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ordance Theor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초

의료 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listic Spatial Design Elements for Service User Experiences in Healthcare Facilities)

  • 전수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13
    • /
    • 2015
  • For last decades, the interests and efforts to enhance healthcare facility users' experience is focused on improving facility environments for healing (Delvin, 2003) and servicescapes in order to meet the users' needs (Becker, 2008; Seunghee, 2011). In the emerging experience economy, customer want experiences and they're willing to pay for the experiences and memories not goods. (Pine, J. & Gillmore, J., 1999). It is important to identify what supports customer experiences and how they perceive the experiences in healthcare environments and it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healthcare planners, managers,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This study examines the service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from a User Experiences design perspective. It focuses on healthcare facilities as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build up a conceptual framework that outlines service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in healthcare faciliti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build the service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according to affordance theory.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s that service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were introduced and newly developed which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1) Functional experienc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s (safety, accessibility, self-directiveness), 2) emotional expression and cognitive experiences (identifiability/clarity, natural features/pleasant environment, aesthetic elements/playful space, media richness), 3) social relational experiences(closeness, privacy, communication with staff, integrated system). These service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will help healthcare facility designers to understand what customer experiences, how they increase the satisfaction, and how they improve facilities for modeling the industry's best practices.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 환경 이론과 심리치유 공간 개념 - 어린이 유치원 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Educational environment Theory of Reggio Emilia and Space Concept for Healing - Focused on the Childcare Facilities)

  • 변지혜;김광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25-3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comprehensive plann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nd emotional needs are achieved in childcare faciliti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ldcare facilities has increased since it was discovered that high 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can not be guaranteed in current childcare facilities while the number of women participating in labor force, hence the number of children spending most of their time in these facilities is rapidly increasing. Methods: Correlation analysis on Reggio Emilia Approach to education environment and Max Luscher's psychological healing theory, and case study. Result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4 key elemen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4 emotional status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Based on the elements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ggio Emilia Approach, case studies were pursued in 3 different childcare facilities in Korea. Implications: Evaluation of these case studies addresses the importa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comprehensive planning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childcare facilities.

스마트 지원 수업 설계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이 보이는 스마트 도구에 대한 인식과 활용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Designs on Smart Tools in Developing Smart-based Lesson Materials)

  • 강은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66-7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and use smart 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2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took theory and practice in a science education course were asked to develop lesson materials using smart tools and make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se data were categorized in an instructional, exploratory, and interactive approach, depending on how they guided students to access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smart tools as the exploratory and interactive learning tools to be used for students to actively search for and interact with data and knowledge. But in developing lesson materials, they usually used the smart tools for resource sharing and communication in the instructional manner. In conclusion, the ga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smart tools and lesson material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가상피팅 서비스를 활용한 온라인 쇼핑에서의 소비자 심리 평가 과정 -인터렉티브 미디어 효과 이론(TIME)을 중심으로- (Consumer Psychological Evaluation Process in Online Shopping using Virtual Fitting Service -Focusing on the Theory of Interactive Media Effects (TIME)-)

  • 김윤정;쉬원윈;오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1157-117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that consumers undergo when accepting virtual fitting services while shopping online. The Theory of Interactive Media Effects (TIME)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erceived affordance of media on consumer response through immers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and 27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teractivity and immedi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lepresence. Telepresence, in turn, affected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which then significan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some paths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In consumers with high innovativeness, interactivity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telepresence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in consumers with low innovativeness. Conversely, in consumers with low innovativeness,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an in consumers with high innovativen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ands research on customer perception of virtual fitting services within online shopping platforms.

지체장애인 맞춤형주택 디자인가이드라인의 사용자혜택 분석 (User Benefits Analysis of Customized House Design Guidelines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 이연숙;장미선;박지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93-102
    • /
    • 2015
  • Most existing residential environment of disabled people has made them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herefore hinders their independent living.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desirable residential environment has emerged. Some preceding studies have add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people's residential environment plan; however, the information on what environmental benefits are offered through such characteristics i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ousing design guidelines for disabled people in respect of the benefit of disabled people who are actual users. In this study, essential design guidelines for disabled people verified through expert workshop panel was analyzed based on user benefit theor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total guidelines have the most characteristics supporting behavioral facilitation, and mainly consist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characteristics related to disabled people's health and safety. Also, it is founded that environmental affordance essentially required depending on each spatial function was different. The ratio of physiological maintenance item is high in access route, unlike living room, kitchen and bed room where behavioral facilitation is especially emphasized.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ustomized residential environment plan to realize residential welfare for disabled people.

