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Search Result 1,01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분자지표를 이용한 고려인삼의 유전적 특성 비교 (Comparative Gen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using DNA Markers)

  • 신미란;조익현;정종욱;김영창;이승호;김장욱;현동윤;김동휘;김기홍;문지영;노봉수;강성택;이동진;방경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44-454
    • /
    • 2013
  • The development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expressed sequence tag-derived simple sequence repeats (EST-SSRs) provided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Korean ginseng genetic diversity. In this study, 18 polymorphic markers (7 RAPD and 11 EST-SSR) selected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in 31 ginseng accessions (11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20 breeding lines). In RAPD analysis, a total of 53 unique polymorphic bands were obtained from ginseng accessions and number of amplicons ranged from 4 to 11 with a mean of 7.5 bands. Pair-wise genetic similarity coefficient (Nei) among all pairs of ginseng accessions varied from 0.01 to 0.32, with a mean of 0.11. On the basis of the resulting data, the 31 ginseng accessions were grouped into six clusters. As a result of EST-SSR analysis, 11 EST-SSR markers detected polymorphisms among the 31 ginseng accessions and revealed 49 alleles with a mean of 4.45 alleles per primer.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 ranged from 0.06 to 0.31, with an average of 0.198. The 31 ginseng accession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Nei's genetic distance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ginseng-specific RAPD and EST-SSR markers may prov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genetic diversity and discrimination of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리기테다 소나무 솔방울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DNA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of Pinus rigida × taeda Cone)

  • 최지수;장태원;민영실;이만효;박재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68-176
    • /
    • 2020
  • 활성산소종이 DNA를 손상하고 암을 유발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항산화 물질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기테다 소나무 솔방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된 DNA 손상 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환원력, Fe2+ 킬레이팅 활성을 평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과 연관된 총 페놀 및 비타민 C의 함량도 분석하여 식물 화학물질을 확인하였다.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효과는 φX-174 RF I plasmid DNA 절단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환원력과 Fe2+ 킬레이팅 활성은 200 ㎍/㎖에서 각각 77.32 ± 2.28%, 64.09 ± 1.01%의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리기테다 소나무 솔방울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plasmid DNA 보호 효과를 보였다.

도시내(都市內) 고립(孤立)된 임지(林地)의 식생경관(植生景觀) 특성(特性)과 비오톱 다양성(多樣性) 평가(評價):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3개(個) 공원(公園)을 대상(對象)으로 (Vegetatio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Biotope Diversity in the Isolated Forests on the Urban Areas: Case Study on the Three Parks, Daegu Metropolitan City)

  • 권진오;조현제;최명섭;오정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62-467
    • /
    • 2005
  • 도시림의 경관생태학적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시가지에 분포하는 고립된 잔존 임지 3개 공원을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을 구분하고, 그 기능적 등급과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비오톱 유형은 소분류군을 기준으로 대개 15~20개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공원 면적이 클수록 비오톱 유형의 다양성과 평균 면적도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비오톱 등급은 생물이 살아가기에 부적당한 낮음(1~3등급)이 전체의 72.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높음(7~9등급)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기능적 가치등급에 있어서는 중간(등급 3)과 그 이하(등급 4~5)가 대부분으로 나타났으며 비오톱 공간 면적이 클수록 등급도 다소 높아지고, 등급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저온역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생경관의 구성적 특성은 아까시나무, 상수리나무가 공원에 관계없이 우점경관요소형으로 나타나 아주 단순하였으며, 그 평균 면적도 대개 1 ha미만의 아주 작은 공간규모를 나타내어 산림생태계 구성요소로서의 기능적 역할의 연속성에 많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도시내 잔존 임지에 있어서 비오톱 유형의 다양성과 기능적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각 유형별 생태적 최소면적을 확보를 위한 유사 비오톱 유형의 공간적 통합을 위한 경관생태시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인공신경망 기반 온실 외부 온도 예측을 통한 난방부하 추정 (Outside Temperature Prediction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stimating the Heating Load in Greenhouse)

