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3초

물 및 소금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n Methanol Extracts of Doenjang Made with Various Kinds of Water or Salt)

  • 이수진;이경임;문숙희;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91-695
    • /
    • 2008
  • 물 종류를 달리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로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 일반 수돗물로 담근 된장보다 게르마늄수와 고로쇠나무 수액으로 담근 된장이 Ames test와 SOS chromo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Ames 실험에서 일반 재래식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1 mg/plate 농도로 사용하였을 때 S. Typhimurium TA100에서 $AFB_1$의 돌연변이유발 억제작용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게르마늄수 된장과 고로쇠나무 수액을 첨가한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은 $56{\sim}62%$ 억제되었으며 5 mg/plate 농도에서도 일반 된장보다 억제효과가 높았다. 또한 E. coli PQ37에서 MNNG의 돌연변이유발 억제효과도 일반 된장보다 게르마늄수 된장과 고로쇠나무 수액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S. Typhimurium TA100에서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Ames test에서 천일염을 사용한 된장보다 구운 소금과 죽염을 사용한 것이 억제효과가 컸으며 1 mg/plate와 5 mg/plate 농도에서 1회 구운 죽염이 9회 구운 죽염을 첨가한 된장 추출물보다 항돌연변이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SOS chromotest에서도 1회 구운 죽염 된장은 다른 소금 된장 추출물에 비하여 MNNG의 돌연변이를 가장 크게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된장을 담글 때 사용하는 물과 소금의 종류에 따라 항돌연변이 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된장에 물과 소금이 미치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재료(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 및 쌈장의 품질평가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 이경임;문란주;이수진;박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2-477
    • /
    • 2001
  • 매실, 마늘 및 생강을 첨가한 된장과 쌈장에 대한 관능검사,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 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된장의 맛, 색 및 향과 같은 항목으로 실시된 관능검사 결과 마늘된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생강된장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된장은 단맛과 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과 향이 일반된장보다 상승되었으나 생강된장은 쓴맛이 강하고 구수한 맛이 떨어지며 색과 향이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의 활성저해 작용은 매실된장과 마늘된장이 $IC_{50}$/가 각각 93$\mu\textrm{g}$/$m\ell$와 94$\mu\textrm{g}$/$m\ell$로 효과가 뛰어났으며 생강된장 및 쌈장의 경우도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은 활성(100$\mu\textrm{g}$/$m\ell$)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TA100에 대한 MNNG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은 쌈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강, 마늘, 매실된장의 순서로 저해작용이 강했다. AFB$_1$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도 5mg/plate 첨가로 쌈장이 7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강, 마늘, 매실된장이 각각 75%, 55% 및 51%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 0.5% 농도에서 쌈장은 64%의 MNNG의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일반된장 및 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도 높은 억제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쌈장을 비롯하여 매실, 마늘, 생강을 첨가하면 항돌연변이 작용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재래식 버섯균사체 된장의 항종양성과 항돌연변이성 (Enhanced Antitumori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Doenjang Prepared from Mushroom Mycelia-cultured Traditional Mejus)

  • 김석종;박철우;박숙자;김영숙;조현종;임동길;김정옥;이주희;하영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3-148
    • /
    • 2003
  • 재래식 버섯균사체메주로부터 제조된 재래식 버섯균사체 된장의 항종양성,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성을 연구하였다. 항종양성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ascites cancer) 에서는 느타리, 영지, 상황, 신령 버섯균사체 된장이 각각 33, 30, 26, 25% 억제하여 재래식 된장(11%)에 비해 매우 우수한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버섯균사체 된장은 S. typhimurium TA98에 대한 IQ와 AFB$_1$에 의한 돌연변이성을 각각 39.7~46.1%, 38.0~39.7% 억제하여 대조된장(32.0, 33.2%)에 비해 항돌연변이성이 우수하였다. S. fyphimurium TA 100에 대해서는 IQ와 AFB$_1$의 돌연변이성을 각각 31.9~35.6%, 24.9~30.4% 억제하여 대조된장(27.5, 22.5%)에 비해 항돌연변이성이 좋았다. 항산화성 역시 버섯균사체된장이 대조된장에 비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관련 물질로서 $\beta$-D-g1ucan 함량은 버섯균사체된장의 경우 재래식 된장에 비하여 3~8배, 총 Phenol성 화합물과 isoflavone 함량은 느타리버섯균사체된장과 신령버섯균사체가 가장 높았다.

