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feedback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환자-의사 의사소통 수업의 한의학전문대학원 학생에 대한 효과 (An Impact of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Curriculum on Students of Korean Medical School)

  • 이혜윤;임선주;윤소정;이상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86-98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mpact of patient-physician communication curriculum on students of Korean medical school in terms of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level of communication skills. Methods: A communication curriculum was developed considering COVID-19 pandemic situation. Lectures, peer role-play, open interview with standardized patient (SP), discussion and feedback were conducted by online, and face-to-face 1:1 SP-interview was performed. Scores of written test, peer role-play of medical communication, SP-interview, self-evaluation on one's interview with real patients in clinical clerkship, and questionnaire of importa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Converted to 100 point scale, the mean score of written test (cognitive level) was 91.2 while that of importance questionnaire (affective level) was 77.5. The mean scores of psychomotor level were 72.5, 77.5, and 62.5 for peer role-play, SP-interview, and real patient interview in clerkship, respectively. Conclusions: Students' performance is lower in higher level of competence. Curriculums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of practices to students, and include evaluation focusing on performance skills.

팜파티 농가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가 소비자 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Examining the Effect of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of a Farm Party Venu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김나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548-556
    • /
    • 2017
  • 본 연구는 팜파티 농가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가 소비자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팜파티 농가의 이미지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인지적 이미지가 정서적 이미지의 비교에서는 인지적 이미지가 만족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둘째, 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정을 실시한 결과 재방문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팜파티를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와 농촌의 소득향상을 위해서는 팜파티 농가가 다른 농가와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6차 산업을 위한 팜파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팜파티 농가마다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이를 홍보마케팅에 활용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농촌관광의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재 팜파티를 진행하고 있는 농가의 운영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팜파티 운영자 중심의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K-평균 군집분석을 활용한 중학생의 군집화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Clust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K-Means Cluster Analysis)

  • 이재봉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1-619
    • /
    • 2022
  • 최근 교육에서 교육 데이터마이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 과학교육에서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24문항에 응시한 2,576명의 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비지도 기계학습의 한 가지 방법인 K-평균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학생들을 군집화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한 군집화 결과, 학생들을 6개의 군집으로 나누어 볼수 있었다. 상위권이나 하위권에 비해 중위권 학생들이 다양하게 다른 군집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군집분석의 결과를 보면, 군집화에서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 성취였으며, 군집별로는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별, 교과 역량별, 정의적 특성 면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하위 군집에서는 정의적 영역 중에서 학습의욕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교과 역량 면에서는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하게 영향을 주고 있었다. 내용 영역 면에서는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성취가 군집의 특성을 구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평가 자료를 활용해 학생을 군집화한 후, 이러한 군집별 특성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학습을 위한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집분석 연구 결과 활용의 가능성, 내용 영역별 균형 있는 학습, 교과 역량 증진, 과학적 태도의 향상 등 과학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 Lee, Jungmi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6호
    • /
    • pp.135-147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online studio classes within apparel and fashion-related departments during the spring of 2020 was conducted in June 2020. Responses from a total of 21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Respondents rated lecture clips as the most useful, followed by teacher demonstration and feedback, PowerPoint (PPT) supplements, and Q&As. Frequently mentioned areas of improvement were online platform stability and video quality. Many respondents also stated that more streamline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channels, immediate and meticulous teacher feedback, the adoption of course contents developed specifically for an online environment, and provisions for equipment usage would be desirable. Student satisfaction of an online fashion desig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and affective response toward COVID-19. Students satisfaction of an online garment constructio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developing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llow students to feel included in class and establish an online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to enhance the sense of social connection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아동의 자기-효능감 발달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Review for The Development of Self-efficacy in Children)

  • 우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0권1호통권19호
    • /
    • pp.15-25
    • /
    • 1992
  •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elf-efficacy and reviewes recent research articles which are related to development of self-efficacy in children. Self-efficacy means personal judgement about one's capability to organize his behavior in a specific situation. Perceived efficacy can have diverse effects on behavior, thought patterns and affective arousal. People acquire their efficacy information from their performance accomplishments, vicarious experiences, verbal persuasion and their physiological states. In this paper, I argue that two factor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fficacy. Specifically reward, attributional feedback, social comparision and goal setting are classified to psychological factor and home environment, schoo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belong to environmental factor. Since not many studies have been done in this area, in this paper I als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PDF

