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 Structure of Population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대도시지역 암 사망자에 대한 분석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eaths Caused by Cancer in Metropolitan Areas of Korea - Seoul, Pusan, Taegu, Incheon -)

  • 이채언;김준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0권1호
    • /
    • pp.84-96
    • /
    • 1987
  •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basic data for further cancer epidemiologic study and cancer patients control, we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degree and structure of deaths from cancer in metropolitan areas of Korea with 7,934 certified cancer deaths records of Seoul, Pusan, Taegu and Incheon in 1982. The analyz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cancer deaths in metropolitan areas were 7,934 (male: 4,749, female: 3,185) as 14.1% of deaths from all causes in the same area. 2) The rate of physician's certification on cancer deaths was 77.4% and most of cancer deaths (84.4%) occured at their home. 3) Cancer specific death rate was 51.7 per 100.000 population (male: 62.9, female: 41.9) and age-adjusted cancer death rate was 82.4 in male and 51.6 in female per 100,000 population.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4) Age-specific cancer death rate was generally increased with age and most of cancer deaths (male: 75% , female: 65%) occurred from 45 to 74 years old. 5) The first three orders of cancer site were stomach (32.7%), liver (28.8%), lung (11.7%) in male and stomach (30.6%), uterus (18.4%), liver (13.8%) in female.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se three cancer sites among total cancer deaths was corresponded to 73.2% in male and 62.8% in female. 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cancer death rate was 1.5:1. And the ratio was aboye 3.0 in esophagus, liver, larynx, bladder cancer and the ratio was similar to 1.0 in stomach, pancreas, leukemia, brain, colon cancer, but the ratio was reversed in gall bladder and bile duct, and thyroid cancer.

  • PDF

AFLP 마커를 이용한 소규모 사시나무림의 공간적 유전구조 구명 (Fine-scale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a Small Natural Stand of Populus davidiana in South Korea using AFLP markers)

  • 이민우;홍경낙;박유진;이제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309-314
    • /
    • 2016
  • 변화하는 자연환경에서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전다양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지역적응성을 갖추어야 세대를 성공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다. 만약 유전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면 집단이 쇠퇴하고 소멸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본 연구는 주변 집단으로 부터 화분이나 종자의 유입이 어려운 소규모 사시나무 집단의 유전구조를 구명하였다. 월악산 미륵리의 사시나무림은 전체 분포면적 $14,000m^2$에 성목은 350개체로 추정되며, 임분내에 설정한 $70m{\times}70m$ 조사구에 출현하는 123개체 중 61개체를 대상으로 AFLP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구내 사시나무의 수령은 평균 16년 최고 32년생이었으며, 개체의 공간적 분포는 약한 밀집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AFLP primer 6조합에서 196개 증폭산물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151개는 다형성을 보였다. primer 조합당 평균 유전자좌수는 32.7(표준편차=7.2), 이형접합도 기대치($H_e$)는 0.154,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254로 나타나서, 월악산 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사시나무 집단 평균에 비하여 매우 낮은 유전다양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유전구조는 24 m 이내에서 분포하는 개체들 간에 유전적 유사성이 나타났으며, 소규모 면적과 고립된 분포지 특성으로 인하여 비교적 작은 유전군락이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지역 노인 복지시설의 현황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the Utilizat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rural area)

  • 최삼배;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2-31
    • /
    • 2003
  • The project to improve the structure of village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ince 1960's. Also, with the rural exodus and the aged population in a rural area during the rapid change of social structure in our country, the old people's problem in a rural area became a problem beyond the welfare of the old age. Moreover, as the role of old people who established their position as the subject of social & economic activities in a rural area gradually increases, an attention to problems related on old people also increases. Especially, the leisure life of old people can be an important factor on the type of leisure life of old people in a cultural village and the demands for facilities for old people by studying the present situation of facilities for old people and the actual situation of their use in a welfare center.