  • 김상엽;박경섭;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4호
    • /
    • pp.129-134
    • /
    • 2018
  • 최근, 인공신경망 모델은 예측, 수치제어, 로봇제어, 패턴인식 등의 분야에서 촉망되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온실 외부 온도를 예측하고 이를 온실제어에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다중회귀모델과 SVM 모델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10-Fold Cross Validation을 사용하였으며,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해 상관관계분석 통해 데이터 축소를 수행하였고, 측정 데이터로부터 새로운 Factor 추출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인공신경망 구축을 위해 Backpropagation algorithm을 사용하였으며, 다중회귀모델은 M5 method로 구축하였고, SVM 모델을 epsilon-SVM으로 구축하였다. 각 모델의 비교분석 결과 각각 0.9256, 1.8503과 7.5521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모델을 온실 난방부하 계산에 적용함으로써 온실에 사용되는 에너지 비용 절감을 통한 수입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실험한 온실의 난방부하는 3326.4kcal/h이며, 총 난방시간이 $10000^{\circ}C/h$일 때 연료소비량은 453.8L로 예측된다. 아울러 데이터 마이닝 기술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정밀온실제어, 재배기법, 수확예측 등 다양한 농업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스마트 농업으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콩 종간교잡에서 주요형질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Agronomic Characters in Interspecific Cross in Soybean)

  • 이정동;권택화;조호영;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1-8
    • /
    • 2002
  • 재배종과 야생종의 인공교잡 분리세대에서 주요형질들의 변이와 유전력을 조사하여 야생종을 이용한 콩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두 인공교배의 $F_2$ 집단에서 100립중을 제외한 나머지 조사 형질들은 초월분리를 보였다. $F_1$$F_2$의 평균 개화일수는 양친의 중간정도로 정규분포를 보였다. 백립중의 $F_1$ 평균은 은하콩, 소백나물콩 두 조합 각각 6.2, 5.7g으로 소립종 쪽으로 치우쳤으며, 입중의 분포는 소립종 쪽으로 치우친 정규분포를 보였다. $F_2$의 평균수량은 양친의 중간정도이었다. $F_1$의 덩굴성은 두 조합 각각 6.4, 6.6이었으며 $F_2$ 평균은 은하콩 조합이 6.0으로 덩굴성 쪽으로 치우쳐 덩굴성이 부분적인 우성을 보였으나, 소백나물콩 조합에서는 4.6으로 은하콩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경장, 개화일수, 개체당 협수, 수량, 도복, 덩굴성 등은 높은 광의의 유전력을 보였으며 100립중은 협의의 유전력이 은하콩 조합에서 52.3%, 소백나물콩 조합에서 65.6%로 평가되어 초기세대에서의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에 대하여 (Distribution of Races of Pyricularia oryzae in Kyungpook Province)

  • 이준탁;추연대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12-118
    • /
    • 1987
  • 경북도내(慶北道內) 각(各) 지역별(地域別) 벼 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 분포(分布) 및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耐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경북면방(慶北面方)에서의 벼도열병균(稻熱病菌)레이스의 조성(組成)은 KJ군(群) 레이스 5종(種), KI군(群) 레이스 6종(種)으로 총(總)11개(個) 레이스가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가장 많이 우점(優占)된 레이스는 KJ301로서 그 분포(分布) 비율(比率)이 37.9~39.0%였고 그 다음으로 KJ401, KJ201, KJ101, KI3I5, KJ105, KI307, $KI315^b$의 순(順)이었다. 레이스군별(軍別)로는 KJ군(群)레이스가 우점도(優占度)가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우점(優占)레이스는 거의 KJ301이었다. KI군(群)레이스 분포비율(分布比率)은 남부(南部), 연해부(沿海部)에 비(比)해 중(中), 북부(北部) 지역(地域)이 높았다. 레이스군별(軍別) 분포비율(分布比率) 변동(變動)은 주(主)로 벼품종별(品種別) 식부면적(植付面積)과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며 Blasticidin-S 내성균(耐性菌)에 의한 영향(影響)은 없었다.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되고 있는 벼도열병균(稻熱病菌)의 Blasticidin-S에 대(對)한 내성균(耐性菌)의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31.2%였으며 지역별(地域別)로는 남부지역(南部地域)이 43.2%로 가장 높았고 중부(中部) 29.4%, 북부(北部) 25.0%, 연해부(沿海部) 지역(地域)이 10.5%로 가장 낮았다. 내성균(耐性菌) 분포(分布) 비율(比率)은 레이스군별(軍別) 분포(分布) 비율(比率)과는 일정(一定)한 관계(關係)가 없었으나 도열병(稻熱病) 살균제(殺菌劑) 사용량(使用量)과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 PDF

