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Attitude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23초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Shared Leisure Time with Couples, Preschool Children, and Other Family Members and Their Determinants)

  • 이연숙;김외숙;이기영;조희금;이승미;김하늬;한영선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199-227
    • /
    • 2012
  • Studies of leisure time generally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amount of time spent by each family member in Korea. In this study, the shared leisure time among family members in various leisure activities was mainly investigated.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how family members spent the leisure time together and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that affected whether or not family shared leisure time together. The data source was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person involved in each activity was surveyed for the first time in the survey. The data from 17,470 diaries(10,359 weekdays and 3,549 Sunday) from 8,745 individuals aged from 20 to 59 who had a spouse were analyz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s were used. On average, married couples spent leisure time together with spouses 36 minutes a day on weekdays and 1 hour and 38 minutes on Sunday, respectively. Parent did with preschool children 5 minutes a day on weekdays and 15 minutes on Sunday, respectively. The shared leisure time with other family and relatives was 22 minutes a day on weekdays and 1 hour and 13 minutes on Sunday,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a wide variation on the shared family leisure time by the types of activities, the main shared leisure activity was using mass media, which accounts for about two third of all shared leisure time together with family.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the age, sex, education level, working hours, personal income, presence of preschool children, marital status, sex role attitude, and dual or single income earner were th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family's or couple's parent-preschool children's shared leisure time on weekdays or Sund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amily and leisure policy were suggested to increase active family shared leisure time.

  • PDF

노인간호에 대한 간호원의 태도조사연구 (A Study of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 최경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
    • /
    • 1976
  • Presently,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geriatric nursing care because of increasing preparation of elderly population due to extended age. Of particular importance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care given to the elderly is the attitude of the nurse toward the elderly patient. Knowledge of the various changes that usually occur with aging will enable the nurse to help an aged Person maximize his potential in illness and in health.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1. To delineate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2. To learn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The study population defined and randomly selected is 225 nurses at one general hospital, one private hospital, two national hospitals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l0th -20th, 1975.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Respondents were 140 nurses. X$^2$- test and t- test were employed in analyzing the data. The questionnaire form included 54 statements which concerned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geriatric nursing care. It was divided into five areas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2) The nurse's concepts of elderly. 3) Care of the geriatric patient. 4)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geriatric patient. 5) Teaching of the geriatric patient. Each of the 54 statements of the questionnaire was considered to be either Positive or Negative. A Positive response was assigned the value of+1 , and a Negative response or no response was assigned the value of 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nvestigation of attitudes of nurses toward geriatric nursing care. a. Data indicated , respondents have negative attitudes in their. concepts of elderly (74.3%) b. Data indicated respon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in care of geriatric patient (64.3%). c. Data indicated respon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geriatric patient (85% ). 4. Data indicated respondents have positive attitudes in teaching of geriatric patient (89.3%). 2. The results of study regarding the five hypothesis were as follows : a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and level of education of the nurse. 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and clinical experience,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 of the geriatric patient and clinical experience. c.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and shift most frequently worked,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 of the geriatric patient and shift most frequently worked. 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and marital statu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aching of geriatric patient and marital status. 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the attitudes of nurses toward the geriatric nursing care and experience with elderly,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between care of geriatric patient and experience with elderly.

  • PDF

Wom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about Breast Cancer in a Rural District of Central India

  • Gangane, Nitin;Ng, Nawi;Sebastian, Miguel S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6863-6870
    • /
    • 2015
  • Background: Breast cancer accounted for almost 25% of all cancers in women globally in 2012. Although breast cancer is the most prevalent cancer in India, there is no organised national breast cancer screening programme. Local studies on the burden of breast cancer are essential to develop effective context-specific strategies for an early detection breast cancer programme, considering the cultural and ethnic heterogeneity in India.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about breast cancer in rural women in Central India. Materials and Methods: This community-based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Wardha district, located in Maharashtra state in Central India in 2013. The sample included 1000 women (609 rural, 391 urban) aged 13-50 years, selected as representative from each of the eight development blocks in the district, using stratified cluster sampling. Trained social workers interviewed women and collected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data. The instrument also assessed respondents'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and its symptoms, risks, methods of screening, diagnosis and treatment, as well as their attitudes towards breast cancer and selfreported practices of breast cancer screening. Chi-square and t-test were appli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he outcome variables) between urban and rural respondents.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outcome variables. Results: While about two-thirds of rural and urban women were aware of breast cancer, less than 7% in rural and urban areas had heard about breast self-examination.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its symptoms, risk factors, diagnostic modalities, and treatment was similarly poor in both rural and urban women. Urban women demonstra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breast cancer screening practices than their rural counterparts. Better knowledge of breast cancer symptoms, risk fa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older age, higher levels of education, and being office workers or in business. Conclusions: Women in rural Central India have poor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its symptoms and risk factors. Breast self-examination is hardly practiced, though the willingness to learn is high. Positive attitudes towards screening provide an opportunity to promote breast self-examination.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 김영미;김현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1-247
    • /
    • 2015
  •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민간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46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그림책의 내용을 듣고, 이야기 나누기, 동극, 언어활동, 음률활동, 수활동, 과학활동, 게임 등의 통합 활동으로 구성된 인성교육활동을 12주 동안 주 3회 총 36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을 경험한 만 5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의 유아들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증진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요인인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능력, 주도적 배려, 시도하기, 나누기, 감정 이입 및 조절 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은 유아들에게 신뢰감 형성과 사회적 태도를 익히게 하여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영향을 주었으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인성교육지도를 위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Knowledge and Attitudes of Bangkok Metropolitan Women towards HPV and Self-Sampled HPV Testing