  • PDF

우리나라의 초고령 사망률의 확장에 대한 연구 (An Extension of Mortality for Oldest-Old Age in Korea)

  • 김성용;김기환;박유성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1-26
    • /
    • 2011
  • 초고령(80세 이상) 사망률에 대한 양적, 질적 자료의 결여는 한국의 초고령 사망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최대 걸림돌이 되어 왔다. 그러나 세계가 경험해 보지 못한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는 미래의 인구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게 되어 초고령 사망률의 수준, 패턴, 그리고 추이분석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사망률 추이는 80세 이상(80+) 또는 85세 이상(85+)로 절단된 형태의 과거 사망률 자료를 115세까지의 각 세별 사망률로 확장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은 한국형 표준사망률의 작성이 우선되어야 가능하며 이 표준사망률을 통해 한국의 초고령 사망률의 수준과 패턴의 파악이 가능해진다. 한국형 표준 사망률의 작성은 하나의 관계모형과 11개의 함수로부터 도출되며, 성별로 최적의 모형은 적합도를 측정하는 세 가지의 통계량과 사망률의 세 가지 일치성을 기준으로 선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성된 표준사망률을 이용하여 과거의 절단된 사망률을 확장하였고 이 확장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종단면적인 사망률의 일치성을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임금근로자의 산업재해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The Gender Sensitive Analysi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of Employees)

  • 이경용;김영선;김기식;박종식;서동욱;김혜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8-165
    • /
    • 2014
  • Th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worker's safety and health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The conventional statistics was produced without consideration of gender difference.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because that recently female workers was increased through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such as from manufacturing dominated to service dominated structure. Statistics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collected by workmen's compensation insurance system that have no information about gender composition of populati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was used to calculated the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gender. The distribution of estimated rate of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by industry, occupation and the type of accident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but those by the size of enterprise, age of the injured, the duration of the first recuperation, and job tenure were similar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This study has shown that gender sensitive approach may be applied to polic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ecause that gender neutral perspective may not discover the fact of gender specific problems.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인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구조 및 지속성 (Stage Structure and Population Persistence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and Endangered Plants)

  • 이동형;김소담;김휘민;문애라;김상용;박병배;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48-557
    • /
    • 2021
  •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 Thunb.)은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동아시아 특산식물로, 지구 수준의 IUCN Red List "위기(Endangered, EN)"로 평가되며, 한국의 국가 Red List에서는 "멸종위기(Critically Endangered, CR)"에 포함된다. 본 연구는 광릉요강꽃 자생지에서 7년 동안 수행된 개체통계학적(demographic) 모니터링 자료를 바탕으로 개체군 구조 및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개체군의 지속성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광릉요강꽃은 국내 7개 지역(포천, 가평, 화천, 춘천, 영동, 무주, 광양)에서 자생지가 관찰되었고, 15개 아개체군에 4,356개체가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체군 크기 및 구조는 지역별로 상이하였으며, 인위적 관리가 개체군 크기 및 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7년 동안 개체 수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광릉요강꽃의 개체군 생존력(Population Viability Analysis, PVA)은 지역별로 다양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1세기 안에 멸절할 가능성은 포천 0.00%, 광양 10.90%, 춘천 24.05%, 화천 79.50%로 예측되었다. 모니터링이 수행된 위 연구지역은 현지 내 보호시설로 인위적 출입을 제한하고 있어 광릉요강꽃의 최대 위협요인인 인위적 남획 변수가 개체군 생존력에 반영되지 않았다. 즉, 실질적인 멸절 위험도는 본 연구에서 추정된 값보다 현저하게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광릉요강꽃 개체군의 멸절위험도의 객관적 판단을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위협요인이 있는 여러 지역의 개체군 정보가 반영될 필요가 있으며, 국내·외로 광릉요강꽃 개체군에 대한 개체통계학적 모니터링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상생활용 장치 작동에 따른 지각자의 인지구조에 대한 집단고정관념 (Population Stereotypes as a Perceiver's Cognitive Structure on Manipulating Devices for Daily Use)

