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sthetics of Recep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작품 분석 방법론 연구 -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ology of Works of Deconstructive Graphic Deign - Focusing on Aesthetics of Reception by Wolfgang Iser -)

  • 김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88-104
    • /
    • 2021
  •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표현은 명확한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전통적 형식의 그래픽디자인 표현법과 달리 도전적이고 실험적이었다. 이런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특징들은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 미적 경험의 주체로서 독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수용자 즉 독자 중심적인 문학 연구 이론인 수용미학(Aesthetics of Reception)을 중심이론으로 상정하여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실험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한 이념적 틀을 새롭게 형성하고자 한다.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작품 해석을 위해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의 특징들을 도출하고 이론의 범주로 대입하여 해석이 어떻게 확장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미학은 작가와 독자 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둔 문학 연구 이론이지만,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작품 분석 방법론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마련, 작품 해석의 지평을 넓혔다. 또한 현대 그래픽디자인을 감상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이 강조되는 독자에 대한 상호 콘텐츠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현대 실내디자인의 하이브리드 미학적 표현기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 of Hybrid Aesthetics in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 김은지;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39-47
    • /
    • 2007
  • In comtemporary interior design, hybrid form causes cognitive turnovers of aesthetics. Especially it offers much possibility to expression techniques in interior design and works as compound system, symbolic aggregate that makes and expands various meanings. The aesthetic ideology of hybrid design can be interpreted through the philosphic concept of art, sublime, reception, representation and explains express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 in interior design through various transformation and meaning conversion. The expression techinique that is a form of openness, transcendental interpretation that exceed a dupilicate of meaning. can be classified as oxymoron, defamiliarization and interface. The characteristic that is based on those expressions appears as use of complex codes of visual images, decoding strategy, intertextuality of meaning. This research attitude can explain the thinking method of interior design by defining the epistemological scheme that is basically involved in expressional styles with characteristics of hybrid aesthetics. In order to be recognized as the object of aesthetics, hybrid has to be approached by interpretational methods of expression techniques. Consequently the characters of expression techniques in hybrid design can be investigated as one of the methodology in interior design plan.

현대건축에서 사용자의 개념 및 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finition and Role of 'USE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 이혁찬;최왕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80-88
    • /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s and users has been multifarioiusly changed through architectural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using a building, users who experience and interpret the building are as important as architects who design it. In the past, architects are not interested in the role of users. Modern architects only emphasized the concepts of users based on efficiency, and therefore users had the passive role following the design intentions in the space architects had created. However, since the end of modern movement, diverse definitions of users have been attempted. Especially the aesthetics of reception reilluminates the role of users neglected in modern movement. Therefore the one-way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s-buildings are changing into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s-buildings-users, and it results from the fact that users have the ability to reinterpret and create architectural space as well. Users have more creative and positive role in architectural space making and architects, too, reflect these trend in their architecture.

Perspectives on Modern Drama

  • Yang, Gi-Chan
    • 인문언어
    • /
    • 제2권1호
    • /
    • pp.239-258
    • /
    • 2002
  • The paper develops the arguments as to how one should perceive modem theater and how one should categories it, not to mention how one may identify the traits of modern theater. The Contemporary Theater has changed in a way that it is no longer possible to define the genre relying on conventional definitions that we associated with it in the past. The paper in this regard proposes a perspective which by addressing the evolutions that one has seen in the theories of reception and other relevant literary fields may define the very nature of the theater as we Cow it today. The paper is largely based on the aesthetics of reception and the objectivity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decontextualisation, recontextualisation and contextextualisation method that is being more and more commonly used in the field of literary academics of today. The relevancy of this paper rests with the hypothesis that it is by and through using various theories of reception that it is the only true solution as to defin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m theater.

