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 농도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초

초등학교 실내환경에서 공기 중 세균과 진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Indoor Environment of Elementary Schools)

  • 김나영;김영란;김민규;조두완;김종설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3-200
    • /
    • 2007
  • 울산 소재 초등학교 3곳의 교실과 복도에서, 배양가능한 공기중 세균과 진균의 농도를 조사하고, 이들 미생물을 분리한 후 동정하였다. 세균과 진균의 포집에는 충돌식 공기 채취기를 사용하였으며, 세균수와 진균수의 측정에는 각각 plate count agar와 dichloran rose bengal chloramphenicol agar를 사용하였다. 학기 중 세균 농도는 교실에서 $168{\sim}3,887MPN/m^3$ 복도에서 $168{\sim}6,339MPN/m^3$의 범위였으며, 진균 농도는 교실에서 $34{\sim}389MPN/m^3$, 복도에서 $91{\sim}507MPN/m^3$의 범위로, 상황과 학교에 따른 측정값의 편차는 세균에서 진균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분리한 세균의 84%는 그람양성으로 관찰되었는데, 전체 시험한 세균의 61%는 Micrococcus 속으로, 이중 75%는 M. luteus로 확인되었으며, Staphylococcus속은 전체의 10%수준이었다. Micrococcus 속의 주요 발생원은 사람으로 생각되며, 함유한 색소나 높은 세포벽 함량 등의 생리적 특징이 이들 세균의 공기중 생존력을 높이는 것으로 추측된다. 포집한 시료로부터 15속의 사상성 진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ladosporium 속,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등이 분리한 진균의 69%를 차지하였다. 1개 학교의 교실에서는 Stachybotrys속이 검출되었는데, 이 속의 S. chartarum은 많은 진균독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독소생산과 관련이 깊은 Aspergillus 속, Penicillium속, Stachybotrys 속에 대한 종 수준에서의 동정, 분리한 진균의 독소생산능력, 공기중 진균독소 검출 및 진균 농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염에서 생장하는 젓갈 유래 Bacteria의 분리 및 고염에서의 생육 특성 (Isolation of Bacteria from Jeotgal Using High-salt-content Media and Their Growths in High-salt Condition)

  • 안두현;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4-300
    • /
    • 2011
  • 젓갈의 숙성에 미치는 bacteria의 역할 규명을 목표로 고염에서 생장하며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는 bacteria를 멸치젓과 새우젓으로부터 분리하여 이들의 고염에서의 생장을 검토하였다. NaCl이 15% 첨가된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bacteria를 분리한 경우, 멸치젓으로부터는 Bacillus 및 근연속이, 새우젓으로부터는 Staphylococcus 속이 우점으로 분리되었고, 멸치젓으로부터 분리된 Virgibacillus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으로부터 분리된 Halobacillus trueperi가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내었다.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활성을 나타낸 멸치젓 유래 bacteria는 Vb. halodenitrificans를 중심으로 한 Bacillus 근연 속으로 NaCl 농도 15%에서 생장하는 bacteria의 군집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NaCl이 8% 첨가된 고체배지에서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낸 새우젓 유래 bacteria는 NaCl 농도 15%에서 분리된 우점균 Staphylococcus, Salinicoccus, Salimicrobium 속이 아닌 Bacillus 속과 Planococcus, Salinivibrio 속으로 확인되어 새우젓의 우점종은 단백질 분해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멸치젓의 우점종 Vb. halodenitrificans와 새우젓의 우점종 Staphylococcus equorum은 NaCl이 25% 첨가된 배지에서도 생장을 나타내어 젓갈 숙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균으로 이용될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Sisomicin 생산균의 돌연변이와 고생산 균주의 선별방법 (Mutagenesis of Sisomicin-producing Strains and Selection Method of High Producers)

  • 이상한;안병우;신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1-277
    • /
    • 1986
  • Sisomicin 생산균인 Micromonospora inyoensis 균주를 변이유기체로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높은 균주들을 얻기 위한 최적조건으로는 각각 자외선(UV light) 처리에서 90%, nitrosoguanidine(NTG)에 대해 99%, nitrous acid에 대해 99.3%의 사멸율을 나타내는 경우였다. 이 때 분리된 colony들의 sisomicin생성능의 측정은 액체배양 대신 쉽고 간편한 agar plug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변이유기제로 처리한 후 우량균주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aminoglycoside계통의 항생물질 혹은 중금속염을 함유한 농도구배 agar plate에서 생성된 균주들의 화성을 살펴본 결과, 항생물질로서는 gentamicin, kanamycin 이, 중금속염으로서는 Co, Hg가 효과적이었다.

