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 among Korean Older Adults: Comparative Stud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사회참여활동이 고령자 인지기능 손상 정도에 미치는 영향: 도시와 농촌 간 차이 분석

  • 강주영 (백석예술대학교 조교수)
  • Received : 2020.09.02
  • Accepted : 2020.09.16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types on cognitive impairment degree(normal, mild, severe cognitive function) by urban and rural differe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data of elderly 5,668 over 55 years of age from the sixth wave(2016) and the seventh wave(2018)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Results show that social participation reduces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on both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regardless of types, but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effective to reduce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re differ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which are effective to decline the risk of being mild or severe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risk of being severe cognitive impairment relative to mild, are differ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and reduce the severity, social participation is strongly recommended and appropriate supports are required. This implies policy and intervention efforts considering the urban and rural difference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고령자와 농촌 고령자의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인지기능 손상 정도(정상, 경증 인지기능저하, 중증 치매 의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6차(2016년)와 7차(2018년)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데이터 중 55세 이상 고령자 5,66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어떤 유형이든지 사회참여활동 하는 것이 인지기능 장애 위험을 줄여준다는 것은 도시와 농촌 둘 다 일관되게 유의하였으나,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활동 유형이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있었다. 즉, 도시와 농촌에 사는지에 따라 정상군에서 인지기능저하 또는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 활동 유형과 인지기능저하에서 치매 의심이 될 위험을 낮추는 데 유의한 유형이 달랐다. 따라서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고 치매 중증도를 완화하는 데 사회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권장돼야 하며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과 개입이 요구됨을 함의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인철, 노인 장기요양보험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 남효정, 황성희, 김유정, 김기웅,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 성남: 중앙치매센터, 2019.
  3. 김상우, 이채정, 치매관리사업의 현황과 개선과제,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2014.
  4. 김재엽, 김준범, 장대연, 송인한, "치매노인의 증상정도가 부양자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부양부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6권, 제3호, pp.883-903, 2016.
  5. N. Morrow-Howell, J. Hinterlong, and M. Sherraden, Productive aging: Concepts and challenges, JHU Press, 2001.
  6. 양승민, 정규형, 최재성, "노인의 성별차이에 따른 사회활동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에서 9년간의 종단분석,"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3호, pp.225-250, 2017.
  7. S. T. Cheng, "Cognitive reserve and the prevention of dementia: the role of physical and cognitive activities," Current psychiatry reports, Vol.18, No.9, p.85, 2016. https://doi.org/10.1007/s11920-016-0721-2
  8. M. V. Zunzunegui, B. E. Alvarado, T. Del Ser, and A. Otero, "Social networks,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engagement determine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Spanish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8, No.2, pp.93-100, 2003.
  9. M. J. Aartsen, C. H. Smits, T. Van Tilburg, K. C. Knipscheer, and D. J. Deeg, "Activity in older adults: cause or consequence of cognitive functioning? A longitudinal study on everyday activities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7, No.2, pp.153-162, 2002.
  10. I. Kareholt, C. Lennartsson, M. Gatz, and M. G. Parker, "Baseline leisure time activity and cognition more than two decades l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6, No.1, pp.65-74, 2011. https://doi.org/10.1002/gps.2490
  11. S. S. Bassuk, T. A. Glass, and L. F. Berkman, "Social disengagement and incident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31, No.3, pp.165-173, 1999. https://doi.org/10.7326/0003-4819-131-3-199908030-00002
  12. H. X.Wang, A. Karp, B. Winblad, and L. Fratiglioni, "Late-life engagement in social and leisure activities i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dementia: a longitudinal study from the Kungsholmen project,"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55, No.12, pp.1081-1087, 2002. https://doi.org/10.1093/aje/155.12.1081
  13. 강수연, 김호영, 염유식, "노년기 사회활동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35권, 제4호, pp.563-587, 2016.
  14. 정은영, "한국 남녀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인지기능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40권, pp.443-458, 2020.
  15. 황종남, 권순만, "중․ 고령자의 사회활동 참여와 인지기능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제29권, 제3호, pp.971-986, 2009.