  • PDF

에스테틱과 연계된 피부과의원의 디자인 아이덴티티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design factors of dermatologic clinic linked with aesthetic space)

  • 주혜라;김영훈;소현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24-131
    • /
    • 2009
  • The aesthetics of current dermatology clinics are the main space of dermatology, which is gradually becoming an area of specialty. Paths requiring spatial transi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reatment field in dermatology clinics are currently emerging, meaning that the duty to provide medical and aesthetic environment with high spatial connection must be accompanied. Contrary to past clinics where only functional aspects were emphasized, current clinics require a differentiated environment that considers both aspects of function and aesthetics, centered on the pati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 this perspective is to study the efficient connection between dermatology and aesthetics, while also analyzing identity factors to indicate design factors differentiated from other functional spaces, to apply them as preliminary data for the planning of dermatology clinics. Based on the above, six dermatology clinics located in Seoul were designated for case studies through field studies. Overall, Aesthetics connected to dermatology clinics legally must have separate business registrations and have alternative entrance ways. Currently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where entrance, waiting, reception and receipt were not separated. there were efforts to partially display identities when analyzing design factors that formed the identity of dermatology clinics.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t cases where visual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a clinic's spatial identity, logo, signing system, and applied products were integrated into a coherent theme. At this point when dermatology clinics are becoming brands, all fields must merge for integrated identity effects that go beyond the boundaries of contemporary H.I, to clearly display their identity with the clinics' professional image and consistent concept.

소쇄원의 수용미학적 해석 (The Interpretation of Sosoewon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on Aesthetics)

  • 서자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9-39
    • /
    • 2021
  • 이 연구는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한국전통정원인 소쇄원을 해석한 연구이다. 수용미학의 '틈'이란 '작가와 독자 간의 지평의 어긋남을 통해 생기는 틈새'이다. 작가가 의도하는 것과 독자의 기대 지평이 달라 생기는 틈을 독자가 작품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하여 작품을 구체화시킨다. 공간의 경계를 한정하지 않고, 공간의 성격을 한정하지 않으려는 것은 한국 전통공간에서도 나타나는 같은 성격이다. 작가-작품-독자의 삼중 구조를 중심으로, 작가의 측면에서 정원의 조영가의 생애와 사상, 정원에 내재한 철학을 살피고, 작품의 측면에서는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찾아보았다. 독자의 측면은 정원 안에서 풍류를 즐기는 당대의 사람들의 감상행위와 현재에 그 공간을 조명하는 현대인의 감상으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작가적 측면의 생소화는 조영가 양산보의 철학을 알 수 있었다. 소쇄원은 양산보의 삶의 철학이 장소의 이름들로 묻어나는 정원이라 할 수 있다. 둘째로, 작품의 측면에서 이원적이며 미확정적인 성격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공의 문양이 자연의 질서에 맞춰 배치되어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이원성이 있는 정원이며, 열린 경계로 인한 억지스런 방향의 강요가 없어 흐름이 자유롭고 관념에 따라 확장하거나 나눌 수 있는 자유로움이 있는 미확정적인 공간이다. 마지막으로 독자의 측면에서 구체화는 풍류활동을 통한 감상과 현대의 시각에서 기인한 감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곳은 시서화를 통해 시적 표현으로 승화되는 풍류의 정원이다. 현대의 감상에는 소쇄원과 양산보의 삶을 일체화하고, 선인들의 예술성에 감탄하며, 동시에 현대인의 자세에 대한 반성을 보이고 있다. 한국 전통정원은 관념에 따라 자유롭고 감상자의 참여를 통해 그 의미가 풍부해지는 열린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지중저압접속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Low Voltage Handhole Using Zigbee Communication)

  • 원라경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8-67
    • /
    • 2019
  • 한전의 저압전송전선로로 이용되고 있는 지중저압접속함은 지중선로의 분기나 접속을 목으로 하고 있다. 지중저압접속함은 거리의 미관을 고려하는 효용성에 비하여 여름철 집중호우나 도로의 침수에 의하여 감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중저압접속함 내부에 온습도, $CO_2$, 수위, 가속도, 진동 센서를 장착하고 센서 데이터를 지그비모듈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지상과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볼티드 안테나)를 제안하여 이를 통한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였다. 전송된 데이터는 LF 모드 및 HEX모드에서 완벽한 수신 성공률이 확인되었으며, 볼티드 안테나는 난환경 사태에서 실험한 결과 지중상태와 수중상태의 차이는 보이고 있으나, 지중저압접속함으로부터 10m 정도 떨어진 지상과의 통신에는 충분히 수신감도라고 판단되었다. 수신된 데이터는 PC기반의 GUI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퓨전 디자인에 대한 해석의 연구 - 열림의 커뮤니케이션 수용 및 해석과정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in fusion Design - Consideration on the Reception of Open Aesthetic -)