  • PDF

병원내 공기중 미생물의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 on Concentration of Airborne Microbes in a Hospital)

  • 최종태;김윤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1993
  •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concentration of airborne microbe in a hospital using RSC air sampler during October~November 1991.The result was as follows: 1) In an agar strip GK-A media for total counts of microbial particles. The highest count were 1384 CFU/m$^3$ in the main lobby, followed by 912 CFU/m$^3$, in the obstetric room, 688 CFU/m$^3$ in 1CU. By gram staining, the distribution for organisms in the air were shown 74.1% in gram possitive cocci followed by 16.8%, in gram possitive bacilli 6.7% in gram negative bacilli and 4.7% in yeast, but low organism was detected in recovery room with 194 CFU/m$^3$. 2) In agar strip S media for Staphylococci the count at the main lobby was detected in the recovery room with 92 CFU/m$^3$, Tests of coagulase were negative Staphylococci with 78%, and positive Staphylococci with 22%. The Staphylococci were highly resistance to penicillin, ampicillin and sensitive to amikacin, cefazolin, gentamycin and chloramphenicol. 3) In agar strip C media for coliform bacteria the colony counts at the main lobby was 139 CFU/m$^3$ and treatment room was 190 CFU/m$^3$, most frequently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non fermentative bacilli. 4) In agar strip HS media for yeast and molds. Most frequently colony counts 17~76 CFU/m$^3$, 0.5% lactophenol cotton blue stains were shown unidentified 77.2%, 8.1%, in Penicillium 8.1% in Aspergillus, and 3.8% in mucor.

  • PDF

한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내부구조 분석 (Preparation of Agar Microcapsules and Analysis of Their Internal Structure)

  • 박철완;이신영;허원
    • KSBB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239-2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미네랄오일에 유화제를 사용하여 한천 현탁액을 제조하고 여기에 피브로인을 첨가하여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한천 유화액에 첨가될 유화제의 농도를 10%로 결정하였고 피브로인을 투입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피브로인으로 피막이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을 감압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에탄올 침전물로 회수하였다. 공초점 현미경으로 피브로인 피막이 형성되어 있음과 마이크로캡슐의 90%가 $1.32{\mu}m$에서 $6.0{\mu}m$사이에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에탄올 침전물 형태의 마이크로캡슐과 이들이 분산되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열중량 분석을 통하여 마이크로캡슐은 중량비로 한천이 51.2%, 피브로인이 13.8%, Span 80이 1.4%로 구성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 탐색 (Screening of Organo Phosphorus Insecticide Fenitrothion-Degrading Microorganisms)

  • 최혁;김복진;배도용;이영득;강선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9-285
    • /
    • 1998
  • 논, 밭, 임야, 오염지 토양과 폐수 등 124 지점의 미생물 급원에서 fenitrothion 분해미생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총 1,071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배지별로는 nutrient agar, potato dextrose agar, Actinomyces isolation agar 및 basal salt medium 고체배지에서 각각 601, 201, 168, 101종의 활성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fenitrothion 분해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미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액체배양을 통한 GLC분석 결과 분해율이 80% 이상인 균주 28종을 2차 선발하였다. 이들을 선발배지별, 미생물 급원별로 살펴보면 NA 배지에서는 논토양에서 3종, 밭 토양에서 3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4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12종이 분리되었다. PDA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밭 토양에서 2종, 임야 토양에서 2종, 오염지 토양에서 3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BSM 배지에서는 논 토양에서 1종, 임야 토양에서 1종, 오염지 토양엣 6종이 각각 분리되어 총 8종이 분리되었다. 그러나 AIA 배지에서는 모든 균주가 fenitrothion 분해율이 50% 이하이었다. 한편 100mg/ l의 고농도 fenitrothion 첨가 배지에서 2차 선발 균주를 강화배양하면 세균 중에는 Npa1과 NFo1 균주가, 사상균 중에서는 PFo1과 BPo1 균주가 분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태형성 억제세균과 구강내 세균수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THE BACTERIA INHIBITING PLAQUE FORMATION AND THE NUMBER OF ORAL BACTERIA)