  16. M. M. Weissman, J. K. Myers, G. L. Tischler, C. E. Holzer, P. J. Leaf, H. Orvaschel, and J. A. Brody, "Psychiatric disorders (DSM-III) and cognitive impairment among the elderly in a U.S. urban communit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71, pp.366-379, 1985. https://doi.org/10.1111/j.1600-0447.1985.tb02536.x
  17.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황남희, 김세진, 이선희, 이석구, 홍송이,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8. 김정완, 강연욱, 윤지혜, "도시와 농촌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비교: 예비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4호, pp.469-476,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4.469
  19. M. Levasseur, L. Richard, L. Gauvin, and E. Raymond, "Inventory and analysis of defini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found in the aging literature: Proposed taxonomy of social activiti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1, No.12, pp.2141-2149, 2010.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0.09.041
  20. B. W. Lemon, V. L. Bengtson, and J. A. Peterson,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Vol.27, No.4, pp.511-523, 1972. https://doi.org/10.1093/geronj/27.4.511
  21. E. Van Ingen and K. Van Eijck, "Leisure and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types of company and activities," Leisure Sciences, Vol.31, No.2, pp.192-206, 2009. https://doi.org/10.1080/01490400802686078
  22. M. Friedman, Intelligence and learn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23. 송인욱, 원서진, "지역간 비교를 통한 중고령자의 생산적 활동과 우울의 관계: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5권, pp.305-324, 2013.
  24. S. Amagasa, N. Fukushima, H. Kikuchi, K. Oka, T. Takamiya, Y. Odagiri, and S. Inou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Japanese older adults: A five-year cohort study," PloS one, Vol.12, No.4, 2017.
  25. 하정화, 정은경, 정은석, "노년기 인지기능 감퇴 정도에 따른 사회 활동 참여의 변화: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6권, 제1호, pp.5-30, 2015.
  26. 농촌진흥청, 2016년 농어업인 복지실태조사 보고서, 전북: 농촌진흥청, 2017.
  27. 영남일보, "농촌선 복지관 가기 힘들어...요가.노래교실 등 경로당 활성화해야," 영남일보, 2017.5.2.
  28. 이현주, "중고령자의 사회활동참여와 인지기능,"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제43권, 제1호, pp.138-167, 2015.
  29. 백영민, R 기반 제한적 종속변수 대상 회귀모형, 한나래, 2019.
  30. J. S. Long, Regression models for categorical and limited dependent variable, Sage, 1997.
  31. 김명숙, 고종욱,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자원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36-24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11.236
  32. 김석선, 조현미,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4호, pp.89-9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4.089
  33. 보건복지부, 2019 노인복지시설 현황, 2019.
  34. 조미형, 박지연, 농촌고령자 실태 및 정책개선방안, 농림축산식품부, 2015.
  35. 국가인권위원회, 농어촌 노인인권 실태조사, 2017.
  36. 유재언, "치매관리정책의 현황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0권, 2019.
  37. C. Hertzog, A. F. Kramer, R. S. Wilson, and U. Lindenberger, "Enrichment effects on adult cognitive development: can the functional capacity of older adults be preserved and enhanced?,"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Vol.9, No.1, pp.1-65, 2008. https://doi.org/10.1111/j.1539-6053.2009.01034.x
  38. D. A. Glei, D. A. Landau, N. Goldman, Y. L. Chuang, G. Rodriguez, and M. Weinstein,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helps preserve cognitive function: an analysis of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of the elderly," Int J Epidemiol, Vol.34, No.4, pp.864-871, 2005. https://doi.org/10.1093/ije/dyi049
  39. B. D. James, R. S. Wilson, L. L. Barnes, and D. A. Bennett, "Late-life social activity and cognitive decline in old ag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uropsychological Society, Vol.17, No.6, pp.998-1005, 2011. https://doi.org/10.1017/S1355617711000531
  40. 전지영, 한경아,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5-54, 2019.
  41. 김영신, 조아람,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제17권, 제2호, pp.57-7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