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ter-Reading Activity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7초

독서캠프 활동이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운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Effects of Reading Circle Management with College Students on the Reading Camp Activity)

  • 김승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5-45
    • /
    • 2002
  • 대학생 중심의 독서회 회원들이 독서캠프 활동에 참여한 결과 독서캠프 활동에 경험이 있는 졸업생들과도 연관되어 독서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원들 간의 독서회 운영에 대한 격려는 독서캠프 후 뿐만 아니라 졸업 후에게도 계속되는 것으로 나타나 독서회 활성화를 위해 가장 적합한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을 회원으로 하여 조직된 독서회는 학기 중에는 캠퍼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방학중에는 독서활동을 멀리 하게 되는데, 독서캠프 프로그램은 이러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프로그램이 된다.

  • PDF

독서자료 분석제공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 - 독서캠프 프로그램의 독서후 독서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ffects of Reading Activity with Information Guide on the Analytical Reading Material)

  • 김승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9-112
    • /
    • 2003
  • 독서후의 독서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2학년까지 4개 학년을 대상으로 과제도서를 각 학년별로 한 권씩 선정하여 읽히면서 독서활동을 전개하였다. 독서활동은 4박5일 동안 독서캠프 활동을 할 때 과제도서에 대한 분석식 독서자료를 작성 제공하여 활용하는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독서감상문 쓰기, 독서발표, 독서토론,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4분야 영역의 결과는 독서감상문 쓰기가 가장 도움이 컸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독서토론 활동 분야가 높았다. 그리고 독서발표 분야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으나, 독서감상 만화 그리기 분야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토론의 활성화를 위한 독서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ading Material Use on the Reading Discussion)

  • 김승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22
    • /
    • 2004
  • 독서후의 활동으로 독서토론을 실시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터득하도록 하기 위해 독서토론 도서를 <분석식 독서법>으로 읽으면서 토론 자료를 준비하도록 하여, 진행된 독서토론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는 방법으로 독서토론을 진행한 결과 <분석식 독서법>으로 토론도서를 읽지 않고 독서토론을 진행할 때 보다 토론도서에 대해 줄거리와 내용을 잘 파악하고, 전체적인 주제 파악과 토론할 주제를 적절하게 선정하여 토론에 참여한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독서토론을 진행하면서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는데는 전체적으로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활용한 당시는 아주 높게 나타났다.

  • PDF

독후활동으로써 북트레일러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Book-Trailers As a After Reading Activity)

  • 최용훈;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5-36
    • /
    • 2015
  • 이 연구는 활자와 인쇄매체보다 영상과 음향매체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에 익숙한 다매체세대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북트레일러를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6학급을 실험집단 3학급(104명)과 비교집단 3학급(100명)으로 설정하여 창의성과 독서태도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하여 발달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선정도서의 독서퀴즈 문제를 활용하여 집단 간 선정도서에 대한 이해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북트레일러를 활용한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성과 독서태도, 선정도서에 대한 이해도가 비교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관련 도서 독후 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ctivity after Reading Books on Science toward Creativity)

  • 장혜진;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2호
    • /
    • pp.187-19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creativity when the elementary fifth-grade students do the activity with impression writing or the activity with science writing after reading books on scie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tudents in two fifth-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that was located in Incheon. The two classe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comparison group read books on science and did the activity with impression writing for 6 weeks. And, the experimental group also read books on science and did the activity with science writing for 6 week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ffect on the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better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y with science writing was more effect than the activity with impression writing to boost the creativity. After a detailed analysis about the creativity, this study showed a boost for all area of subordinate creativity.

  • PDF

아동의 독서실태조사 (An Analytical Study on Reading Behavior of School Children)

  • 김병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8권
    • /
    • pp.157-182
    • /
    • 1981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children's attitude toward reading, reading method, reading environment, reading volume, and then to compare the results obtained by sex, area and grade. The tool used in this survey was a questionaire designed specially by the investigator. The questionaire was distributed to 1339 children selected at the descretion of the investigator with due consideration of sex, area(large city, medium city and rural community) and grade (from 2nd grade of primary school to 2nd year of midd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Region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spect of the followiug : Awareness on reading, motivation for reading, reading method, activity after reading, number of books collected, reading guidance, how to obtain books to read, monthly reading volume, and reading tendency. 2) Also difference by grade was observed in respcet of the following ; Activity after reading, reading guidance, monthly reading volume and reading tendenc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1)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reading and reading method may be considered favorable while reading environment is not satisfactory yet. Especially, reading environment of school children in medium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is worse than that of large cities. 2) No difference by sex was observed in respect of attitudes toward reading, reading method, reading environment and reading volume while difference by sex was observed in respect of reading tendency. The followings are recommended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 1) To establish and carry out a comprehensive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rea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children in medium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2) To improve and substantiate school library facilities and design a proper guidance program to have children utilize school library to the maximum extent. 3) To contemplate on the consolidated measures for reading behavior survey.

  • PDF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독서활성화 방안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 박미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5-3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를 위해서 기존의 독서 교육이나 독서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자관만의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공공도서관의 기능에서 확대된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필요성. 프로그램 개발과 구축에 관하여 살펴본 후,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의 독서 관련 활동, 한 도서관 한 책읽기 행사 현황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독서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서 관련 특화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향후 공공도서관의 독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빈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maraton Program of Public Library on Reading Volume & Library Use Frequency)

  • 이경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16
    • /
    • 2013
  • 이 연구는 독서와 마라톤을 접목하여 개발 운영한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1)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이 독서량이 증가되고 도서관 이용 빈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독서마라톤 참여 이후에 가족들과 책에 관한 대화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독서마라톤 프로그램이 독서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지능 유형별 독후활동 연구 (A Study on After-Reading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 임성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5-82
    • /
    • 2015
  • 본 연구는 독서교육의 문제점을 다중지능 이론과 독후활동에 근거를 두고 논하고자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하워드 가드너 박사가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전제 하에 8가지의 유형을 주장했는데, 각 다중지능 유형별로 독후활동을 분석 및 적용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지능을 고루 증진시키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독서교육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독서교육 시간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가진 자기만의 강점 지능을 발전시키고 모자란 능력을 보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아동 독서교육전문가들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통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생각이 연구자의 기대 효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아동들이 독후활동을 할 때 꼭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활동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독서교육적으로 한 차원 발전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공공도서관 아동열람실의 환경행태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Environment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Reading Room in Public Libraries)

  • 황연숙;전세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103-111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arrangement features in public library infant and children's reading room and provide basic material in after children's reading room space planning by studying the space features, which are valued in the environment behavioral point of view. We limited the check list to libraries built after year 2000 that are located around Seoul and from 5 libraries with children reading rooms. After analyzing items by the space features, considering children's environment behavior, pleasantness was most favorable, children scale, safety, comfortableness, flexibility followed in order. It shows the basic surroundings and the furniture that composes the children's reading room are relatively favorable, but i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reading rooms lack the ability to form an environment that can adapt to children's growth, inducting new activity areas flexibly or rearrange them. there are limitations to getting the children's needs objectively and significantly, so survey research, interview research and not only studying Korean's but comparing and analyzing with foreign country's cases will be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