자기애적 성격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A study of relationships between narcissism and job stress)

  • 차타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0권
    • /
    • pp.1-31
    • /
    • 2002
  • As the modern society is called the narcissistic society, the narcissism is widespread in the personality of individuals and the society at large. In consideration of this side, this study explored for several characteristic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the job stress, and explor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things theoretically. The narcissism is an attempt to repair self-esteem weakened by the splitting anxiety, the lack and the pathological fusion of self-structure. The job stress is a factor that a characteristic of the job influenced on the behavioral and affective response of the person on the job directly or indirectly. This study selected organizational justices, organizational constraint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organizational climat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as factors of the job stress. This study viewed that the stress is made from an interaction between environmental stimulus and personal particular reaction by defining the stress as an interaction model of stimulus-response and personal reaction is caused by psychological adjustment process, personal differences. On this occasion, this study discussed that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s easy to get stress and weak in the job stress with regarding the personality as a mediation variation of psychological process. As a result, the narcissists estimated themselves positively and their self-esteem is high, but they excessively showed a self biased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about the negative feedback to protect themselves. Moreover, this positive estimate on themselves and high self-esteem was vulnerable and weak in the self threat. In this view,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s easy to get more job stress such as organizational justices, organizational constraint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organizational climat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areer development.

  • PDF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 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9-50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

웹을 활용한 PBL에서 집단지성의 스캐폴더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Perform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Scaffold in Web-based PBL)

  • 서순식;허동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5-363
    • /
    • 2008
  •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효과성 제고를 위해서는 학습지원 전략으로서 스캐폴더의 역할이 요청된다.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은 사용자들의 지식, 정보, 경험, 가치 등을 종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며 문제 해결방법을 제공받는다는 측면에서 스캐폴딩을 제공한다. 교수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주도적, 자발적, 적극적 참여를 강조하고 있는데, 과연 집단지성이 효과적이고 매력적인 학습전략의 대안이 되는지 판단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웹에서 집단지성이 스캐폴더의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또한 학습자에게 어떤 유형의 스캐폴딩을 제공하는지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집단지성은 정의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에게 학습태도, 자신감, 흥미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인지적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학년, 학습수준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지성이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 인지적 측면에서 설명, 방향제시, 예시, 피드백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 반응, 격려 등과 같은 스캐폴딩 유형이 나타났다.

  • PDF

독서태도 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Attitude toward Reading)

  • 박주현;이명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71-29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태도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에 독서태도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살펴보고 선행 독서태도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새로운 독서태도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크게 독서환경 변인, 독자 변인 및 독서행동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독서태도 모델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을 인지, 정서, 행동의지로 구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독서태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둘째, 독서태도의 행동적 요인을 행동의지와 몸짓으로 드러나는 독서행동으로 구분하여 독서태도의 구성요인에 관한 논리성을 강화시켰다. 셋째, 독서태도의 대상으로 물리적인 책(텍스트)과 책읽기를 모델에 명시화하여 책의 중요성을 독서태도 모델에 반영하였다. 넷째, 독서경험을 통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스키마를 제공하여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의 변화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개발된 독서태도 모델은 독서환경과 독서환경으로부터 유발된 자극이 독자와 독자의 독서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피드백 되는지에 관한 영향 관계가 제시되어 독서태도의 형성과 작동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비초등교사들의 평가전략에 대한 인식 조사 (Recognition of Assessment Strategi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고은성;박미미;이은정;박민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291-312
    • /
    • 2017
  • 최근 평가 관련 연구들에서 평가가 학생들의 학습 향상을 도와야 한다는 형성적 목적에 주목함에 따라, 교수-학습과 평가의 통합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하고 적절한 평가전략 및 평가 도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평가전략 및 평가 도구가 활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직접 경험하고 각각의 장단점 및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반성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여섯 가지 평가전략(피드백의 활용, 평가 기준의 제시, 평가의 모범사례 제시, 자기평가, 동료평가, 지필평가)을 경험하도록 하고, 각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비초등교사들은 한 학기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을 경험하였으며, 학기말 설문지를 통해 각 평가전략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예비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인식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향상에 도움이 된 평가전략을 다르게 제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평가전략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 평가의 형성적 목적을 포함하여 평가의 목적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의 확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