  • 김은지;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0-19
    • /
    • 2004
  • In order to attain unique aesthetic value, diversity of meanings of Fusion Design, 'openness', requires meaning interpreting process(communication) which harmonizes and combines new codes suggested by authors(senders) and codes interpreted by public(receivers). For this harmony, we should consider all the art aspects(integration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anti-rationalism ideology, negative concept) that are bases of creativity of Fusion Aesthetics. Moreover, we can approach open thought system of Fusion Design through theories of Entropy and Rhizome. This point of view which allowed a categorical means of natural science theory to be used in design context changed a methodic or interpretative perception. Not only in art interpreting process does Fusion Design take openness as one of its necessary factors but also in creating process, which enables a work of art to be opened at the maximum.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fusion design is to suggest an ideal model of communication abstracted from open art works.

모더니즘의 비판적 수용 (Kim Soo-Young and the Critical Reception of Modernism in Korea)

  • 이승훈
    • 인문언어
    • /
    • 제1권2호
    • /
    • pp.3-20
    • /
    • 2001
  • The concept of "modernism" has always posed problems in definition from the beginnings of "early-modernism" to our age of post-modernism and multi-culturalism. And yet, the concept has been consistently aligned with the search for new paradigms of thinking about "modernity" as the age experiences it. In this sense,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term "modern," why it still matters in the study of literature, and how to apply it to the examination of Kim Soo-Young′s poems. Kim is one of the leading poets who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modernism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poetry. But, despite his dedication to the western literary style and modernism, Kim also attempted the renewal of traditional Confucian thought in his poems. The result of such efforts can be seen in poems such as "Difficulties of Confucius ′Everyday Life," in which Kim tries to juxtapose the ancient life of Confucius with life in a much-westernized modern Korea. Another poem "Grass" shows his eagerness to transform traditional eastern aesthetics into a new mode of thinking that encompasses both the influence of the west and changes in 20th-century Korea. Through the study of Kim′s poems in relation to the critical reception of modernism in Korea, we can conclude the following: that Kim led the modernist movement in Korea; that modernism still matters in post-modern Korean literature; and that, because Kin tried to bring together the ideas of western modernism and traditional Confucianism, his poetry not only spoke to his own time but speaks also to our multi-cultural age.

  • PDF

교실로 들어온 전자오락게임: 게임에 관한 열일곱 가지 질문 (Electronic Games Appropriated for the Classrooms: A Proposal of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17 Questions)

  • 박성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56-172
    • /
    • 2008
  • 이 연구의 출발점은 현재 전자오락게임이 유, 청소년들에게 행사하는 매력이다. 이 점을 전제로 이 연구는 유,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만한, 그러면서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물음들을 내포한 질문지의 구성을 목표로 한다. 물음들에 대한 유, 청소년들의 대답만큼이나 물음을 묻는 과정 자체가 중요하다. 왜냐하면 연구자는 전자오락게임과 더불어 성장한 세대에 배우려는 자세로 조심스럽게 다가갈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말해 이 논문은 설문에 대한 통계적 분석이거나 유, 청소년들의 전자오락게임 수용실태 연구가 아니다. 연구의 무게중심이 전자오락게임에 대해 학생들에게 말을 건네는 방식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대화가 용이한 대학생들을 출발점으로 초, 중, 고등학교로 그 연구범위를 넓혀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면서, 교육 콘텐츠로서 문화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환기시킨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질문지는 앞으로 게임적 상상력을 포함한 본격적인 게임미학을 향한 첫 걸음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