  • Kittisiam, Thannaporn;Tangjitgamol, Siriwan;Chaowawanit, Woraphot;Khunnarong, Jakkapan;Srijaipracharoen, Sunamchok;Thavaramara, Thaowalai;Pataradool, Kam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5호
    • /
    • pp.2445-2451
    • /
    • 2016
  • Background: To evaluate knowledge of Bangkok women regarding HPV and self-sampled HPV test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s testing. Materials and Methods: Thai women who had lived in Bangkok for more than 5 years, aged 25-to-65 years old, were invited to join the study. Participating women were asked to a complete self-questionnaire (Thai language), with literate assistance as needed.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3 parts: (I) demographic data, (II) knowledge and (III) attitudes towards self-sampled HPV testing. Before proceeding to Part III of the questionnaire, a 15-minute educational video of self-sampled HPV testing was presented to all participants. Results: Among 2,810 women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s, 33.7% report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HPV.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se women were older age (> 50 years), lower income (< 600 USD/month), unemployed status, and non-attendees at cervical cancer screening. Only small numbers of women (4.6%) responded that they had heard about self-sampled HPV testing. After having information, 59.6% would not use the self-sampled HPV testing as a method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non-acceptance).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on-acceptance were older age, lower income, having no knowledge about HPV or self-collected HPV testing, a perception that the testing was unreliable and a concern that they might not be able to perform it correctly. Conclusions: Nearly half and almost all Bangkok women did not know about HPV and self-sampled HPV testing, respectively. Approximately 60% of Bangkok women refused to do the self-sampled HPV testing. Significant negative attitudes were concerns that the testing would be unreliable and a lack of confidence to perform the procedure correctly. Education about HPV and self-sampled HPV testing, ease of the procedure, or the testing models may increase rate of acceptability or positive attitudes.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Factors Affecting Transitions in Living Arrangements among Elders in Korea)

  • 윤현숙;윤지영;김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1호
    • /
    • pp.249-27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에 경험하는 다양한 거주형태 변화와 그 정도를 파악하고, 노인거주형태별 영향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의 고령자패널조사 자료 중 2003년과 2009년 조사에 모두 참여한 60세 이상 유자녀 노인 825명이다. 분석 방법은 T2(2009년)의 거주형태를 종속변수로, T1(2003년)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문화적 변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2003~2009년 6년 동안 거주형태 변화를 경험한 노인이 29.82%에 달해 노년기 거주형태가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노인 거주형태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연령, 배우자유무, 주택소유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심리적 안녕감, 부양책임감 등이 도출되었으며, 각 거주형태별로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제언으로 노년기 거주형태의 변화가 매우 크고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PDF

전화 선거여론조사에서 무응답률 증가로 인한 편의와 응답률 제고 방안 (Bias caused by nonresponses and suggestion for increasing response rate in the telephone survey on election)

