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M1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1초

부재료(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 및 쌈장의 품질평가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 이경임;문란주;이수진;박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2-477
    • /
    • 2001
  • 매실, 마늘 및 생강을 첨가한 된장과 쌈장에 대한 관능검사,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 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된장의 맛, 색 및 향과 같은 항목으로 실시된 관능검사 결과 마늘된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생강된장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된장은 단맛과 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과 향이 일반된장보다 상승되었으나 생강된장은 쓴맛이 강하고 구수한 맛이 떨어지며 색과 향이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의 활성저해 작용은 매실된장과 마늘된장이 $IC_{50}$/가 각각 93$\mu\textrm{g}$/$m\ell$와 94$\mu\textrm{g}$/$m\ell$로 효과가 뛰어났으며 생강된장 및 쌈장의 경우도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은 활성(100$\mu\textrm{g}$/$m\ell$)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TA100에 대한 MNNG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은 쌈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강, 마늘, 매실된장의 순서로 저해작용이 강했다. AFB$_1$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도 5mg/plate 첨가로 쌈장이 7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강, 마늘, 매실된장이 각각 75%, 55% 및 51%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 0.5% 농도에서 쌈장은 64%의 MNNG의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일반된장 및 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도 높은 억제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쌈장을 비롯하여 매실, 마늘, 생강을 첨가하면 항돌연변이 작용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변이원성에 대한 빈랑 물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eca catechu L. on the Mutageni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in E. coli PQ37)

  • 오위걸;안병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19
    • /
    • 2012
  • The desmutagenic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Areca catechu L. on the mutagenicity induced by aflatoxin $B_1$ ($AFB_1$),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mitomycin C (MMC) and 4-nitroquinoline 1-oxide (4-NQO) was studied by using the SOS Chromotest with Escherichia coli PQ37. The inhibition rates of water extract of Areca catechu L. at concentration of $100{\mu}g/assay$ were 41.0%, 47%, 46%, and 32% against $AFB_1$, MNNG, MMC and 4-NQO, respectively. The water extract of Areca catechu L. was separated into methanol soluble and methanol insoluble parts. The methanol insoluble part exhibited higher inhibition effect than the methanol soluble part against the mutagenic activities of MNNG. Step-wise fractionation of methanol insoluble part was done to obtain methanol,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Among these fractions, water fraction ha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f 45.0% against mutagenicities of MNNG. The inhibition rates of aqueous fraction of methanol-insoluble from water extracted Areca catechu L. at concentrations of 1.61, 16.13, 161.29 and $322.58{\mu}g/mL$ were 12.0%, 24.0%, 47.5% and 62.0%, respectively. The water fraction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with dose response against the mutagenic activity induced by MNNG.

녹차추출물 및 죽염처리에 의한 된장의 항돌연변이 및 in vitro 항암활성 증진효과 (Increased Antimutagenic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by Adding Green Tea Extract and Bamboo Salt during Doenjang Fermentation)

  • 황경미;오성훈;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
    • /
    • 2007
  • 된장제조 중 녹차추출물 첨가 및 죽염을 사용할 경우 돌연변이 억제작용 및 in vitro 항암 기능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연변이원 $AFB_1$에 대해 시료처리 농도 1.25 mg/plate에서는 녹차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된장, 1% 및 2% 첨가 된장은 각각 63%, 85%, 87%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여서 녹차 첨가에 의해 활성이 현저히 높아졌으나 녹차 1% 와 2%첨가에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MNNG에 대해서도 이러한 경향은 마찬가지였고, 녹차추출물 1% 첨가된장에 죽염을 사용했을 때는 더욱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다. 녹차추출물을 첨가한 된장의 in vitro 항암효과를 살펴 본 결과, PC-3인체 전립선암세포에서 0.5 mg/mL로 시료를 처리했을 때 대조군인 일반된장이 46%의 항암활성을 나타낸 데 비하여 녹차추출물을 1% 첨가한 시료는 70%, 2% 첨가한 시료는 77%의 암세포 생존저해효과를 나타내어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인체 전립선암세포의 생존을 더 크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죽염을 사용했을 때(녹차 1% 첨가군) 항암활성이 더욱 높아졌으며, 녹차 2% 첨가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항암효과를 보였다. 다른 인체 전립선암세포인 DU145를 이용한 항암효과 실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서 녹차추출물을 첨가하거나 죽염을 사용함으로써 된장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A NOTE ON THE REMOVAL OF PHYTATE IN SOYBEAN MEAL USING Aspergillus usami

  • Ilyas, A.;Hirabayasi, M.;Matsui, T.;Yano, H.;Yano, F.;Kikishima, T.;Takebe, M.;Hayakaw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135-138
    • /
    • 1995
  • Soybean meal was fermented by Aspergillus usami in order to reduce phytate content. Aflatoxin B1 was not detected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iber, ether extract and crude ash were slightly increased following fermentation with a concomitant reduction in nitrogen free extract. Though the fermentation partly degraded proteins in the soybean meal, there was small difference in amino acid composition between the soybean meal and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ermentation did not affect nutritional value of protein in soybean meal. Approximately 55% of phosphorus extracted by trichloroacetic acid was inositol hexaphosphate (phytate) in the soybean meal. The content of inositol tetra to hexaphosphates was not detected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phytate in soybean meal. Phytase activity was not detected in the unfermented soybean meal. However, the enzyme activity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was 167.7 U/g. When the fermented soybean meal in supplemented in formula feeds, phytase in the fermented soybean meal might partly degrade the phytate in other ingredients in the digestive tract. The fermented soybean meal is possibly used as a phytate-free protein source of feed, which contains high available phosphorus.

