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 '자외선' 주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ivity-Based STEAM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Theme of "Ultraviolet(UV)")

  • 한신;김형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13-52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STEAM에 대한 태도, 만족도 변화를 검증하는데 있다.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은 '자외선을 이겨내자'를 주제로 총 3차시 분량으로 개발하였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투입 과정을 거쳐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소재의 S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68명을 대상으로 통계적 방법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과학 5~6학년군 '태양계와 별' 단원을 기반으로 '자외선을 이겨내자'란 주제를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활동중심 STEAM 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한 후, 과학행동체계에 따른 인지발달 수준은 수업 후 향상되었고, 논리적 사고력 중 비례, 변인통제 논리가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5). 셋째, 7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STEAM 교육에 대한 태도 중 소통과 유용성 요인을 제외한 다른 요인들에 걸쳐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5). 넷째,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 구인의 평균값이 3.59~3.85을 나타내어, 연구참여자들이 활동중심 STEAM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교 도서관의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s Mentoring Programs Supported by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Seoul)

  • 조인숙;김희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6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 북부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내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북부지역 5개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학교별 멘토링 현황을 분석하고 멘토, 멘티, 전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담임교사와 방과 후 교사를 포함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멘토링 후에 멘토가 작성한 멘토링 활동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학교도서관 학부모 멘토링 프로그램은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확대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받을 수 있는 대상아동에 대하여 독서를 통하여 더 넓은 세계를 접하도록 함으로써 책과 함께 한 작은 소통이 궁극적으로 사회양극화 해소를 위한 하나의 계기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초등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의 구조적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problematic behavior Depend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a Sport activity after School class)

  • 장봉우;김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347-353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주 C지역 초등 5-6학년 189명을 유층표집 하여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SPSS 18.0을 이용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방과후 스포츠 활동에 참여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개선(성취동기, 자신감, 자긍심 등)시키고, 문제행동(우울, 불안, 반항, 공격성 등)을 감소시켰으며,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부정적인 소통(핀잔, 잔소리, 힐책 등)은 줄어든 반면, 문제행동 감소에도 영향을 주었다. 향후 아동의 정서적 인간적으로 제기되는 심리적 탄력성 신장을 위해서는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의 가치를 종목별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수학교 보건교사의 돌봄 경험 (Experience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김인영;서민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11-120
    • /
    • 2023
  • Purpose: Th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Korea highlights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their care. This study explored the specific experiences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Methods: In this study, 11 school health teachers participa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matic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The experiences of health teachers at special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5 themes and 13 subthemes. These included "concerns about working in special schools and attachment after working," "management of diverse diseases and ongoing, careful observation," "ambivalence regar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mpetences needed to ca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nhancing car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emanding institutional support." Conclusion: Effective student health management depends on open communication channels and the establishment of strong connections among health teachers, school personnel, and parents of impaired students. To enhance the quality of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eachers' healthcare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Additionally, specific guidelines for the range of medical treatments provided by health instructors, should be devised.

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교육과 의과대학생의 개인 위생 실천도 (Education on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and Personal Hygiene Practices of Medical Students)

  • 김민정;이상엽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2호
    • /
    • pp.99-10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on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evaluate whether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impacts students' level of knowledge and individual hygiene practic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oute by which medical students obtain disease-related information. The study involved a survey conducted in August of 2015 at two medical schools in Busan. In the first year to fourth year, a total of 345 students are enrolled (111 students in A school and 234 students in B school). Before the study was carried out, university A performed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related to MERS, but B did not. We used self-developed questionnaires to surve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outes of acquisition of MERS information, degree of knowledge of MER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personal hygiene practices before and after education. Knowledge level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year in schoo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ents obtained their information about MERS from various news media sources and the Internet, and through social network sites. Students practiced sanitary control behaviors in an average of 2.2 manners (standard deviation=0.95). The level of knowledge of MER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and total numbers of personal hygiene practic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played a role in knowledge acquisition and personal hygiene practices for the medica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accurate and reliable knowledge of diseas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to medical students, continuous and well-planned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활용한 초등 영어 글쓰기 자동 평가 (Automatic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Writing Based on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

