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 diffu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4초

전나무 정유의 항진균 효과와 유효성분의 시너지효과 평가 (Evaluation on Anti-fungal Activity and Synergy Effects of Essential Oil and Their Constituents from Abies holophylla)

  • 김선홍;이수연;조성민;홍창영;박미진;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13-123
    • /
    • 2016
  • 본 연구는 전나무 정유의 Epidermophyton floccosum,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richophyton rubrum과 같은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구명하고 피부염 치료제로서의 전나무 정유의 잠재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전나무 정유와 분획물, 유효성분의 표준시약을 이용하여 한천희석법, paper disc 확산법, TEM을 이용한 세포 변화 관찰 등을 통해 항진균 활성을 평가하였고, 주성분은 GC-MS로 분석하였다. 유효성분들의 시너지효과는 체커보드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물질은 ${\alpha}$-bisabolol을 함유하고 있는 분획 G4였으며 다른 분획 보다 뛰어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체커보드법을 통해 ${\alpha}$-bisabolol과 bornyl acetate를 병용시 뛰어난시너지 효과를 나타냈고 세포 변화 관찰을 통해 분획 G4에 노출된 E. floccosum과 T. rubrum 균사는 정상세포와 달리 세포막과 세포소기관이 파괴됨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전나무 정유와 그 구성성분들은 높은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부염 치료제의 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되며, 특히 ${\alpha}$-bisabolol의 우수한 항진균 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압출성형 백삼 Et-OH 추출물의 충치유발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t-OH Extract from Extruded White Ginseng on Tooth Decay Bacteria)

  • 손현정;한민수;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51-957
    • /
    • 2009
  • 본 연구는 추출용매의 농도에 따른 추출수율 및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 분획 용매에 따른 치아우식균에 대한 항균성 등을 측정하여 천연 항균제인 인삼추출물의 치아우식 예방에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백삼 원료의 수분 함량은 20%, 배럴온도는 $100^{\circ}C$, $140^{\circ}C$ 두 조건으로 압출성형 하였다. 항균성 측정 결과 디스크 확산법은 S. mutans보다 L. casei 균에 대한 저해율이 높았으며 60% Et-OH 추출물이 항균활성이 컸다. GTase 또한 디스크 확산법과 같이 60% Et-OH에서 S. mutans에 대한 우수한 저해효과를 보였다. 반대로 최소저해농도 측정에서는 Et-OH 농도 80%가 60%보다 모든 인삼추출물에서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인삼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율도 증가하였다. L.casei 균에 대한 저해율은 대부분 150 mg/mL 농도부터 저해가 진행되었지만 $140^{\circ}C$ 압출성형 백삼은 100 mg/mL 농도부터 저해가 진행되면서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분획 용매에 따라서는 n-butanol과 n-hexane 추출물에서 항균성을 보였으며 사포닌과 함께 페놀계 화합물이 용출되면서 n-butanol 분획의 항균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자생식물 열수추출액의 항균효능 검색 (Screening of Antibacterial Activity from Hot Water Extracts of Indigenous Plants)

  • 민상기;박연경;박지연;진성현;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51-962
    • /
    • 2004
  • 병원성세균에 대한 자생식물 열수 추출물 141종의 항균효능을 검색하였다. 실험대상 식물은 생체 채집하여 건조 후 열수 추출하여 시료화 하였으며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고 시험 대상 균주로는 그람양성균 7주 및 그람음성균 12주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그람양성군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55종이었으며 특히 달맞이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사방소리 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칡(꽃), 이질풀(지상부), 배롱나무(꽃)은 6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 스펙트럼를 보였다. 그람음성균 1주 이상에 항균효능을 보이는 식물은 45종이었으며 달맞이 꽃(꽃), 석류(과피),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 사방오리나무(미성숙과), 물오리나무(미성숙과), 목련(미성숙과)은 8주 이상에서 광범위 항균스펙트럼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식용 가능하며 항균효능을 보인 달맞이꽃 (꽃), 석류(과피, 꽃), 굴참나무(도토리), 오미자(성숙과)의 열수 조추출물은 식품 보존제 및 가축 식이사료 등에 첨가하여 병원균 감염예방 등의 항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흰 쥐의 감염된 전층피부 결손에서 Iodine의 드레싱 방법에 따른 창상치유 효과의 비교 (Comparative Efficacy for Dressing Methods of Iodine on Infected Full Thickness Skin Wound in the Mouse)

