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icus blazei Muril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1초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균사체내외 다당체의 면역활성효과 (Immune Enhancing Effect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l Cultivate of Agaricus blazei Murill)

  • 김무성;조홍범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2-297
    • /
    • 2007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의 액체 배양으로 다당체의 균사체외 분비를 유도하였으며, 버섯 균사체의 새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분비 다당체의 면역증진활성을 in vitro 시험으로 비교하였다. 부분 정제된 세포내 다당체와 세포외 다당체의 총당 함량은 각각 85.6%와 95.3%였으며, ${\beta}$-glucan 함량은 각각 67.9%와 88.1%로 측정되었다. 면역활성 실험에는 시료의 닥 함량을 동일하게 맞추어 사용하였다. In vitro에서 균사체내외 다당체는 대식세포 주인 RAW 264.7을 활성화시켜 nitric oxide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각각 최대 53.9%, 53.1%의 비슷한 증가활성을 나타내었다. 또 균사채내외 다당체는 모두 RAW 264.7을 활성화시켜 염중성 cytokine류인 interleukin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의 생성을 증가시켰으며, 이때 3종의 cytokine 모두에서, 세포내 다당체에 비해 세포외 다당체를 처리했을때 저농도에서 높은 증가률을 나타내었다. 두 다당체는 in vitro 상에서 비장세포를 증식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세포내 다당체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식효과를 보인데 반해 세포외 다당체는 저농도에서 증식이 높았고, $250\;{\mu}g/ml$ 농도 이상에서는 더 높아지지 않았다. 두 다당체 모두 암세포인 B16F0 melanoma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독성 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으로 생성된 세포내외 다당체는 in vitro에서 모두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그 활성은 세포내 다당체보다 세포외 다당체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 강인순;김랑이;김광섭;김나리;신중엽;김채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9-16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sim}10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gamma}$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gamma}$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Protein, Mineral Levels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Koh, Jin-Bog;Kim, Jai-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1-17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the weight gains, food efficiency ratios, serum protein and mineral levels, and serum enzyme activities in growing male rats. Sprague-Dawley rats (7 weeks old) were given four different types of diets for a succeeding period of 6 weeks, respectively: a normal diet group, a control diet group (normal diet + 15% lard + 0.5% cholesterol), a 30% or 40% A. blazei diet groups (control diet + 30% or 40% A. blazei in water) according to the levels of A. blazei supplementation. The body weight gains, food efficiency ratios, and the liver of the rats fed control diet, 30% or 40% A. blazei die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rats fed the normal diet, but those of rats fed the 30% and 40% A. blazei diets were similar to those of rats fed the control diet.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and hematocrit value in serum of rats fed the control diet, 30% or 40% A. blazei diets were similar to those of rats fed the normal diet. The concentrations of urea and creatinine in serum of rats fed the 30% or 40% A. blazei diets were similar to those of rats fed the control diet. but the urea of rats fed the 30% and 40% A. blazei die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rats fed the normal diet. The concentrations of Ca, P, Fe and Mg, and $Ca^{++}$, $K^+$, $Na^+$ and $Cl^-$ of rats fed the control diet, 30% or 40% A. blazei diets were similar to those of rats fed the normal die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tivitie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gamma$-glutamyltranspeptidase and alkaline phosphatase in the serum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n conclusion, the rats fed the A. blazei maintained normal protein and mineral levels, and enzyme activities of serum. But the A. blazei feeding could not decrease the body and liver weights in th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PDF

Agaricus blazei 자실체로부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추출공정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 최정우;류동열;홍억기;권명상;한진수;이원홍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07-312
    • /
    • 2000
  • 버섯에서 추출되는 생리활성물질얀 ${\beta}$-glucan은 탁월한 항암 효과를 갖는 물질이다. 특히 Agaricus blazei에 $\beta$-glucan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 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아가리쿠스버섯으로부터 ${\beta}$-glucan을 추 출하는 공정의 추출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다양한 추출시간 과 마이크로웨이브 출력을 이용하여 최적 운전조건을 결정하였 다. 최적 마이크로웨이브의 최적 출력은 200, 500, 650 watt의 경우에서 실험하여 결정하였다. 추출물질의 구조와 농도 분석은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와 infrared spectroscopy 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 용한 추출의 다당류 수율이 전통적 인 열수추출방법보다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소량의 용매와 짧은 추출 시간으로 향상된 수율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아가리쿠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ity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s)

