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pesticides

검색결과 710건 처리시간 0.033초

농약의 사용과정과 중독에 관한 사회의학적 고찰 (A Socio-medical Study on the Usage and Poisoning of Pesticides)

  • 차민영;차형훈;염용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9권1호
    • /
    • pp.18-26
    • /
    • 1984
  • With the increase of using pesticides, pesticide poisonings become more frequent. In the previous epidemiological study on pesticide poisoning and the report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it is carefully affirmed that pesticide poisonings are caused by farmers' ignorance and negligence in using the pesticides. But the pesticide poisoning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erms of the person who sprays the pesticides, its spraying process, farming style and farmers'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mentioned above, preventive measures for pesticide poisoning should be established. In this socio-med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 health problems caused by using pesticides and the treatment of pesticide poisoning,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farmers in a area of Kyunggi-Do about the spraying process of pesticides, poisoning experiences and its trea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tyle of spraying pesticides in the target area is mostly an individual one, not cooperative one. And the subjects of spraying are householders, whose educational backgrounds are beneath notice. More than 2~5 of the subjects are women or old men of 60 years old or so. These are seen to derive from the socio-economic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families; their younger generation's moving to greater cities and their petty farming styles. 2) As for the safety measures for the spraying of pesticides, those whi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economic, problems such as efficient spraying and productivity, are well obeyed. On the other hand, some safety measures as the use of safety devices, and spraying time, the degree of dilution of pesticides and the spraying method In windy days, are not obeyed very well, for to keep those makes spraying difficult to do and productivity worse. These facts indicate that the safety measures for using pesticides must be directly concerned with the spraying process, farming style and farmers' socio economic status, rather than the subject's knowledge or carefulness. 3) Even In cases of poisoning they do rarely consult the doctors. This is caused by the problem of their locality and transportation since one should pass away a day even in the busiest season to consult doctors, and by their low socio-economic status. 4)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n pesticide poisonings should be necessarily led to a socio-medical one which are concerned together with the spraying process of pesticides, farming style, farmer's socio-economic status and discrepancies in public health policies between agricultural communities and urban ones.

  • PDF

Biocides의 국제적 규제동향 (International Movement of Biocides Regulation)

  • 박정규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15-122
    • /
    • 2000
  • Biocides, or non-agricultural pesticides, are a broad class of chemical. They are including biological agents used to disinfect/sanitize, pesticides for non-agricultural use, wood preservatives, antifoulants, etc. Since the early 1980s, many adverse effects of biocides to human health and ecosystem have been found in the world. Especially, antifouling biocide like TBT caused serious toxic effects on the marine organisms. Therefore, OECD began to work on biocides in mid 1996 to help Member countries co-operate in the assessment and registration of these products. EU also announced the Biocidal Products Directive (BPD, 98/8/EC) in 1998 to harmonize regulatory approaches to allow EU countries to conduct evaluations of biocides more efficiently. Korea just start to consider of biocides regulation. Some biocides products are regulated, but not all the biocides which are using in Korea. Therefore, we need to make a appropriate regulation for the all biocides categories. In addition, there are necessary to develop risk assessment tools, to survey the use pattern and amount, to research on the ecosystem contamination by the biocides .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 removal in foods (Perilla Leaves, Strawberries, Apples)

  • Seung-Woon Myung
    • 분석과학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24
  • In agricultural households cultivating vegetables and fruits, the use of various pesticides to protect crops from diseases and pests or to control weeds is widely practiced enhancing quality and productivity. However, pesticides can pose a threat to consumer health by remaining on the food surface or migrating into the food interior. Households commonly peel off skins, wash with water, or use chemical method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residual pesticides on the food surfac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washing rate by comparing the pesticide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washing in the leafy vegetable perilla leaves and the fruits strawberries and apples, which were intentionally exposed to pesticides. We compared washing rates using tap water, a baking soda solution,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food-specific cleaning solution. The target pesticides for analysis were azoxystrobin, bifenthrin, boscalid, difenoconazole, flubendiamide, and indoxacarb, and the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C-MS/MS or LC-MS/MS. The removal rates of pesticides were highest with the food-specific cleaner, followed by baking soda and tap water in order.

언론에 보도된 농산물 중 유해물질 동향 분석 (Trend Analysis of Hazard Substances in/on Agricultural Products Reported by Press)

  • 이제봉;문병철;진용덕;권혜영;임건재;홍무기;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34-440
    • /
    • 2011
  •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동안 국내 언론에 보도된 농산물 중 유해물질에 대한 기사를 조사 분석하여 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유해물질 관리지침 및 안전사용기준 설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인터넷 포털사이트, 신문 등에 게재된 기사 중 유해물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지난 5년 동안 언론에 보도된 농산물 중에 검출된 유해요인으로는 잔류농약, 중금속 등이 대부분이었다. 분석결과 농약의 경우 연도별 검출성분이 14~34종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씩 증가했으나 보도횟수는 정체상태였으며 중금속은 오염사고발생 3~13건, 보도횟수 42~112회로 증가하는 추세였다. 지난 5년간 국내 농식품 중에서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를 포함한 65종이었으며, 다 검출성분은 chlorpyrifos, endosulfan, carbendazim, azoxystrobin, procymidone 등이었다. 잔류농약 검출이 많이 되는 작물로는 깻잎, 상추, 부추, 시금치 등 대부분 엽채류였으므로 엽채류에 대한 농약모니터링, 위해성평가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납 농산물 중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Carbamate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Supplied for the Army)