대두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y of Soybean Fractions Extracted by Solvents)

  • 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68-1373
    • /
    • 2007
  • 대두를 먼저 헥산(Hex)으로 지방을 제거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항돌연변이성 및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극성이 다른 용매인 디클로로메탄($CH_2Cl_2$),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로 분획하여 각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 효과를 검토하였다. $AFB_1$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MeOH)의 분획물들 중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은 2.5 mg/plate 첨가농도에서 각각 83%로 상당히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는 5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분획물들의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가 낮았다. 한편 MNNG의 경우, $AFB_1$에 비해 돌연변이 저해효과가 떨어지지만 그 중에서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67%로 가장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중간 분획물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CH_2Cl_2$)은 각각 63%, 49%의 돌연변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위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66%로 위암세포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디클로로메탄($CH_2Cl_2$)과 중간 분획물(Inter)의 경우에는 각각 54% 및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의 경우, 대두 메탄을 추출물을 2 mg/assay 투여했을 때 6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도 분획물들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이 73%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다. 대두의 메탄을 추출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44%의 인체 결장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가졌고 대두 메탄을 추출물의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층(EtOAC)의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는데 동일농도에서 77%의 결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두 분획물들 중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의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활성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 분획물에 주로 isofavone류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더욱 정제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Streptomyces natalensis로부터 S-adenosyl-L-methionine synthet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기능분석 (Cloning and Functional Analysis of Gene Coding for S-Adenosyl-L-Methionine Synthetase from Streptomyces natalensis)

  • 유동민;황용일;최선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6-101
    • /
    • 2011
  • ATP와 L-methionine으로부터 SAM synthetase (MetK)에 의해 생합성 되는 S-adenosylmethionine (SAM)은 세포내 메틸화에 필요한 메틸기를 제공하는 중심적인 공급체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방선균에서는 일차 및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조절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논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항진균성 항생물질인 natamycin을 생산하는 S. natalensis로부터 SAM synthetase 코드하는 metK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동정하였다. S. natalensis에서 클로닝된 metK는 1,209 bp의 염기를 가진 유전자로써 아미노산서열에서 S. pristinaespiralis ATCC 25486과 S. peucetius ATCC 27952의 MetK와 96%, S. violaceusniger Tu 4113과 95% 일치하는 매우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 pSET152ET 벡터를 이용해 구축한 metK 고발현용 재조합 플라스미드 pCD1를 S. lividans TK24의 genomic DNA에 도입하여 actinorhodin 생산 유도를 시도해 본 결과 R5 고체배지에서 pCD1이 도입되지 않은 균주에서는 actinorhodin 생산을 전혀 확인할 수 없었지만 pCD1이 도입된 형질전환체에서는 actinorhodin 생산이 강하게 유도되었으며 R4 액체배지에서는 actinorhodin 생산량이 10배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클로닝된 S. natalensis 유래 metK 유전자는 방선균에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Ingredient Ratios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28-1235
    • /
    • 1997
  • 문헌을 이용한 표준화 배추 김치의 배합비를 표준 값으로 하고 표준편차 만큼의 양을 가감하여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기능성 실험으로 항돌연변이성과 항암성을 평가하여 배추김치의 재료배합비를 표준화하였다. 절인 배추 100에 대해 무 13.0, 파 2.0, 설탕 1.0, 고춧가루 3.5, 마늘 1.4, 생강 0.6, 멸치액젓 2.2, 염도 2.5% 또는 2.7%로 조절한 배추김치의 경우가 관능검사에서 주관적인 평가항목인 종합적인 냄새, 향미, 질감과 종합적인 평가에 있어서 좋았고, 객관적 평가항목인 군덕내, 군덕맛이 적게 감지되었으며, 이화학적 실험결과 및 재료배합비에 따른 $AFB_1$의 항돌연변이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김치 시료에서 높은 항돌연변이효과와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보였고, 특히 표준화 배추김치의 즙액은 84%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80%이상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관능성과 기능성의 연을 고려해 볼때 가장 적절한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한 재료배합비는 절인 배추 100g에 대해 무 13.0 g, 파 2.0 g, 설탕 1.0 g, 고춧가루 3.5 g, 마늘 1.4 g, 생강 0.6 g, 멸치 액젓 2.2 g, 염도 2.5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을 통한 표준화의 재료배합비 중 최종염도만 2.7에서 2.5로 변한 것 외에는 일치하였다.