  • 양규호;정현주;오종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9-465
    • /
    • 1999
  • 소아의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비수용성 글루캔 형성 억제세균의 Streptococcus mutans 치태 형성에 대한 억제 정도와 분리 세균속의 타액내 농도가 타액내 전체 세균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비수용성 글루캔 형성 억제세균의 효과를 비커 와이어 검사로 본 결과, 교정용 와이어상에 형성된 치태의 무게가 Streptococcus mutans 단독배양시 152mg에서 Enterococcus durans,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oralis와의 혼합배양시 각각 4mg, 78mg, 72mg으로 감소되었다. Streptococcus mutans의 생균수는 단독배양시 ml당 $3.6{\times}10^8$ 개에서 Enterococcus durans,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oralis와의 혼합배양시 각각 ml당 $1.4{\times}10^6,\;5.6{\times}10^6,\;3.8{\times}10^6$으로 감소하였다. 소아로부터 얻은 타액을 BHI agar에 접종하였을 때의 생균수는 $4.8{\times}10^6$에서 $1.3{\times}10^9$이었으나, 이러한 전체 세균의 농도는 타액내 Enterococcus, Lactobacillus, Streptococcus mutans를 억제하는 Streptococcus의 농도와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소아의 구강으로부터 분리한 비수용성 글루캔 형성 억제 세균의 Streptococcus mutans 치태형성에 대한 억제는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을 억제하여 일어났으며, Enterococcus, Lactobacillus, Streptococcus mutans를 억제하는 Streptococcus의 구강내 농도는 구강 즉 타액내 전체 세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의 형질전환조건 (Genetic Transformation of Biocontrol Agent Bacillus sp, YBL-7 by Plasmid pE194)

  • 한길환;정병곤;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4-389
    • /
    • 1992
  •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의 생육을 강력히 길항하는 Bacillus sp. YBL-7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그 길항기작이 항생물질임을 이미 보고하였다. 분리된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 균주들 siderophore, 가수분해능 등의 타 방제기능을 도입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방제균으로 육종하기 위해 plasmid vector pE194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형질전환 system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필요한 여러가지 조건을 조사하였다.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 원형질체 형성의 최적조건은 5시간 배양된 균체를 사용함으로써, 최종농도가 200${\mu}g$/ml인 lysozyme을 $37^{\circ}C$에서 90분간 처리함으로써 원형질체 생성율이 가장 높았다. 삼투압안정 완충제인 SMM bufferso의 sucrose 농도는 0.5M에서 안정하였고, mannitol 재생 배지에서 원형질체를 재생시켰을 경우 첨가된 agar의 농도가 1.2%에서, mannitol은 0.7M의 농도에서 가장 재생율이 높았다. 형질전환율은 polyethylene glycol 농도가 40%(w/v)일 때 가장 높았으며, plasmid DNA와의 접촉시간과 발현배양시간은 각각 10분, 120분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또한 plasmid DNA의 농도는 5$\mu$g/ml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형질전환된 숙주균주 Bacillus sp. YBL-7내에서의 pE194는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외붕 전자가 도입된 전환체와 숙주균주가 동일한 억제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garose gel 상에서도 고유의 plasmid pE194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저기압(低氣壓)이 가토적혈구(家兎赤血球) GSH 및 2, 3-DPG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Effect of Hypobaric Hypoxia on Levels of Reduced Glutathione and 2,3-Diphosphoglycerate in Rabbit Red Blood Cells)

  • 유창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3
    • /
    • 1982
  • 저기압(低氣壓)이 가토(家兎)의 적혈구(赤血球)용적, 혈색소(血色素)농도, 적혈구수(赤血球數), 적혈구(赤血球) GSH 및 DPG에 끼치는 영향에 대(對)하여 연구 하였다. 적혈구(赤血球) DPG만 제외하고 모든 관찰수치는 증가(增加)되었다.

  • PDF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을 이용한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생리활성 연구 (Biological Analysis of Enzymatic Extract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Using the Microbulbifer sp. AJ-3 Marine Bacterium)

  • 배정미;조은경;김혜윤;강수희;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7-63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해수로부터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해양미생물 $Microbulbifer$ sp. AJ-3의 효소에 대한 기질 특이성을 분석하고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하여 매생이의 효소분해산물을 조제하여 이에대한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agar에 대한 상대적인 활성으로 나타내었는데 chitin 34.8%, fucoidan 36.8%로 비교적 낮은 활성을 보였고, starch 51.2%, agarose와 laminaran은 agar와 비슷한 수준인 115.6%, 103.1%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alginic acid에 대해서는 agar의 2배가 넘는 239.3%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측정으로 분석하였는데 매생이 효소분해산물 2 mg/ml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2%, SOD 활성은 93%로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82%, pH 3.0에서 53%, pH 6.0에서 12%로 positive control인 비타민C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 활성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효소분해산물 2 mg/ml 농도에서 30%의 증가된 알콜 분해능이 나타났다. 매생이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효능에 대해서는 tyrosinase 저해능으로 분석하였으며 2 mg/ml에서 28%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