O_2$의 투과도 계수는 공급부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Carboxylated poly(vinyl chloride) (CPVC) 에 대한 dioctyl phthalate (DOP)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투과도 계수는 증가하였다. 예를 들면 DOP 30 wt. %를 첨가하였을 때, $CO_2$$O_2$의 투과도 계수는 100 psig에서 각각 2.03, 0.96 Barrer 이었으며, DOP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4~5배 증가하였다.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 (PVCA)를 가수분해함으로써 OH기가 도입된 poly(vinyl chloride-co-vinyl acetate-co-vinyl alcohoI) (Syn-PVCAcAl)에 DOP를 첨가하였을 때 $CO_2$의 투과도 계수에서 시판제품 PVCAcAl보다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O_2$의 투과도 계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여러가지 도판트에 의해 도핑된 전도성 폴리아닐린 LB 박막의 제조 및 전기적 성질 (Preparation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nductive Polyaniline Langmuir-Blodgett Thin Films Doped by Various Dopants)

  • 오세용;오병근;최정우;김형수;이희우;이원홍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172-178
    • /
    • 1997
  • 폴리아닐린(PANI)-stearic acid(SA) 복합물의 단분자막이 공기-물 계면에서 형성되었으며, 계면활성제인 stearic acid는 PANI 단분자막의 형성을 증진시키는데 사용되었다. Langmuir-Blodgett(LB) 기법을 사용하여 약 1의 전이비와 Y형태를 갖는 균일한 PANI-SA의 다층막을 제조하였다. HCI 또는 $I_2$의 도핑에 의해 $10^{-1}{\sim}10^{-2}S/cm$의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PANI-SA 복합막의 LB 필름을 얻었고, 그 값은 전형적인 PANI-HCl 착제와 비슷한 전도도를 나타냈다. 특히 $I_2$는 전자수용체/감광체/전자공여체로 구성된 MIM 분자 device에서 고분자 전극으로 사용하는데 뛰어난 안정성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도판트로 밝혀졌다. PANI-SA LB 필름의 구조와 물리적 성질은 near-ir UV, FT-IR과 Cyclic voltammetry를 통해 조사하였다.

  • PDF

건축물 열환경 특성제어를 위한 상변화 축열재 (Heat Storage Material by Using Phase Change Materials to Control Buildings Therm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 윤희관;한성국;심명진;안대현;이웅목;박종순;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22-526
    • /
    • 2010
  • 축열이용기술은 열저장효과를 이용하여 냉난방 부하가 적을 때 남는 열을 저장하였다가 부하가 증가할 때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열저장 물질의 온도이용 특성에 따라 현열축열과 잠열축열로 구분한다. 잠열축열은 특정 온도 범위에서 상변화 할 때 높은 잠열을 갖는 물질을 이용하여 열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열저장을 위해 소요되는 공간 크기가 현열 축열에 비하여 작아지게 되고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열의 흡수 및 방출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냉난방시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온 상변화물질을 축열재로 사용하여, 건축자재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 석고 등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제조된 물질이 에너지절약성능은 물론 건축자재로서 필요한 물성을 갖추기 위하여 최적배합 방법 및 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중량비로 3% 들어간 축열모르타르의 냉각지연효과는 약 19%로 나타났다.

스낵제조를 위한 보리의 압출성형공정 (Extrusion Process of Barley Flour for Snack Processing)

  • 목철균;알.이.파일러;이.맥도날드;남영중;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9-436
    • /
    • 1984
  • 스낵가공을 위한 보리의 압출성형특성을 조사하였고 가공조건이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압출성형을 위한 원료 보리의 적정 수분함량은 20%였으며 extrudate의 수분함량은 extrusion 온도가 증가할수록 die 크기가 감소할수록 낮았으며 Harper의 실험식에 의한 예측수분함량과 잘 일치하였다. Die swell은 0.98-2.18 정도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150^{\circ}C$ 이상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Extrudate의 밀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die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색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L, a, b 치가 큰 값을 나타내었다. 흡수율과 용해율은 $180^{\circ}C$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으며 호화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Extrudate의 파괴응력, 영률, 최대응력은 온도가 높을수록 die 크기가 작을수록 감소하였으며 파괴점까지의 변형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xtrudate의 내부기공의 크기 및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보리 스낵가공을 위한 최적 extrusion 조건은 스크류 회전속도 160 rpm에서 원료수분함량 20%, 온도 $180^{\circ}C$, die 크기 4.5 mm인 경우이었다.