  • PDF

Cashew reject meal in diets of laying chickens: nutritional and economic suitability

  • Akande, Taiwo O;Akinwumi, Akinyinka O;Abegunde, Taye 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5호
    • /
    • pp.17.1-17.6
    • /
    • 2015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and economic suitability of cashew reject meal (full fat and defatted) as replacement for groundnut cake (GNC) in the diets of laying chickens. A total of eighty four brown shavers at 25 weeks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into seven dietary treatments each containing 6 replicates of 2 birds each. The seven diets prepared included diet 1, a control with GNC at $220gkg^{-1}$ as main protein source in the diet. Diets 2, 3 and 4 consist of gradual replacement of GNC with defatted cashew reject meal (DCRM) at 50%, 75% and 100% on weight for weight basis respectively while diets 5, 6 and 7 consist of gradual inclusion of full fat cashew reject meal (FCRM) to replace 25%, 35% and 50% of GNC protein respectively. Each group was allotted a die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in a study that lasted eight weeks during which records of the chemical constituent of the test ingredien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egg quality traits and economic indicators were measured. Results showed that the crude protein were 22.10 and 35.4% for FCRM and DCRM respectively. Gross energy of DCRM was 5035 kcal/kg compared to GNC, 4752 kcal/kg. Result of aflatoxin $B_1$ revealed moderate level between 10 and $17{\mu}g/Kg$ in DCRM and GNC samples respectively. Birds on control gained 10 g, while those on DCRM and FCRM gained about 35 g and 120 g respectively. Feed intake declined (P < 0.05) with increased level of FCRM. Hen day production was highest in birds fed DCRM, followed by control and lowest value (P < 0.05) was recorded for FCRM. No significant change (P > 0.05) was observed for egg weight and shell thickness. Fat de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increased (P > 0.05) with increasing level of FCRM. The cost of feed per kilogram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ed inclusion level of CRM. The prediction equation showed the relative worth of DCRM compared to GNC was 92.3% whereas the actual market price of GNC triples that of DCRM. It was recommended that GNC could be completely replaced by DCRM in layer's diets in regions where this by product is abundant. However, FCRM should be cautiously used in diets of laying chickens.

들깨의 식이 섬유소 함량분석과 들깨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 박동숙;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00-90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들깨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 섬유소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들깨의 methanol 추출물, hexane 추출물, MSF 및 식이 섬유소를 추출하여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하였다. 들깨의 총 식이 섬유소의 함량은 신선물인 경우 17.2%였고 건조물인 경우 18.2%였으며 이 가운데 94%가 불용성식이 섬유소였다. 들깨의 용매 추출물 중에서 methanol 추출물과 MSF는 AFB$_{1}$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상당히 억제시켰으며 methanol 추출물과 MSF를 2.5mg/assay 첨가군에서 각각 91%와 87%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같은 농도에서 SDF의 첨가군은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hexane 추출물은 20%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를 돌연변이원으로 사용한 경우에 항돌연변이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SDF를 1.25mg/assay 첨가한 군은 17%, MSF 2.5mg/assay 첨가군은 27%의 저해율을 보였을 뿐 methanol과 hexane 추출물 첨가군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들깨의 용매 추출물은 간접 돌연변이원에 의한 돌연변이성을 억제시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불용성 식이 섬유소의 경우 Trp-P-2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를 다소(13~18%)억제 하는것을 알 수 있다.

