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ing data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참여활동이 고령자 인지기능 손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간 차이 분석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 among Korean Older Adults: Comparative Stud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 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26-3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고령자와 농촌 고령자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인지기능 손상 정도(정상, 경증 인지기능저하, 중증 치매 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6차(2016년)와 7차(2018년)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데이터 중 55세 이상 고령자 5,6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어떤 유형이든지 사회참여활동 하는 것이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은 도시와 농촌 둘 다 일관되게 유의하였으나,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있었다. 즉, 도시와 농촌에 사는지에 따라 정상군에서 인지기능저하 또는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 활동 유형과 인지기능저하에서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유의한 유형이 달랐다. 따라서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매 중증도를 완화하는 데 사회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돼야 하며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개입이 요구됨을 함의한다.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중심 -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ognitive function)

  • 김민성;이원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26-737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령화 연구패널 2018년 7차 자료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4,284명을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 수준은 치매의심 13.8%, 인지기능저하 23.8%, 정상 62.4%이며 삶의 만족도는 59.304점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혼인 요인에서 유의미하였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혼인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였을 때 독립변수 건강증진행위 중 음주, 규칙적 운동 요인에서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반면에 일상생활활동제한은 유의미한 부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건강증진행위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On the NiTi wires in dampers for stayed cables

  • Torra, Vicenc;Carreras, Guillem;Casciati, Sara;Terriault, Patrick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353-374
    • /
    • 2014
  • Recent studies were dedicated to the realization of measurements on stay-cable samples of different geometry and static conditions as available at several facilities. The elaboration of the acquired data showed a a satisfactory efficacy of the dampers made of NiTi wires in smoothing the cable oscillations. A further attempt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achieved results beyond the specific case-studies represented by the tested cable-stayed samples is herein pursued. Comparative studies are carried out by varying the diameter of the NiTi wire so that similar measurements can be taken also from laboratory steel cables of reduced size. Details of the preparation of the Ni-Ti wires are discussed with particular attention being paid to the suppression of the creep phenomenon. The resulting shape of the hysteretic cycle differs according to the wire diameter, which affects the order of the fitting polynomial to be used when trying to retrieve the experimental results by numerical analyses. For a NiTi wire of given diameter, an estimate of the amount of dissipated energy per cycle is given at low levels of maximum strain, which correspond to a fatigue fracture life of the order of millions of cycles. The dissipative capability is affected by both the temperature and the cycling frequency at which the tests are performed. Such effects are quantified and an ageing process is proposed in order to extend the working temperature range of the damper to cold weathers typical of the winter season in Northern Europe and Canada. A procedure for the simulation of the shape memory alloy behavior in lengthy cables by finite element analysis is eventually outlined.

Development of supplemental nutrition care program for women,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NutriPlus^+$

  • Kim, Cho-Il;Lee, Yoon-Na;Kim, Bok-Hee;Lee, Haeng-Shin;Jang, Young-A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3호
    • /
    • pp.171-179
    • /
    • 2009
  • Onto the world-fastest ageing of society, the world-lowest fertility rate prompted a development of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for a betterment of the population in Korea. Since the vulnerability of young children of low socio-economic class to malnutrition was clearly shown at the in-depth analysis of the 200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 effort to devise supplemental nutrition care program for pregnant/breastfeeding women,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was initiate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offer nutrition education tailored to fit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special supplementary foods, using USDA WIC program as a benchmark. Based on the dietary intake of those age groups, target nutrients were selected and their major food sources were searched through nutrient content of foods and dietary pattern analysis. As a result, we developed 6 kinds of food packages using combinations of 11 different food items. The amount of each item in a food package was determined to supplement the intake deficit in target nutrients. Nutrition education in $NutriPlus^+$ aims to improve the nutrition knowledge,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nd is provided through group lessons,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nd home visits. Breastfeeding is promoted with top priority in education for the health of both mother and baby. The eligibility guidelines were set for residency, household income, age, pregnancy/breastfeeding and nutritional risk such as anemia, stunting, underweight, and/or inadequate nutrient intake. Income eligibility was defined as household income less than 200 percent of the Korean poverty guidelines. A pilot study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program implementation was run in 3 public health centers in 2005 and expanded to 15 and 20 in the following 2 years. The result of 3-year pilot study will be reported separately along with the ultimate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NutriPlus^+$ in 2008.

출산율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odel Estimating Fertility Rate for Korea)

  • 이삼식;최효진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77-99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 환경과 정책 등의 변화에 따라 출산율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인구 추계 시 적용하는 출산율은 최근의 추세가 유지되거나 일률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제시되므로 저출산 고령사회정책 등에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출산율 예측모형은 OECD 10개 국가들의 종단면적 및 횡단면적 경험치를 동시에 적용한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통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에는 인구학적 요인으로 조혼인율, 초산연령, 영아사망률, 혼외출산비율, 경제적 요인으로 여성경제활동참가율, 일인당 국민소득,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남성대비 여성대학진학 비율, 양성평등지수, 그리고 정책적 요인으로 GDP대비 보건정책 지출비율, GDP대비 가족정책 지출비율의 독립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의 최근 년도 출산율을 예측한 결과 실제 출산율과 아주 미세한 차이만 존재하여 상당히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출산율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정책적 요인 및 사회문화적 요인 중 일부의 변화를 가정할 경우 한국의 출산율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일례로 GDP 대비 가족지출비율을 현 프랑스 수준까지 높였을 경우 합계출산율은 1.6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출산율 예측모형은 정책의 강화 시기 및 정도를 결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geism Survey :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 김주현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53-7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령주의(Ageism)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관련된 측정도구들을 평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인식(편견, 고정관념, 기피), 차별행동 등 연령주의에 대한 다차원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문항을 개발했으며 이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령주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문항을 정리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 44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 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예비문항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8세 이상 1,535명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8문항을 정리하여 23개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21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하위 요인으로는, 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노화에 대한 불안, 외모변화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요인과 한편 노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요인도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에 대한 편견, 기피/회피를 나타내고 극단적으로 노인집단과의 분리를 나타내는 요인, 연령(고령)에 대한 차별 행동이 주요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연령주의 척도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집단의 위치와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 결과는 노인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노인관련 업무를 실천하는 현장에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태도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PDF