동치미로부터 항돌연변이 물질을 생산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Antimutagenic Substance from Korean Dongchimi)

  • 주길재;이창호;우철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32-438
    • /
    • 2001
  • 우리나라 동치미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항돌연변이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숙성중의 동치미부터 300여주의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들의 항돌연변이활성이 활성을 Salmonella enterotica serovar typhimurium TA100과 TA98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직접 변이원 MNNG, NPD, 4-NQO와 간접변이원으로서 AFB1에 대하여 항돌연변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DLAB19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한 DL-AB19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및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Bergeys Manual Systematic Bacteriology의 분류 기준에 따라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또는 그 유연균으로 동정하였다. Leu. mesenteroides subsp. cremoris DLAB19의 배양 상징액의 MNNG, NPD, 4-NQO 및 AFB1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은 100$\mu$ι/plate 첨가시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 subtilis의 포자를 이용한 spore-assay 방법을 사용하여 MNNG와 4-NQO에 대한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 PDF

발효쪽 추출물의 생리적 기능과 염색특성(제1보)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Effects and Dyeing Properties of the Extract of Fermented (Part I))

  • 한신영;최석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6-10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and dyeing properties of the fermented indigo extract.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natural color extracts from colorant plants(gardenia, beet and indigo) were studied. The methanol extract of indigo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E. coli and Staph. aureus, and also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effect on Trich. mentagrophytes compared to others. The methanol extract of indigo showed antimutagenic activities against aflatoxin B1(AFB1) in the Ames test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 100. The proliferation of Clone M-3 mouse melanoma cells and A431 human epidermoid carcinoma cells was inhibited by the methanol extract of indigo. So we decided to use natural indigo for dyeing the fabrics because of those effects. Dried indigo leaves were fermented at variouss temperature and the fermented indigo was reduced by using alkaline(NaOH, Ca(OH)2) and glucose to dye the fabrics. The values of K/S fermented indigo showed the highest value when it was fermented at 3$0^{\circ}C$. The indigo fermented at 3$0^{\circ}C$ had the greatest number of total bacterial counts and we identified one of the main microorganisms as Aspergillus niger. This microorganism was responsible for the indigo fermentation and accelerated indigo fermentation. So it can be supposed to reduce the fermentation period of indigo by inoculating Aspergillus niger into the indigo leaves at 3$0^{\circ}C$.

  • PDF

식품중 총 아플라톡신 분석법 개선 (Advances in the Analysis of Total Aflatoxins in Foods)

  • 오금순;서정혁;박성수;소유섭;최우정;안영순;이종옥;우건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6-81
    • /
    • 2006
  • 총 아플라톡신 분석을 위한 최적의 추출 및 용출조건을 확립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였다. 추출용매는 70% methanol 용액에 NaCl을 각각 1% 첨가한 용액을 사용하였고, 정제용 컬럼인 immunoaffinity column을 이용하여 acetonitrile 3 mL를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아플라톡신 혼합용액의 분리능을 좋게 하였다. 검출한계는 0.05 ng/g 수준이였고, 식품의 유형별 총 아플라톡신($B_1,\;B_2,\;G_1,\;G_2$)의 회수율은 곡류 $74.1{\sim}95.5%,\;83.7{\sim}98.8%,\;80.4{\sim}102.4%$$72.8{\sim}76.5%$, 두류 $85.8~87.5%,\;83.8{\sim}90.7%,\;92.0{\sim}94.5%$$60.6{\sim}65.6%$, 견과류 $84.6{\sim}97.1%,\;86.0{\sim}94.1%,\;95.5{\sim}111.5%$$71.0{\sim}89.9%$, 가공식품 $81.5{\sim}87.1%,\;82.8{\sim}85.8%,\;85.4{\sim}92.7%$$68.9{\sim}76.4%$, 건조과실류 $83.6{\sim}93.5%,\;78.1{\sim}90.4%,\;93.0{\sim}108.5%$$64.9{\sim}78.5%$, 기타식품 $72.5{\sim}98.3%,\;73.1{\sim}96.4%,\;83.5{\sim}107.2%$$64.2{\sim}75.8%$를 보여주었다.