경대식(慶大式) 분무(噴霧) 수경재배(水耕栽培)를 통(通)한 청초(靑草) 사료(飼料)의 연중(年中) 생산체계(生産体系) 확립(確立)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여름철 옥수수 청초(靑草) 사료생산(飼料生産)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Year-Round Fresh Forage Production System through the Kyungpook University's Spraying Hydrophonics -II. Fresh Corn Forage Production in Summer)

  • 김달웅;김인섭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29-33
    • /
    • 1984
  • 여름철에 분무(噴霧) 수경재배(水耕栽培)를 통(通)해 옥수수의 청초(靑草) 사료(飼料) 생산(生産)에 관(關)한 실험(實驗)을 하기 위하여 1985년(年) 6월(月) 28일(日)부터 7월(月) 17일(日) 까지 경북대학교내(慶北大學校內) 비닐하우스에서 실시(實施)한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24시간(時間) 침종(浸種)후 48시간(時間) 전처리(前處理)한 다음 치상한 것이 생육(生育)에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2) 육묘(育苗) 상자당(箱子當) 450 g 치상한 것이 생초(生草) 1kg 생육(生育)에 드는 종자(種子)값이 가장 적게 들었다. 3) Hyponex 1,000배, Yogen 300배로 영양제(營養劑)를 매일(每日) 산포(散布)하는 것이 생체중(生體重)이 가장 무거웠고, 2일(日)에 1회(回) 산포시(散布時)는 Yogen 300배로, 3일(日)에 1회(回) 산포시(散布時)는 Hyponex 500배로 산포(散布)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思料)된다. 그러나 생초(生草) 1 kg 생육(生育)에 드는 최소(最少)의 종자(種子)값만 73만원 정도(程度)의 비용(費用)이 들므로 여름철엔 청초(靑草) 사료(飼料) 구입(購入)이 용이(容易)한 계절(季節)인 관계(關係)로 여름철에 별(別)로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이 못된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이중(二重)비닐하우스이 보온효과(保溫效果) (Effect of Heat Conservation for the Double Covered Vinyl House)

  • 이석건;백철만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91-97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실험용(實驗用)의 소형(小型) 비닐하우스를 제작(製作)하여 이중(二重) 비닐하우스의 보온효과(保溫效果)를 단일(單一)비닐하우스와 비교(比較)함으로서, 무가온(無加溫) 비닐하우스에 대(對)한 보온성(保溫性)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피복방법(被覆方法)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외기온(外氣溫)이 $-1.0^{\circ}C{\sim}7.5^{\circ}C$, 일사량(日射量)의 최대치(最大値)가 $1.02MJ/m^2$인 측량기간중(測量期間中)에 있어서, 이중(二重)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단일(單一)비닐하우스보다 1일(日) 평균(平均) $1.2^{\circ}C$ 높았다. 2. 측정기간중(測定期間中)의 평균치(平均値)에 대(對)하여, 이중(二重)비닐하우스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단일(單一)비닐하우스보다 주간(晝間)에는 $2.3^{\circ}C$, 야간(夜間)에는 $1.2^{\circ}C$높았다. 3. 실험용(實驗用) 비닐하우스에 대(對)하여, 비닐하우스 내부온도(內部溫度)는 외기온(外氣溫)과 (식(式)1)~(식(式)6), 일사량(日射量)과 (식(式)7)~(식(式)10)의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었다. 4. 외기온(外氣溫)을 기준(基準)으로 한 이중(二重) 비닐하우스에 보온효과(保溫效果)는 단일(單一) 비닐하우스에 비(比)하여, 주간(晝間)에는 1.20배(倍), 야간(夜間)에는 1.76배(倍)로 나타나, 야간(夜間)이 주간(晝間)보다 높았다.