부부은퇴의 상호의존성 연구 - 배우자의 은퇴여부 및 은퇴자발성을 중심으로 - (Dual Earner Couple's Interdependent Retirement Decision - Focusing on Spouses'Involuntary Retirement -)

  • 함선유;홍백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3호
    • /
    • pp.281-303
    • /
    • 2015
  • 본 연구는 남편과 아내의 은퇴가 상호의존적임을 파악한 연구로, 대다수가 비자발적으로 은퇴하는 경향을 고려하여 배우자의 자발적 은퇴와 비자발적 은퇴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고령화연구패널 4차년도 응답자 중 노동경험이 있는 75세 이하의 부부 1,038쌍(2,076명)을 대상으로 프로빗분석과 다변량프로빗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내의 은퇴는 남편의 은퇴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우자의 비자발적 은퇴 역시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는데, 60세 미만 집단에서 남편의 비자발적인 은퇴는 아내의 은퇴에 정적 영향을 미치나, 아내의 비자발적인 은퇴는 남편의 은퇴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내의 노동시장 지위가 남편에 종속되는 비율이 높고, 아내가 남편에 비하여 배우자의 건강문제로 은퇴하는 비율이 더 높은 기술통계와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 부부의 상호의존적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은퇴 연구와 고령자 노동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ociations of Income and Wealth with Health Status in the Korean Elderly

  • Park, Bo-Hyun;Jung, Min-Soo;Lee, Tae-Ji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275-282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wealth or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after adjusting for other socio-economic position (SEP) indicators among Korean adults aged 45 and over. Methods :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st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households: 6,171, persons: 10,254). We used self-rated health statu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s dependent variables. Explanatory variables included both net wealth measured by savings, immovables, the other valuated assets and total income including pay, transfer, property and so on. Binary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lso,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ative health inequality across economic groups, we estimated the relative index of inequality (RII). Results : The inequality of health status was evident among various wealth and income groups. The wealthiest group (5th quintile) was much healthier than the poorest group, and this differential increased with age. Likewise, higher income was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However, these effects, as measured by the odds ratio and RII, showed that wealth was more important in determining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economic capabil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health status and other health-related problems among the elderly. Particularly, our results show that health status of the aged is related more closely to the individual s wealth than income.

노인생애주기에 따른 낙상요인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Life-cycle)

  • 김종민;서혜경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34
    • /
    • 2010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isk factors for falls in the elderly by life-cycl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on 435 male and female elderly generated from a survey taken at 21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Seoul. The incidenc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changes brought about with ageing, health-related behavior, chronic disease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falls in the elderly was analyze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by life-cycle (early-mid-late stage) and the results were used for predicting falls. Results: The incidence of risk factors on falls varied across life-cycle. Among the elderly in the early (ages from 65 through 74), marital status, the existence of a companion, the quality of sleep, the chronic diseases, and the condition of the bathroom floor were found to be related to falls. Among those in the mid-stage (ages from 75 through 84), sex, marital status, the existence of a companion, hearing capacity, sense of balancing, chronic diseases, the exclusive use of rooms, and the side bar with bath tub were found to affect falls. Finally, for the elderly in their late stage (85 years of age and older), drinking and vision were found to be related to falls. Conclusion: The incidence of risk factors on falls was found to vary according the stage in the elderly. A key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falls preven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s must be catered to specific age sub-groups.

기혼자녀의 성과 출생순위가 부모와의 접촉과 경제적지지에 미치는 영향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Financial Support Between Parents and Married Children : Children's Gender and Birth Order as Correlates)

  • 최희정;빈보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2호
    • /
    • pp.15-27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financial support exchange between parents and each of their non-coresident married children. Prior qualitative work has suggested that increased contact between parents and their married daughters may indicate a decline in patrilineal norms in contemporary Korean families.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this study investigated if married daughters engage in similar levels of intergenerational contact and financial support exchange with their parents in contrast to their married brothers (first-born sons in particular).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first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 For analyses, individuals who had at least one non-coresident married child were selected, resulting in the analytic sample of 3,950 parents with 10,947 non-coresident married children. Both regression with robust standard errors and sibling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using the reg and xtreg procedures in STATA. Residential proximity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both parents and children were controlled in analyses. Findings suggest that, overall, parents report more frequent face-to-face contact with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first-born sons in comparison to other sons and daughters. Daughters, on the other hand, were found to engage in more frequent contact via phone call, mail, or email with their parents. In conclusion, we did not find a strong evidence to support the contention that patrilineal norms have softened in contemporary Korean families to the extent that has been suggested in qualitativ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