Quality Control of Majoon-e-Nisyan and its Acute Oral Toxicity Study in Experimental Rats

  • Shaikh, Masud;Husain, Gulam M.;Naikodi, Mohammed Abdul Rasheed;Kazmi, Munawwar H.;Viquar, Uzma
    • 셀메드
    • /
    • 제11권1호
    • /
    • pp.2.1-2.8
    • /
    • 2021
  • The clinical condition Amnesia causes difficulty in learning new information and the inability to recall past events. It is primarily concerned with recent memory loss. Majoon-e-Nisyan (MJN) is a polyherbal Unani formulation, present in a semi-solid form. It is widely used potent drug of the Unani System of Medicine (USM) for treating Nisyan (amnesia). In the present study polyherbal Unani formulation, MJN has been studied for its quality control and acute toxicity. Standardization (quality control) of drugs deals with drug identity, drug quality and purity determination. Standardization of MJN had been done as per the Unani pharmacopoeial parameters approv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 Pharmacognostical parameters, Physico-chemical parameters,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HPTLC), microbial load, aflatoxin, and heavy metals. Solvents and chemicals used in the study were of analytical grade and used instrument were calibrated. By conducting an acute oral toxicity study in rats, the safety of MJN was assessed. The limit test method of OECD guideline 425 was followed in the study. Results of standardization and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SOPs) for preparation of MJN may serve as the standard reference in the future. The data generated in the study for the quality control of MJN proved the quality of formulation and shows that MJN is not toxic in rats following acute dosing up to 2000 mg/kg bw. The data obtained in the paper for MJN may be used as a standard guideline for preparation of the formulation which can save time, cost, and resources for future research endeavours.

쌀 추출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 전향숙;김인호;김영진;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8-194
    • /
    • 1994
  • 쌀의 돌연변이 억제초과를 검토하기 위해 여러 돌연변이 유발원(3-amino-1,4-dimethyl-5H-pyrido [4,3-b]indole(Trp-P-1), 3-amino-1-methyl-5H-pyrido [4,3-b]indole(Trp-P-2), sodium azide(SA), 2-nitrofluorene(2NF), mitomycin C(MMC), aflatoxin $B_1(AFB_1)$ 및 4-nitroquinoline oxide(4-NQO))에 대한 쌀 추출물들의 억제효과를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SOS chromotest 및 spore rec-assay로 조사하였다. S. typhimurium TA 98 및 TA 100을 이용한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에서 현미(일품벼) 메탄올 추출물이 핵산,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 보다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간접변이원(Trp-P-1, Trp-P-2 및 $AFB_1$)에 대한 억제효과가 약 85% 이상으로써, 직접변이원(4-NQO, 2NF)에 대한 효과 보다 크게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은 E. coli PQ37을 이용한 SOS chromotest에서도 Trp-P-1, Trp-P-2, $AFB_1$ 및 4-NQO에 의한 SOS유도에 대해 $77.6{\sim}88.9%$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고, B. subtilis $H17(rec^+)$$M45(rec^-)$를 사용한 spore recassay에서도 양성대조구인 $AFB_1$ 및 MMC에 의한 저지대의 차이를 감소시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현미(일품벼)의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증가하였으나, 농도가 5 mg/plate(5%) 이상에서는 억제효과가 약 90%로 일정하였다. 쌀 품종별 메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는 조사된 11개 품종 모두에게서 나타나, 직접변이원인 2NF에 대해 $4.1{\sim}75.2%$의 억제를, 간접 변이원인 Trp-P-1에 대해 $99.5{\sim}100.2%$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백미와 현미(일품벼)간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비교해 볼 경우, Trp-P-1 및 Trp-P-2에 의한 변이에 대해서는 차이가 없었으나(p>0.05), 4-NQO에 의한 변이에 대해서는 현미의 효과가 높았다(p<0.05).

  • PDF

금 나노 입자 응집 원리를 이용한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비색-신속 농약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a Colorimetric Rapid Detection Method for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using Gold Nanoparticle Aggregation Principle)

  • 김효인;이정은;김솔아;문효영;조성래;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9-2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혈청 내 AChE가 acetylthiocholine과 반응하여 GNP에 aggregation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선채소 농산물 중에 저농도 농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최적화를 위해 GNP 입자의 크기에 따른 응집정도를 확인하여 15~20 nm 직경의 GNP를 선정하였고, 혈청의 희석배수와 acetylthiocholine의 농도를 확인하여 GNP 응집 차이가 가장 큰 혈청 1000배 희석과 acetylthiocholine 1 mM을 최적화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평가를 위해 최적화된 비색농약분석법을 이용하여 유기인계 농약은 dimethyl amine으로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carbofuran으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5 ng/mL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과 비교했을 때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농약 이외에 화학물질인 곰팡이독소 등에 대한 반응성은 확인되지 않아 높은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추, 깻잎, 양상추에 대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립하고 임의로 오염시킨 3종(상추, 깻잎, 양상추)의 농산물에 대해서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83.85~133.16% 정도의 회수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을 이용한다면 시판 농산물의 잔류농약을 신속하고 민감도 높게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