  • 정화식;강정일;정인주;신홍철;정동혁;정유진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0권4호
    • /
    • pp.71-78
    • /
    • 2008
  • Purpose: This study standardizes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devices based on general user expectations and stereotypes. Population stereotypes are cognitive structures that contain the perceiver's knowledge, beliefs, and expectations about human groups. In this paper, the stereotypes that people typically expect when manipulating 'cylindrical key-in-knob locks' and 'lever-type water faucet handles' were investigated and data regarding their expectations were collected. Methods: Two sets of 600 participants, between 13 and over 60 years old, were recruited for the experiment. Each group was evenly subdivided into six age groups. Each participant was presented with cylindrical door locks mounted on a miniature door and actual lever-type water faucet handles mounted on a mockup sink. Results: If the cylindrical lock was positioned 'vertically,' 59.2%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e device to be locked, and if the lever type faucet handle was positioned 'up,' 63.0% of the participants expected the device to be turned on. Thus, daily-use devices should be designed consistent with user expectations of ope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for manipulating the faucet handle between up and down. Conclusion: A more general stereotype may be defined by repetitive measurements under the same test conditions with fixed time intervals, as well as accounting for people with cognitive problems.

  • PDF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등갑에 나타난 성장선에 근거한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연령예측 가능성 평가 (The Possibility Assessment of Age Estimation of the Endangered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Based on the Number of Growth Lines on Dorsal Scutes)

  • 정유정;김일훈;박대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70-976
    • /
    • 2016
  • 멸종위기종 개체군의 연령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개체군의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멸종위기종 II급과 문화재청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남생이 (Mauremys reevesii)의 등갑에 나타나는 성장선으로 실제 연령을 신뢰성 있게 예측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실험개체는 실 연령이 1-9살인 서울동물원에서 사육하는 100개체였다. 성장선은 중앙 추갑판 네 개와 좌우측 첫 번째 늑갑판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실 연령 1-5살까지는 성장선의 수가 실 연령보다 많았으나, 6-9살에는 성장선의 수가 실 연령보다 적었다. 실 연령과 성장선 연령을 비교 평가한 결과 성장선으로 실 연령을 예측하는 것은 6살 이하에서 제한적으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또한 어린 개체와 암컷 남생이들의 등갑의 길이와 너비를 이용하여 나이를 예측하는 수식을 제공하였으나 연구에 사용한 남생이들의 나이가 실 연령이 어린개체들이 대부분이어서 신뢰성 있는 연령예측은 가능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등갑에 나타난 성장선을 이용하여 남생이의 실 연령의 예측하는 경우, 성장선 6개 이하는 성장선 수의 최소값을 7개부터는 최대값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실 연령과의 편차를 줄 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의 연구결과가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국내에서 거북류의 성장선의 수를 이용하여 실 연령을 예측한 첫 번째 연구로, 야외에서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연령을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among 7- to 35-year-old people in Hamadan, Iran in 2012-2013 as observed using panoramic radiographs

  • Shokri, Abbas;Poorolajal, Jalal;Khajeh, Samira;Faramarzi, Farhad;Kahnamoui, Hanieh Mogave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7-1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all types and subtypes of dental anomalies among 7- to 35-year-old patients by using panoramic radiographs. Materials and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649 people in Hamadan City, in 2012-2013. The prevalence of four types and 12 subtypes of dental anomalies was evaluated by two observers separately by using panoramic radiography. Dental anomalie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 shape (including fusion, taurodontism, and dens invagination); (b) number (including hypodontia, oligodontia, and hyperdontia); (c) structure (including amelogenesis imperfecta, dentinogenesis imperfecta, and dentin dysplasia); and (d) position (including displacement, impaction, and dilacerations). Results: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observers was 79.56% according to the Kappa statistics.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diagnosed by panoramic radiographs was 29%. Anomalies of position and number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abnormalities, and anomalies of shape and structure were the least in both genders. Anomalies of impaction (44.76%), dilacerations (21.11%), hypodontia (15.88%), taurodontism (9.29%), and hyperdontia (6.76%) were the most common subtypes of dental anomalies. The anomalies of shape and number were more common in the age groups of 7-12 years and 13-15 years, respectively, while the anomalies of structure and position were more common among the other age groups. Conclusion: Anomalies of tooth position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dental anomalies, and structure anomalies were the least in this Iranian population. The frequency and type of dental anomalies vary within and between populations, confirming the role of racial factors in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