  • 지정환;김미남;최근표;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71-1378
    • /
    • 2000
  • S.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test에서는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 모두 시료자체의 돌연변이원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200\;{\mu}g/plate)$ 중 TA98 균주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확인한 결과 직접변이원인 4NQO에 대해 92.4%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Trp-P-1과 $B({\alpha})P$에 대해 각각 81.9%와 83.4%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TA100 균주에서 4NQO는 94.7%의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MNNG, Trp-P-1 및 $B({\alpha})P$은 각각 87.3%, 89.9% 그리고 92.3%의 억제율을 보였다. 각각의 변이원 물질에 대한 아가리쿠스버섯 분획물 $(200\;{\mu}g/plate)$의 항돌연변이 효과에서는 MNNG와 $B({\alpha})P$에 대해서는 분획물 모두가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보였고, 4NQO는 TA98, TA100 두 균주 모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95% 이상의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Trp-P-1에서는 TA98 균주에서 물층을 제외한 분획물이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TA100 균주에 대해서도 분획물 모두가 80%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각종 암세포에 대한 아가리쿠스버섯 메탄올 추출물의 저해효과는 시료 1 mg/mL 투여시 MCF7 82.9%, A549 86.5%, HT1080 65.5%, Hep3B 84.3%, HeLa 91.9%, KAROIII 88.7% 그리고 K562세포에서는 8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 정상 간세포 WRL68에 대한 시료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효과는 1 mg/mL의 시료를 첨가시 50% 이하의 생육억제율을 나타냄으로써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아가리쿠스버섯 분획물들에 대한 억제효과에서는 유방암 세포인 MCF7이 시료를 1 mg/mL 첨가하였을때 물층과 부탄올층을 제외한 분획물에서 9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다른 분획물에 비해 각각의 암세포에 대해서도 1 mg/mL 첨가시 8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물 분획물은 암세포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아가리쿠스 버섯에서 생리활성물질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Bioactive Mater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 최정우;류동열;김영기;홍억기;권명상;한진수
    • KSBB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93-298
    • /
    • 2000
  • ${\beta}$-Glucan a kind of polysaccharide which is particularly abundant in Agaricus blazei is known as the bioactive materials especially anticancer agents. The process development of the isolation and the purification process of water soluble ${\beta}$-glucans from A. blazei was achieved. and the process operation variables were optimized. Crude polysaccharides (CR.PS) were obtained from A. blazei by hot water extraction filtration solvent precipitation dialysis and freeze drying. Neutral and acidic fraction of polysaccharides were separated from crude polysaccharides by ion chromatography and then high molecular weight and low molecular weight fraction were separated from neutral fraction by gel chromatograph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compounds were performed with FT-IR NMR spectroscopy. Based on these analysis the optimal conditions of temperatures operating time organic solvent volume for precipitation and dialysis time were determined.

  • PDF

A549 인체폐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신령버섯 추출물의 영향에 관한 연구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Agaricus blazei Murill in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549)

  • 최우영;박철;이재윤;김기영;박영민;정영기;이원호;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37-1245
    • /
    • 2004
  • 브라질 기원인 신령 버섯 (A. blazei murill)은 강력한 항암 및 면역강화 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 수용성 추출물(water extracted A. blazei Murill, WEAB)이 A549 인체 폐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증식억제와 연관된 기전 해석을 시도하였다. WEAB가 처리된 A549 세포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감소되었으며, WEAB 처리는 암세포의 다양한 형태적 변형을 유발하였다. Flow cytometry 분석 결과로서 WEAB 처리에 의한 A549 폐암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G2/M arrest 및 apoptosis 유발과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WEAB가 처리된 암세포에서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 cyclin A 발현의 감소 및 Cdk inhibitor p21 발현의 증가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cyclin B1, Cdk2, Cdc2, Wee1, Cdc25c 및 p53 등의 발현에는 큰 변화가 관찰되지 못하였다. 또한 WEAB의 처리는 COX-2 선택적 발현 저하를 유발하였으나, telomere 조절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신령버섯 추출물이 강력한 항암 및 암 예방 효능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db/db 마우스에서 아가리쿠스 버섯 ${\beta}-Glucan$이 혈당과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ta}-Glucan$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db/db Mice)