  • 박영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1-169
    • /
    • 2017
  • 작성된 문서의 문법적 오류 교정을 할 때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이 작성한 글 중에는 문법적으로는 옳더라도 자연스럽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 2개의 문장이 주어졌을 때, 어떤 것이 더 자연스러운 문장인지 자동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장기 의존성(long-term dependencies) 문제를 해결하고, 보조 단어(subword)를 사용하여 희소 단어(rare word) 문제를 해결한다. 약 200만 문장의 단일어 코퍼스를 통해 순환 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을 학습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이 주로 틀리는 표현들과 그에 대응하는 올바른 표현을 입력으로 주었을 때, 모든 경우에 대해 자연스러운 표현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었다. 본 소프트웨어가 스마트 기기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면 실제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지역 중·고등학교의 교과교실제를 위한 공간 재배치 특성 (A Comparison Study on Spatial Rearrangement for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Rural Area)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7-44
    • /
    • 2014
  •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floor plan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rural area. Recently, man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re remodeling the buildings and facilities based on the departmentalized classroom system.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on 4 remodeling cas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nam. This article discu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plan composition 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4 schools. This study is showing the variation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nd space organizat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Home-room and home-base should be more faithfully. Various common space is needed to comfortable school life of students. In case of side corridor type plan, moving path is much needed. Sample schools took much more spaces of home base than before. This article discusses abo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chool facilities.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p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Images as Science Teachers)

  • 강훈식;신석진;차정호;한재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1-21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의 현행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3개 사범대학을 선정한 후, 화학 교육과(과학교육학부 화학 전공) 3학년 72명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과목 이수 직전에, 4학년 5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는 ‘학생 중심'보다 ‘교사 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교육 과목을 이수한 후에도 예비 과학교사들이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경우가 매우 적었다. 심지어 교육실습 직후에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일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사 중심' 이미지로 변하기도했다.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비 과학교사들은 사전 교수-학습 경험, 현실적 제약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e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강지은;구덕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61-768
    • /
    • 2021
  • 최근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과 컨텐츠가 개발되고 있지만, 초등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한 융합교육 연구사례가 있는 노벨 엔지니어링 기법을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1차 프로그램 개발 후 전문가 타당도 검사로 검증을 하였고 이에 따라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개발하였다. 그 결과 한글 해득 과정 중인 저학년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문자 언어보다는 음성 언어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교과 간 통합으로 교육 시수를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정보 교과가 별도로 신설되어 있지 않은 초등 저학년의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국어, 수학, 통합교과와 융합하여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인공지능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통적 요소를 활용한 중·고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포장디자인 내용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econdary School After-School Programs Using Korean Traditional Elements: Focusing on Gift Wrapping Designs)

  • 김희진;이예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59-17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을 고조하고 긍정적 인식을 높여주기 위해 전통요소를 활용한 가정과 방과후 선물포장 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수공노작을 활용한 체험학습 위주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는 분석, 개발, 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의 단계에서는 전통미를 표현하는 핵심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가정 교과서, 백화점 매장에서 전통포장 디자이너로 근무하는 전문가의 인터뷰와 판매하는 작품, 선물포장 디자인 협회의 출판물과 블로그의 작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통선물 포장디자인에서 전통미를 표현하는 핵심요소는 전통적 상징 문양, 색채, 장식, 소품을 현대적인 재료를 함께 이용해 구현하는 데 있었다. 추출한 핵심 요소를 바탕으로 16주, 32차시의 방과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 3인과 현장교육전문가 1인의 자문을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검증받았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인천 소재 G여자중학교의 57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설문조사 참여와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요청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전통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일상에서 더욱 자주 접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다면 우리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더욱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실질적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