노출빈도와 인지도 관계에 따른 정보의 유형과 표현기법 (Information Types and Display Methods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Exposure and Degree of Cognition)

  • 한지애;류시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97-504
    • /
    • 2012
  • 본 연구는 사용자의 인지적 측면에서 정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고찰로써, 정보의 노출빈도와 인지도의 관계에 따른 정보의 유형과 속성에 따른 표현 기법을 제안하였다. 인지공학과 인지심리학 분야의 문헌연구를 통해 노출빈도와 인지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사용자의 인지적 요구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웍'으로써의 정보유형과 유형별 시각화 속성을 제안하였다. 세부적으로 정보 노출 빈도와 정보의 인지도에 따른 STM, STA, LTM, LTA 4가지 정보 유형과 각 유형에 관한 인지적 특성, 14가지 고품질 정보의 시각화 속성을 유형별로 재분류한 '시각화 속성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둘째, 정보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 깊이에 따른 표상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1차적 정보로서 STM, STA 정보의 표현기법으로 "독특속성", "선행 조직자(Advance Organizer)", "단계적 정보공개(Progress Closure)", "행위유발단서(Affordance)"를 제안하였으며, 다차원 정보로서 LTM 정보 표현기법으로 "모듈방식(Modularity)", "일관성(Consistency)", "모방(Mimicry)", "기억술(Mnemonic Device)"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점으로 정보의 유형과 깊이에 따라 정보의 시각화 속성의 중요도에 차이가 나타나며, 이에 따라 정보 표현기법이 달라 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소셜 Q&A 사이트의 디자인 요소가 신규 사용자의 지속사용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XGBoost 기법의 적용 (How Design Elements of a Social Q&A Site Influence New Users' Continuance Behavior: An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and XGBoost Techniques)

  • 강민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2호
    • /
    • pp.161-183
    • /
    • 2023
  • 소셜 Q&A 사이트에서는 사용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변한 내용들이 실시간으로 저장되어, 지식 저장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소셜 Q&A 사이트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려면 신규 질문자와 답변자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하지만 선행 연구는 기존 사용자, 그 중에서도 답변자의 자발적 지식 공유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고, 신규 참여자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다. 본 연구는 동기부여 어포던스 이론과 자기결정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신규 참여자들이 소셜 Q&A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요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신규 참여자가 질문자인지 답변자인지에 따라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추가적으로, 전환 비용의 개념을 활용하여 신규 사용자의 다른 멤버 사이트에 대한 사전 경험이 지속사용 영향요인에 대해서 가지는 조절효과도 확인해 보았다. Stack Exchange Network의 5개 주요 사이트에서 수집된 25,000명의 온라인 활동 데이터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XGBoost 기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자기결정 이론에서 제시하는 근본적인 욕구 세가지(역량, 자율, 관계)와 연관된 동기부여 어포던스들이 신규사용자의 지속사용 행위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멤버 사이트 사용 경험은 사용자들의 전환비용을 높여서 지속사용 선행요인들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 흥미로운 점으로, 규제 관련 어포던스는 신규 사용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나, 질문자와 답변자를 구분한 분석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건축환경계획에 있어서 열린 구조의 적용에 관한 연구 - 라 빌레뜨 공원 분석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Open Structure to Planning of the Built Environment - Focus on the Parc de La villete -)

  • 신명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69-76
    • /
    • 1998
  • 본연구는 과거에서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흐름에서 생성에서 폐기로 귀결되는 건축물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보다 지속가능한 건축환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이에 문제해결의 방안을 생물체의 위계구조와 진화 및 적응에서 찾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건축환경의 인간에 대한 지원성의 의미롸 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였다. · 이용자 중심의 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홀론 이론에 따른 다충적 위계 시스템의 건축에의 적응과 건축공간에 시간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완결이 아닌 과정으로써의 건축의 중요성을 밝혔다. ·베르나르 츄미의 라 빌레뜨공원을 위에 인급한 이론적 관점에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을 통해 구체적 사례를 분석해 봄으로, 이론적 관점을 적용한 시각적 대안 마련을 위한 하나의 기초적 정보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사용자 경험 기반 스토리두잉의 작동원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Based Storydoing Operating Principles)

  • 신동희;김희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25-436
    • /
    • 2015
  • 스토리텔링에 이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은 스토리두잉이다. 스토리텔링의'이야기하기'에서 스토리두잉의'이야기행하기'기법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산자가 가치로 여기는 메시지가 있고, 이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이야기, 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어포던스를 수용자는 지각하고, 직접 체험을 통해 메시지를 확인하며, 다시 생산자는 사용자의 체험과정을 평가하는 순환구조를 통해 기업의 제품홍보, 브랜드이미지 강화,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한다. 결국, 스토리두잉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움직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의 주요 특징인 상호작용성과 연속성이 스토리두잉을 어떻게 작동시키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스토리두잉의 개념, 스토리두잉의 국내외 현황,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두잉의 차이, 스토리두잉의 구성요소와 사용자 경험의 관계, 그리고 스토리두잉의 작동원리의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스토리두잉은 메시지, 이야기, 등장인물, 행동, 확인의 5가지 구성요소를 가지고, 생산자와 수용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연속성으로 작동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스토리두잉 본질 파악을 통해, 새로운 문화산업 트렌드를 밝혔고, 현재 기업과 브랜드 이미지 홍보를 주목적으로 하는 스토리두잉을 적용 범위를 확대하여 콘텐츠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두잉의 이론적 차이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본고가 사회문화적, 산업적, 학술적으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