  • PDF

도파관식 고출력 헬륨 플라즈마의 개발과 분광학적 특성 연구 (Development an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high-power wave guide He Plasma)

  • 이종만;조성일;우진춘;박용남
    • 분석과학
    • /
    • 제25권5호
    • /
    • pp.265-272
    • /
    • 2012
  • 기존의 Okamoto cavity를 변형시킨 WR-340 도파관을 사용한 cavity를 제작하고 고출력(2.45 GHz, 2 kW)의 헬륨, 질소 및 아르곤 마이크로파 플라즈마(MIP; Microwave Induced Plasma)를 성공적으로 형성시켰다. 플라즈마 생성의 주요한 요인들은 내부전도체의 직경과 내부전도체와 외부전도체간의 간격, 내부전도체 끝과 토치의 위치 등이 있으며 그 중 헬륨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에 대하여 cavity의 디자인을 최적화시키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용 mini 토치와 자체 제작한 나선형흐름토치를 비교 연구한 결과, 헬륨 플라즈마 기체 흐름량은 약 25 L/min~30 L/min로서 서로 비슷하였다. 토치 상단부에 석영관을 덧씌워 공기유입을 막은 결과, 340 nm 근처의 NH분자선들이 없어지거나 감소하였다. 플라즈마의 온도 및 전자밀도를 측정한 결과, 4,350 K의 들뜸 온도와 $3.67{\times}10^{11}/cm^3$의 전자밀도를 얻었다. 이 값들은 기존의 다른 마이크로파 플라즈마와 비슷하거나 약간 작은 값이다. 고출력의 플라즈마로서 수용액을 직접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현재 Cl의 검출한계는 116 mg/L 수준으로서 아직 분석적인 최적화가 필요한 단계이다.

붕장어껍질로부터 젤라틴의 제조 및 그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gelatin from conger eel skin)

  • 임치원;김풍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274-281
    • /
    • 1996
  • 어류껍질을 식용 젤라틴의 원료로 이용할 목적으로 붕장어 껍질을 시료로 한 젤라틴의 제조조건과 적정 조건으로 제조한 젤라틴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붕장어 껍질 젤라틴의 적정 제조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탈지 붕장어껍질을 1% 수산화칼슘 현탁액에 2일 동안 침지한 다음 수세 및 탈수하고, 전처리 껍질에 대하여 8배의 증류수를 가하여 $50^{\circ}C$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원심분리 및 감압여과한다. 이를 양이온(Amberlite IR 900) 및 음이온(Amberlite 200C) 교환수지로 통과시키고, 이어서 정제 젤라틴용액을 농축한 다음 건조한다. 시제품 붕장어껍질 젤라틴의 겔강도, 졸화온도, 겔화온도 및 색차와 같은 물리적 특성값은 각각 240.5g, $28.0^{\circ}C,\;21.0^{\circ}C$ 및 20.5이었고, 용해도, 지방흡수력,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과 같은 기능적 특성값은 각각 56.8%, 1.8ml/g, 55.0% 및 48.5%이었으며, 수율은 약 49%이었다. 붕장어점질 젤라틴으로 제조한 유화물을 6% 혼합하여 만든 연제품은 유화물 무첨가 연제품에 비하여 색조를 제외한 개선효과는 없었다. 붕장어껍질 젤라틴을 연제품의 품질개량제로 사용하기 위하여는 제조방법의 개선이나 수식 등의 처리가 이루어져야 하리라 판단되었다.

  • PDF

알코올처리에 의한 찰가자미류껍질 젤라틴의 기능성 개선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Dover Sole Skin Gelatin by Further Ethanol Fractional Precipitation)