  • 허순영;이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315-325
    • /
    • 2016
  • 조사결과의 신속성이 요구되는 선거여론조사의 특성상 짧은 시간에 유권자들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고 저렴한 조사비용이라는 장점 때문에 낮은 응답률이라는 심각한 결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선거여론조사는 전화조사로 이루어진다.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는 많은 선거여론조사는 연령별, 성별, 지역별 인구수 또는 유권자수에 비례하여 할당된 수만큼 조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무응답이 발생하여 초기에 할당된 수만큼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응답자들의 가중치를 조정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응답이 존재하는 경우, 현재 국내 여론조사에서 사용하는 추정량의 편의와 분산의 편의를 수리적으로 도출하였다. 이 편의는 응답집단과 무응답집단 간의 의사 차이와 무응답률의 크기에 비례한다. 또, 2012년 대선 선거여론 조사 자료를 기초로 전화 선거여론조사에서의 응답률을 산출하였는데, 평균 약 14.4%에 불과하였다. 한편, 자체적으로 실시한 '전화 선거여론조사에 대한 의식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전화 선거여론조사에 응답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귀찮아서"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여론조사 응답률이 가장 낮은 20대가 가장 많이 선택한 이유도 "귀찮아서"였다. 따라서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등 조사대상자들의 응답 동기를 높이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 김춘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51-160
    • /
    • 2014
  • 목적: 노년기는 죽음이 가까워지는 시기이고 노인들은 좋은 죽음을 원하지만 아직까지 노인에서 좋은 죽음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의 인지도를 알아보고 그의 영향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및 전라도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 중 편의 표출하여 연구에 참여를 서면 동의한 65세 이상의 노인 317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 문항에는 일반적 특성, 좋은 죽음 19문항과 가족지지 11문항을 포함시켰으며 설문내용에 대해 대상자 스스로 기입하거나 자기기입이 어려운 노인은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설문에 대한 노인의 응답을 기입하는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 혹은 F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좋은 죽음의 정도는 상으로 높은 편이었고 좋은 죽음의 요인 중 통제감이 가장 높았으며 문항별 정도는 '평화롭게 죽는 것이다'와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다'에 이어서 '다른 사람에게 부담(폐)을 주지 않는 것이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좋은 죽음의 인지도는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족지지와 성별로 그 설명력은 10.2%이었다. 결론: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을 위해서는 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를 고려하고 중재가 가능한 가족 지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의 통제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문항 중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평화로운 죽음과 죽음 수용 등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중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성별과 가족지지를 고려하여 그들의 좋은 죽음뿐 아니라 삶의 질이 유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지 프로그램이나 정책 제안 등 합당한 노력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아동기 경계선 장애 : 8증례 (BORDERLINE DISORDER OF CHILDHOOD : 8 CASES)

  • 홍강의;이정섭;신민섭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3-17
    • /
    • 1995
  • 아동에서의 경계선 장애는 현실감각의 불안정, 대인관계의 장애, 충동조절의 장애, 심한 기능의 변동, 발달상의 불균형, 불안등을 보이며 현재의 진단 체계로는 진단하기 어려운 환아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Bemporad등과 Vera등이 제안한 '경계선 아동'에 부합하는 7세에서 11세 사이의 8명의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37개의 병인들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적인 특징으로는 모든 환아들이 다 남아였으며, 현재의 진단체계에서는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웠고, 공존정신과적인 진단이 많았다. 주소는 산만하고 또래와 어울리지 못한다는 것이 많았다. 현실과 환상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한 것과 사고의 장애가 특징적인 증상이었다. 2) 심리학적 및 신경생리학 검사상 지능은 보통수준이었으며, 동작성 지능이 언어성 지능보다 우수한 경향이 있었다. 투사법 검사에서는 사고 장애의 지표는 보였으며,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공격성이 심하였다. 반수에서 주의력 검사상 주의력결핍을 시사하였다. 기질적인 요인은 뚜렷하지 않았다. 3) 발달력 및 가족력상 원하지 않았던 아이가 많았고, 주 양육자는 어머니였으나, 양육방식에 중등도의 문제가 있었다. 부모간에 불화가 많았고, 사회 경제적으로는 중하가 많았다. 언어발달은 대부분에서 지연이 되었거나, 성장하면서 점차로 정상이 되었다. 공격적이어서 또래들로 부터 따돌림을 많이 받았다. 4) 치료 및 경과상 6세경에 처음 병원에 방문하였으며, 평균 치료 기간은 2년이었고, 주로 외래에서 치료를 받았다.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은 뚜렷하지 않았으며, 장기 놀이치료의 필요성이 암시되었다. 본 연구 방법에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나 앞으로 이 장애의 명확한 진단 기준을 확립하고 역학 및 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행복 인식에 따른 호스피스 준비의 관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est in Hospic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Happiness)

  • 장경희;이서희;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489-498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인들 가운데에서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따라 삶의 태도나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에 행복에 따른 죽음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과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간의 호스피스 관심이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2017년 4월 22일 D 광역시에서 열린 걷기대회 행사에 참가한 20세 이상 성인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이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결혼상태, 가족 동거여부, 종교, 건강상태 8항목이었다. 행복에 관한문항은 총 29항목, 죽음 인식은 9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설문지의 항목에 대하여 행복지수를 기준으로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종하기 적합한 장소에 관한 문항에서 행복지수가 낮은 그룹은 "의료기관"이 46.3%로 가장 높았으며, 행복지수가 높은 그룹에서는 "살던 집"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병원에서 임종하는 경우가 훨씬 많은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환자들이 원하는 편안하고 익숙한 장소인 집에서 임종을 맞이할 수 있는 방법인 가정형 호스피스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 인력의 확보 및 교육 등 관리체계를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보여 진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개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죽음인식을 높이고 호스피스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