  • 이종훈;김요한;민경희;홍성희;이원미;채정돈;전진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13-219
    • /
    • 2010
  • Purpose: Iodine has been used for the prevention or management of wound infection as a topical agent. Although iodine was widely used mainly by Betadine$^{(R)}$ and cadexomer iodine, there was no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ies of dressing methods of iodine. And also it's wound healing effect was not yet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tibacterial effects and wound healing effects associated with various dressing methods of iodine on infected full thickness skin defect in the mouse. Methods: One full thickness skin defects in the mice (n=60) were developed on the back and left open for twenty-four hours. Sixty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group S (dressing with Betadine$^{(R)}$ soaking, n=15), group T (dressing with Betadine$^{(R)}$ topping, n=15), group I (dressing with Iodosorb$^{(R)}$, n=15), group G (control group, dressing with dry gauze, n=15). The size of the wound defects and the grades of wound healing were evaluated in 4, 7, 10 days, and antibacterial effect was evaluated with restricted zone in Mueller Hinton agar by disk diffusion method. Results: After the wound was left open for twenty-four hours, many Staphylococcus aureus were cultured. The wound defect size was decreased in order of Betadine$^{(R)}$ soaking, Iodosorb$^{(R)}$, Betadine$^{(R)}$ topping and gauze dressing group in all days, bu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ade score of wound healing was increased in order of Betadine$^{(R)}$ soaking, Iodosorb$^{(R)}$, Betadine$^{(R)}$ topping and gauze dressing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 for S. aureus was increased in order of Iodosorb$^{(R)}$, Betadine$^{(R)}$ soaking, Betadine$^{(R)}$ topping and gauze dressing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Selection of the effective dressing method of iodine for infected wounds remains a controversial decision. According to this study, Iodosorb$^{(R)}$ may be most effective method for antibacterial effect and Betadine$^{(R)}$ soaking may be most effective method for infected wound healing. However,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dressing methods of iodine and to search for the mechanisms that explain their effects.

흰 쥐의 감염된 전층피부결손에 대한 항균연고들의 항균효과 및 창상치유 효과의 비교 (Comparison of Antibacterial Ointments for Antibacterial and Wound Healing Effect on Infected Full Thickness Skin Defect in the Mouse)

  • 전소연;이종훈;민경희;홍성희;이원미;채정돈;전진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15-121
    • /
    • 2010
  • Purpose: Many topical agents had been used for contaminated wound treatment. Although antimicrobial ointments were widely used as topical agents, their comparative antibacterial and wound healing effects were largely unrepo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bacterial effects and wound healing effects of common topical ointments on infected full thickness skin defect in the mouse. Methods: One full thickness skin defects in the mice (n=60) were developed on the back and left open for twenty-four hours. Sixty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B (dressing with Bactroban$^{(R)}$, n=15), group I (dressing with Iodosorb$^{(R)}$, n=15), group T (dressing with Terramycin$^{(R)}$, n=15), group G (control group, dressing with dry gauze, n=15). The size of wound defects and the grades of wound healing were evaluated at 4, 7, 10 days, and antibacterial effect was evaluated with restricted zone in Mueller Hinton agar by disk diffusion method. After the wound was left open for twenty-four hours, many Staphylococcus aureus was cultured. The wound defect size was decreased in order of Bactroban$^{(R)}$ (B), Iodosorb$^{(R)}$ (I), Terramycin$^{(R)}$ and gauze dressing group in all days, but difference among experimenta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ade score of wound healing was increased in order of Bactroban$^{(R)}$, Iodosorb$^{(R)}$, Terramycin$^{(R)}$ and gauze dressing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tibacterial effect for was increased in order of Bactroban$^{(R)}$, Iodosorb$^{(R)}$, Terramycin$^{(R)}$ and gauze dressing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opical antimicrobial ointments application was effective against wound infections by S. aureus. Bactroban$^{(R)}$ may be an optimal topical treatment for infected wounds according to this study. However,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ntimicrobial ointments and to search for the mechanisms that explain their effects.

양송이 배지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ubtilis NO12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NO12 from button mushroom substrates)

  • 김혜수;박현영;이찬중;공원식;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9-253
    • /
    • 2017
  • Cellulase와 xylanase 분비능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부여군 석성면 지역의 양송이 재배농장으로부터 수확후배지를 수집하였다. 양송이 수확후배지로부터 12종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 NO12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균 NO12의 생리적 생화학적 특성은 Bacillus ID kit와 MicroLog system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분리균 NO12는 Bacillus subtilis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분리균 NO12의 16S rDNA 염기서열도 B. subtilis와 99.2%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균 NO12는 B. subtilis NO12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이 분비하는 cellulase와 xylanase 활성은 분리균이 증식함에 따라 대수증식기 중반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정지기에 진입하면 효소활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xylanase 활성은 대수증식기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대수증식기 중반에 최대활성을 나타내었다.