  • 조순영;하진환;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29-134
    • /
    • 1995
  • 수산가공부산물인 어류껍질로부터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고품질의 젤라틴을 제조할 목적으로 알코올처리에 의한 찰가자미류껍질 젤라틴의 제조를 시도하였고, 아울러 제조한 젤라틴을 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식품산업에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몇가지 기능 특성도 검토하였다. 알코올처리 조건은 추출 및 탈색 처리한 찰가자미류껍질 젤라틴용액에 최종농도가 30%가 되도록 에탄올을 가하고 $0^{\circ}C$에서 12시간동안 분별침전한 젤라틴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 때의 겔강도, 졸화온도, 겔화온도 및 수율은 각각 223.0 g, $17.7^{\circ}C$, $12.0^{\circ}C$ 및 5.1%로서 에탄올 무처리한 젤라틴에 비해 물리적 특성이 개선되었으나 가축껍질에서 추출한 시판 젤라틴에 비하여 물리적 특성이 낮아 겔화제 등으로 이용하기에는 미흡하였다. 그러나 기능성의 경우 에탄올 처리한 어류껍질 젤라틴이 에탄올 무처리한 어류껍질 젤라틴에 비하여 용해도는 약간 낮았지만 보수력, 지방흡수력,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 거품성 및 거품안정성 등은 훨씬 높았고, 뿐만 아니라 시판되는 가축껍질 젤라틴에 필적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겔화성 이외에의 기능성을 고려한 식품가공소재로서 에탄올로 처리한 찰가자미껍질 젤라틴을 사용하면 제품의 기능 특성은 다소 향상되리라 판단되었다.

  • PDF

생물살수여과법을 이용한 공기중 VOC 및 H2S 제거 (Removal of VOCs and H2S from Waste Gas with Biotrickling Filter)

  • 김경옥;김용제;원양수
    • 공업화학
    • /
    • 제19권5호
    • /
    • pp.519-525
    • /
    • 2008
  • 생물살수여과법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휘발성 유기물질인 toluene, styrene과 악취물질인 $H_2S$를 운전조건에 따른 제거 특성에 대해 실험적 고찰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H_2S$ 제거 특성 고찰을 위한 autotroph과 mixotroph 조건하에서는 $H_2S$ 부하율이 낮은 조건($10g/m^3{\cdot}hr$)에서는 두 조건에서 모두 제거율이 99% 이상을 나타냈다. 부하율이 증가하면서 제거율이 감소하였으며, mixotroph 조건하에서 제거율이 다소 높았다. 방향족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인 toluene과 styrene 농도변화에 따른 부하율과 제거용량 관계에서 toluene 부하율이 $40g/m^3{\cdot}hr$ 이하에서는 농도에 관계없이 제거율이 거의 99%를 나타내나 부하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제거율은 감소하며 부하율이 증가해도 제거용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최고제거용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toluene 농도가 0.2, 0.5과 $1.0g/m^3$일 때 최고제거용량은 각각 40, 45, $60g/m^3{\cdot}hr$으로 나타내고 있다. toluene으로 순응된 살수여과탑에 styrene을 주입하여 순응시킨 후 styrene 제거 실험결과는 toluene 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제거효율이 낮게 나타났다. 순환살수액 유량 등의 적정 운전조건은 탑내 미생물의 활성도, 반응기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물질전달, 탑내 주입된 공기의 분배, 살수액 통과 경로, 미생물 분포도, 공극율 등에 따라 제거효율이 달라지므로 이를 고려한 적정 운전조건이 결정되어야 한다.

식물성 오일에서 구현되는 삼중항-삼중항 소멸법에 의한 Upconversion 분석 (Efficient Triplet-triplet Annihilation-based Upconversion in Vegetable Oils)

  • 신성주;최현석;박은경;현규;한상일;김재혁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39-645
    • /
    • 2016
  • 본 연구는 음용가능한 수준의 비독성, 비휘발성 식물성 오일에서 PtOEP와 DPA를 광감응제와 전자수용체로 이용해 구현되는 효율적인 TTA-UC현상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오일에 PtOEP/DPA를 담지시켰을 때, 탈산소 공정없이도 532 nm의 입사 레이저에서 430 nm 영역의 선명한 green-to-blue UC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양자수율은 약 8%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UC의 효율은 식물성 오일의 화학적 조성, 특히 불포화 탄화수소의 함량과 점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오일에서의 Stern-Volmer 상수값은 유기용매에 비해 다소 낮은 값을 보였으나, 전환효율은 93% 정도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해바라기씨유에서 UC의 전환 입사광 강도($I_{th}$)는 약 $100mW/cm^2$로 태양광의 직접활용에는 아직 무리가 있으나, 산소포화조건에서 비독성 매질을 통해 즉각적으로 구현되는 UC는 비전통적인 방식의 bioimaging과 같은 기술에의 응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