  • 최정미;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418-1425
    • /
    • 2000
  • 아가리쿠스 버섯(동결 건조, 온풍 건조)에서 추출한 ${\beta}-glucan$을 7주령의 db/db마우스에 5주간 음용수로 제공하고 식이섭취량 및 체중의 변화를 관찰하고 혈액내의 포도당, 인슐린, 당화 헤모글로빈, 소장의 glycosidase의 활성을 측정하고 중성지방농도, 혈중 지질조성을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db/db 마우스에서 Agari.F군과 Agari.H군은 식이섭취량에서 Control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그에 따라 체중증가량도 낮았으며, 혈중 인슐린 농도와 당화헤모글로빈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 Acarbose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소장의 maltase, lactase, sucrase의 활성은 Control군에서 Lean군에 비해 세 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게 관찰되었고, 시료투여군인 Agari.F군, Agari.H군은 maltase의 경우 proximal, middle 부위는 대조군보다 낮았고 distal 부위에서는 Agari.F군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Sucrase, lactase의 활성은 모든 부위에서 시료투여군이 Control군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 Acarbose군은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혈중 total cholesterol의 농도의 경우 Control군과 Agari.H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Agari.F군과 Acarbose군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중 VLDL cholesterol의 경우는 Control군에 비해 Agari.F군, Agari.H군은 유의적으로 낮았고 Acarbose군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LDL cholesterol의 농도는 Control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Acarbose군이 가장 낮았다. 혈중 HDL cholesterol의 농도는 Agari.H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Control군이 가장 낮았다.

  • PDF

Comparison of Protein Binding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zei Murill Prepared by Ultrafiltration and Spray-Drying Process

  • Hong, Joo-Heon;Choi, Yong-Hee;Youn, Kwang-Sup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1-5
    • /
    • 2007
  • Chemical properties of spray-dried powders separated based on molecular weight from crude protein binding polysaccharide (CP-SD) of Agraricus blazei were examined. Contents of ${\beta}$-glucan in SD-1, SD-2 and SD-3 were 18.67%, 48.24%, and 37.15% respectively, and SD-2 (10-150 kDa) showed the highest molecular weight. Obtained ${\beta}$-glucans were not pure glucan, but was determined to be an acidic proteo-heteroglycan with a large amount of glucose (74.46-80.05%), galactose (8.91-15.2%), and mannose (4.9-5.46%). Composition of their amino acids was mainly aspartic and glutamic acids. FT-IR spectrum revealed SD-1, SD-2 and SD-3 were structures of ${\beta}$-1,3-glucans and ${\alpha}$-1,6-glucans at 890 and 930 $cm^{-1}$, respectively, signals of ${\alpha}$-1,6-glucans for CP-SD was not found. Useful CP-SD was recovered from A. blazei for preparation of three powder types as food materials.

Investigation for immune activity of isolated and purified polysaccharides extracted form Agaricus blazei Murill

  • Park, Young-Hyun;Kang, Doo-Jin;Hong, Eock-K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I)
    • /
    • pp.812-815
    • /
    • 2005
  • The basidomycetes fungus, Agaricus blazei Murill has been well known as the biologically active polysaccharides. They do not attack cancer cells directly, but produce their antitumor effects by activating various immune responses in the host. This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mune activity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culture broth, and mycelia. In order to exa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polysaccharide production, medium and C/N ratio were examined in flask culture. The fine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and purified by DEAE cellulose and Sephadex CL-6B, respectively. Each fraction was spplied to recognize NO synthesis and TNF-${\alpha}$ for immune activity tes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