기능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한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항균효과 및 기계적 성질 (Antibacter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lass Ionomer Cements Containing Functionalized Multi-wall Carbon Nanotube(MWCNT))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00-306
    • /
    • 2017
  • 본 연구는 상업용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GIC) 분말에 기능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를 첨가하여 항균효과와 기계적 성질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MWCNT를 기존의 GIC 분말에 0.125, 0.25, 0.5와 1.0 wt%를 첨가하여 조성하였다. 비커스 경도(VHN)는 (Ø$10mm{\times}2mm$) 각각 4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증류수에 1일, 7일, 14일 보관 후 200 N 하중에서 20초 유지시간으로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항균효과는 S. mutans와 S. aureus균주를 아가 디스크 확산법으로 억제대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비커스 경도는 MWCNT를 첨가한 실험군에서 높은값을 보였으며 MWCNT를 첨가한 모든 실험군에서 침전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은 경도값을 보였다(p<0.05). 항균실험은 S. mutans균에서 다소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S. aureus균은 MWCNT를 0.25 wt%첨가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MWCNT를 첨가한 GIC는 항균효과와 기계적 성질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추후 MWCNT의 효율적인 기능화 처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진균 활성 (Biologic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Herbal Plant Extracts against Candida Species)

  • 김재영;이용섭;임융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2-4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질염을 일으키는 칸디다증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성분을 한약재에서 조사하였다. 한약재에 ethanol을 이용하여 phenol 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물의 phenol 함량을 출정하였다. Ethanol농도에 따른 phenol성 물질의 용출량은 시료마다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40% ethanol 농도에서 가장 높은 용출량은 어성초, 지모, 금은화 등이며, 60% ethanol에서 가장 높은 용출량은 포공영, 작약 등이다. 황련은 80% ethanol 농도에서는 낮은 용출량을 보이나 다른 농도에서는 비슷한 용출량을 보이고 있고, 연교는 80% ethanol에서 높은 용출량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ethanol 농도별 추출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포공영은 80% ethanol 추출물 이상에서 전자공여 능을 보이며, 황련, 지모, 금은화는 100%의 ethanol추출물에서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C. albicans는 황련 추출물 $200{\mu}g/mL$농도로 주입하였을 때 3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으며, C. tropicalis는 포공영 추출물을 $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mm, 어성초 추출물을 $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mm, 작약 추출물을 $200{\mu}g/mL$ 주입시 3 mm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황련 추출물은 50, 100, 150, $200{\mu}g/mL$ 농도로 주입시 2, 3, 6, 9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을 이용한 C. glabrata, C. parapsilesis, C. utils 3개 종에 대한 항균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황련 추출물에서 항균성분은 TLC와 HPLC 분석을 통하여 berberin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수집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ruiting Bodies of Phellinus gilvus Collected in Korea)

  • 윤기남;장형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5-3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용 버섯인 마른진흙버섯의 자실체를 80%의 메탄올과 열수를 이용해 추출한 물질의 항산화와 항균 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2.0 m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93.65%)이 양성대조군인 BHT (96.97%)에 비해 낮았으나 상대적인 효과는 높았다. 철이온 소거능 실험에서 추출물의 모든 농도(0.125~2.0 mg/mL) 범위에서 철이온 소거능 항산화 효과가 BHT에 비해 월등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종의 세균 S. aureus, S. mutans, B. subtilis, E. coli, P. aeruginosa, V. vulnificus와 1종의 곰팡이 C. albicans를 대상으로 200 mg/mL의 농도에서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agar well diffusion법으로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V. vulnificus와 C. albicans를 제외한 5종의 세균에서 inhibition zone을 보여 메탄올 추출물은 여러 종류의 그람 양성세균과 그람 음성세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 inhibition zone을 나타낸 S. aureus, S. mutans, B. subts, E. coli, P. aeruginosa 등 5종의 세균을 대상으로 최소저해농도 (MIC)를 측정한 결과 각각 100, 100, 50, 100, 200 mg/mL의 MIC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마른진흙버섯 자실체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가 높아서 이들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와 항균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잿빛 곰팡이병원균 Botrytis cinerea에 대한 Bacillus sp. KMU-1011의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p. KMU-1011 Against Gray Mold Causing Botrytis cinerea)

  • 박성민;김현수;유대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69
    • /
    • 2006
  • 핀란드의 Lappeenranta 지역에 위치하는 Saimaa 호수가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p. KMU-1011를 이용하여 많은 작물에 잿빛 곰팡이병을 유발하는 Botrytis cinerea KACC 40573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위한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항진균 물질의 생산을 위한 기본배지로 nutrient broth를 사용하였으며 탄소원으로 1.0% glucose와 질소원으로 1.0% polypeptone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조건으로는 $24^{\circ}C$, 180 rpm, 48시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Ammonium sulfate를 $30{\sim}60%$ 첨가하여 항진균 물질을 회수하였을 때 가장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hloroform을 이용하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하여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잿빛곰팡이병, 고추 탄저병, 참외 탄저병, 수박등의 박과작물의 덩굴마름병, 토마토 시들음병, 글라디올러스 마른썩음병, 토마토 질병, 수박 덩굴쪼김병. 수박 질병, 사과나무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참외 줄기썩음병, 그리고 고추 균핵병에 대하여 양호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