  • 박종고;나익주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6-271
    • /
    • 2006
  • 본 연구는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납품된 14종 농산물 356점 중 카바메이트계 농약 10종 (aldicarb, bendiocarb, carbaryl, carbofuran, ethiofencarb, fenobucarb, methiocarb, mehtomyl, isoprocarb, propoxur)을 분석하였다. 대상 농산물 356점중 카바메이트계 농약이 12건 검출율(2.53%)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2종류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1건으로 0.27% 이었다. 군납 농산물중 methomyl(0.84%)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carbofuran(0.56%), ethiofencarb(0.56%), carbaryl(0.28%) 순으로 나타났다. Aldicarb, bendiocarb, fenobucarb, methioarb, isoprocarb, propoxur 은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농약은 상추에서 ethiofencarb(0.29 ppm), 고추에서 carbofuran(0.24 ppm), 시금치에서 methomyl(0.23 ppm), carbaryl(0.01 ppm), 배추에서 carbofuran(0.20 ppm), 오이에서 methomyl(0.12 ppm), 쑥갓에서 ethiofencarb(0.01 ppm), 파에서 methomyl(0.01 ppm) 이었으나 모두 MRL 미만으로 안전하였다.

항공방제용 농약의 혼용가능 조합 선발 및 생물효과 (Selection and Bioactivity of Tank Mix Combinations of Pesticides for Aerial Application)

  • 진용덕;이희동;심홍식;이상계;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3-413
    • /
    • 2008
  • 벼의 주요 병해충인 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 벼멸구 및 나방류를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항공방제용 고농도 소량살포 가능 농약혼용조합 209조합에 대하여 시험한 결과, 벼는 물론 주변작물에 약해가 없고 살포액의 물리성이 양호한 tricyclazole SC + validamycin-A SL + imidacloprid SL 등 우수 혼용조합 93 조합을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조합의 항공살포에 의한 약효는 일반살포의 방제효과와 비슷하였다. 또한 유인헬기에 의한 항공방제는 일반 관행살포에 비해 방제비용을 1/4 수준으로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내 농산물우수관리인증 농산물의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 조사 (Monitoring of Unregistered Pesticides Contaminated in the Domestic Crops Grown under Good Agricultural Practices)

  • 김준성;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5-283
    • /
    • 2017
  • 2014년부터 2016년 5월까지 3,313건의 농산물우수관리 기준으로 재배되는 농산물(GAP 농산물)에 대한 미등록농약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등록농약 오염에 의한 부적합 건수가 잔류허용기준을 초과에 의한 부적합 건수보다 훨씬 많았다. 미등록농약이 검출되어 부적합 판정된 GAP 농산물의 대부분은 소면적엽채류 작물이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작물에 등록된 농약이 곡류나 과일류보다 훨씬 부족하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제가 끝난 농약 살포기를 세척하여도 살포기 내에 농약이 어느 정도 잔류할 수 있으며, 이 때 잔류한 농약이 허용되지 않은 작물에 비의도적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침체된 우리나라의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모든 농작물에 농약이 충분히 등록되어야 하고, 또한 농약 살포기에 잔류한 농약이 완전히 세척되지 않는 경우를 감안하여 미등록 농약이 비의도적으로 농작물에 이행되는 것이 일정량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

강원도산 농산물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Survey on the Contents of Residual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Products on Kangweon-Do)

  • 심태흠;이태준;김기철;유미정;정의호;이해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49-156
    • /
    • 1992
  • '90년 '91년 2개년에 걸쳐 강원도내에서 생산 또는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35종에 대하여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보건위생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염소제 및 유기인제 등을 ECD와 NPD가 부착된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농산물 157건 중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76건으로서 48.4%이었고, 이중 2종류 이상의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은 24건으로서 15.3%를 점하고 있다. 특히 Captan은 대산 농산물 81건 중 43건에서 검출되어 검출률이 53.1%이었다. 2. Endrin , Captafol. Parathion , Fenitrothion , Fenthion 및 EPN은 전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각 농약의 잔류량은 DDT가 ND-0.138 ppm, BHC가 ND-0.142 ppm, Aldrin 및 Dieldrin이 ND-0.010 ppm, CAptan이 ND-1.067 ppm, Diazinon이 ND-0.060 ppm, malathion이 ND-0.075 ppm, Phenthoate가 ND-0.009 ppm, DDVP가 ND-0.040 ppm이었다. 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농산물은 1건도 없었다.

  • PDF

유통 친환경 과실류와 과채류 중 농약잔류 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Environment Friendly Fruits and Fruiting Vegetables)

  • 이재윤;노현호;박소현;이광헌;박효경;홍수명;김두호;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8-314
    • /
    • 2012
  • 국내 유통 중인 친환경농산물 중 과채류와 과실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통해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을 포함한 전국 8개 도시 9개 지점의 대형마트와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점에서 25종의 과채류와 과실류를 555점 채취한 후 acetamiprid를 포함한 245종 농약을 대상으로 GC-ECD/NPD와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농약으로 추정되는 peak는 GC-MSD를 이용하여 재확인하였다. 잔류농약 분석결과 555점의 시료 중 사과를 포함한 4점의 시료에서 bifenthrin, EPN 및 chlorpyrifos가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0.72%이었다. 농약이 검출된 4점의 시료 중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 이내였으나 EPN이 검출된 배는 잔류량이 허용수준인 MRL의 1/20을 초과하였다. 일일최대섭취허용량(maximum permissible intake, MPI) 대비 일일섭취추정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은 0.76% 미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