  • PDF

콤바인 예취날의 형상이 볏짚절단저항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the shape of cutting blade on cutting resistance of rice stalk)

  • 최우영;김태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2권
    • /
    • pp.41-48
    • /
    • 2004
  • 본 연구는 예취시 벼 줄기의 절단 저항이 적은 콤바인 예취날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하여 예취날의 윗날 내부에 면적 $75mm^2$의 평면 홈을 가공한 개발날과 시중에 판매되는 예취날을 사용하여 절단속도비와 볏짚의 함수율을 인자로 미예취시 예취날의 구동 마찰저항과 예취저항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취날 속도 0.37m/s에서 0.55m/s범위 내에서 단날 구동시의 예취날 구동 마찰저항은 홈 가공을 한 개발 날이 평균 $0.12kg{\cdot}m$로 홈 가공을 하지 않은 기존 날의 평균 $0.16kg{\cdot}m$에 비해 2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양날 구동방식에서도 홈 가공을 한 개발말이 기존날에 비해 평균 26%정도 구동 마찰저항이 낮게 나타났다. 2. 절단속도비 10.에서 1.5범위 내에서 홈을 가공한 개발날의 볏짚 예취 저항은 기존 날에 비해 볏짚의 함수율 14.2%, 55.3%, 84.2%에 대해 각각 평균 12%, 15%, 20% 낮게 나타났다. 3. 예취날 구동 방식에 따른 볏짚 예취 저항은 양날구동방식이 $0.20kg{\cdot}m$로 단날 구동방식의 $0.24kg{\cdot}m$에 비해 평균 17%정도 낮게 나타났다. 4. 예취날의 최적 속도비는 볏짚의 함수율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함수율 14.2%, 84.2%에 대해 각각 1.2, 1.4로 나타났다.

  • PDF

경운기 부착형 마늘 파종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arlic Seeder)

  • 임학규;김태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2권
    • /
    • pp.19-27
    • /
    • 2004
  • 마늘 총 재배면적은 우리나라 채소재배면적의 약 9%을 점유하고 있으며, 연간 수요량도 1,000~1,500톤 정도씩 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개인 소비량도 약 10kg 내외로 매년 증가추세이므로 농가에서는 중요한 소득 작물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경운기 부착형 마늘 자동 파종기 개발에 필요한 설계인자 구명을 위하여 파종 작업과정, 파종방법, 마늘 종구의 파종깊이와 파종자세에 따른 생육상태를 조사하였고 마늘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마늘 인편을 자유 낙하시켰을 경우의 인편의 착지자세를 조사하였다. 또한 가장 핵심 부분인 마늘 배종 장치의 자동정렬장치 개발을 위해 Working Model 3D Program를 이용하여 설계요소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늘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 폭 3cm, 높이 3cm 길이 4cm로 나타났다. 2. 마늘의 무게는 평균 4g정도였다. 3. 마늘 파종 깊이는 3cm가 적정함을 알 수 있었다. 4. 마늘 배종장치는 마늘을 자유 낙하시키는 장치로 개발한다. 5. 마늘을 15cm의 일정한 간격으로 파종하기 위해서 종구는 약 0.75초마다 하나씩 파종기에서 배종되어야 한다. 6. 마늘 자동정렬장치의 설계인자는 원통의 지름(D) 4cm, 원통사이의 거리(d) 1cm, 회전수 36rpm, 원통의 경사각(${\Theta}$) $8.4^{\circ}$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