  • PDF

미색동물 및 패류의 Carotenoids 색소성분과 돌연변이 및 종양세포 증식의 억제효과 (Carotenoids Components of Tunicata, Shellfishes and Its Inhibitory Effects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Tumor Cell)

  • 하봉석;백승한;김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22-934
    • /
    • 2000
  •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carotenoids present in marine organisms and the biological activity of the carotenoids, carotenoids of the muscles and tunic of tunicates and shellfish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nitmutagenic activities of the carotenoids for S. typhimurium TA 98 and cytotoxic activity for cancer cell lines were determined. Total carotenoid contents in the muscle of tunicata ranged from 18.65 mg% to 2.39 mg%. The highest amount of the total carotenoid was found in the muscle of Halocynthia aurantium, followed by Styela clava (HERDMAN), H. roretzi, H. hilgendorfi f. igaboya, H. hilgendorfi f. retteri, S. plicata (LESUEUR) in order. Interestingly, total carotenoid content in the muscle of S. clava (HERDAMAN) was higher than that of H. roretzi. Total carotenoid content of all tunicata, other than H. aurantium and H. roretzi, were higher in muscle than tunic. The major carotenoids in H. roretzi, H. aurantium, S. plicata (LESUEUR), and S. clava (HERDAMAN) were cynthiaxanthin (25.1∼42.2%), halocynthiaxanthin (9.7∼26.3%), diatoxanthin (8.0∼18.7%) and β-carotene (7.7%∼21.7%). Similarly, cantaxanthin (19.6%), cynthiaxanthin (15.4%), halocynthiaxanthin (14.8%), and (3R, 3'R), (3S, 3'S)-astaxanthin (22.6%) in H. hilgendorfi f. retteri and fucoxanthin (26.6%), cynthiaxanthin (21.8%), halocynthiaxanthin (15.2%), and β-carotene (9.3%) in H. hilgendorfi f. igaboya were major carotenoids in both tunicate. However, the composition of carotenoids in muscle and tunic of tunicata was similar each other. Among the shellfishes examined, total carotenoid content of the muscle of Peronidia venulosa (Schrenck) and Corbicula fluminea, and of the gonad of Atrina pinnata and Chlamys farreri, was ranged from 2.51 to 6.83 mg% which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hellfishes. The composition of the carotenoids of shellfishes, which might depend upon their living environments, was varied. But cynthiaxanthin (15.9∼39.0%) and zeaxanthin (9.6∼21.9%) in gonad of C. farreri, and muscles of Buccinum Volutharpa perryi (JAY) and Crassostrea gigas, cynthiaxanthin (21.5∼48.6%) and mytiloxanthin (14.6%) in muscle of C.fluminea and gonad of A. pinnata, and canthaxanthin (60.6%) and isozeaxanthin (20.5%) in muscles of P. venulosa (Schrenck), and β-carotene (23.7%∼37.8%) and zeaxanthin (18.2∼20.4) in muscles of Semisulcospira libertina and Meretrix lusoria were major carotenoids. Interestingly, diester type-carotenoids were present along with free type-carotenoids in muscles of C. gigas. antimutagenic effect of the carotenoids isolated from tunicata and shellfishes against 2-amino-3-methylimidazol [4,5-f]quinoline (IQ) for S. typhimurium TA 98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20, 50 and 100㎍/plate) treated. Mutagenicity of IQ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staxanthin, isozeaxanthin, mytiloxanthin and halocynthiaxanthin, whereas the mutagenicity of aflatoxin B₁(AFB₁)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β-carotene, isozeaxanthin, and mytiloxnthin. Growth inhibition effect of carotenoids isolated from tunicata and shellfishes for cancer cell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5, 10, and 20㎍/plate) treated. The growth of HeLa cell by β-carotene, cynthiaxanthin, astaxanthin and halocynthiaxanthin, NCI-H87 cell by β-carotene, astaxanthin, cynthiaxanthin, and halocynthiaxanthin, HT-29 cell by β-carotene, cynthiaxanthin, mytiloxanthin and halocynthiaxanthin, and MG-63 cells by β-carotene, cynthiaxanthin, astaxanthin, canthaxanthin and halocynthiaxanthin were statistically reduc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