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onautical

검색결과 4,228건 처리시간 0.027초

'항공학적 검토'규정에 관한 연구;장애물제한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visions of 'Aeronautical Study' caused by Obstacle Limitation)

  • 한경근;김도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65
    • /
    • 2006
  • An aeronautical study is a study of an aeronautical problem to identify possible solutions and select a solution that is acceptable without degrading safety. ICAO and the member states have established the standards regarding the obstacle limitation and regulated the construction of the man-made structures in and beyond the standards. Any obstacles that extend above a standards should as far as practicable be removed except after aeronautical study it is determined that the object would not adversely affect the safety or significantly affect the regularity of operations of airplanes. However ICAO and most member states does not established provisions of the scope and implement procedures of aeronautical study. Recently, Civil Aviation Regulations in Korea specify the provisions relevant to aeronautical study. The Prime objectives of this comparative study are to improve the domestic provisions for aeronautical study caused by obstacle limitation through the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gulations.

  • PDF

비대면 수업을 위한 가상강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Lecture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 손민석;배광현;장인용;정윤욱;이승현;이서준;유홍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483-484
    • /
    • 2022
  • 최근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인해 교육계에는 비대면 수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대부분의 비대면 수업은 화상 회의 방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하지만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화상 회의 방식의 비대면 수업의 경우 현장감, 수업 집중도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대면 수업보다 수업의 질이 낮다고 분석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비대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VR 기반의 가상강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가상강의 시스템은 가상 강의실, 교수자 수업 기능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 PDF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한 메타버스 캠퍼스 (Metaverse Campus Using Minecraft)

  • 김현우;배재준;김민섭;윤태상;석진훈;박산하;박준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27-428
    • /
    • 2023
  • 최근 COVID - 19로 인하여 다양한 수업방식이 활성화됨에 따라 비대면 수업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컨텐츠에 대한 소비패턴 변화와 가상융합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해결책으로 메타버스가 대두되었으며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고 사용자가 가장 많은 마인크래프트 이용하였다. 마인크래프트는 사용자의 자유도가 높은 샌드박스 형식의 게임이다. 마인크래프트를 활용하여 메타버스 내에서 실시간 수업, 체육대회 등 실제와 유사한 활동을 바탕으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친근한 메타버스를 제작하였다.

  • PDF

인공지능 기반 다중 소리 감지 스마트허브 제작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ulti-sound recognition smart hub production)

  • 이태민;성병준;이창헌;김성수;김병수;한찬우;박준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41-24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소리 인식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소리를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해주는 스마트허브 시스템을 제안한다. 인공지능 모델은 2D-CNN 구조를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고, 스마트허브 하드웨어는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을 위해 설계된 다양한 청각 정보를 시각 정보로 전달하는 다양한 제품을 하나로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하여 누구나 사용하기 쉬워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항공통신 네트워크에서 보안구조 및 모델 (Security Architecture and Model in Aeronautical Communication Network)

  • 홍진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22-127
    • /
    • 2009
  • 본 본 논문은 항공 교통 체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안전한 항공체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보안구조를 검토하고 보안모델을 제시하였다. 분석된 내용은 항공서비스 분야 관련 보안기술을 기반으로 국제적인 기술 동향과 함께 국내의 항공체계에 대한 보안모델을 다루고 있다. 항공통신 네트워크의 보안 프레임워크에서는 항공과 지상 데이터링크 보안기술, 항공체계에 따른 보안구조를 분석하였고 U-information HUB 모델의 보안구조를 제시하였다. U-information HUB 보안구조는 항공사, 공항 네트워크, 항공기, 관련 정부기관 등과 연동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효율적인 항공 주파수 대역 분배와 관리 정책 연구 (Policy Study on Efficient Aeronautical Frequency Band Allotment and Management in the Congested Air Traffic Environments)

  • 곽영길;이강웅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878-887
    • /
    • 2012
  • 항공 주파수는 항공 안전을 위한 국제적인 보호 주파수 대역이다. 최근 항공 교통량의 증가로 국제적으로 항공 주파수가 포화되고, 혼잡 대역에서 간섭 영향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항공 주파수의 효율적인 분배와 관리를 위하여 미국과 같은 선진국과 일본과 같은 주변국의 항공 주파수 정책을 방문 조사 분석하고, 국내의 항공주파수 운용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항공주파수 정책 수립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차세대 항행 장비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항공주파수 대역 확보 방안과 항공 안전을 위한 간섭 및 혼신 현황을 분석하여 지속적인 간섭 감시와 억제를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항공 주파수 정책 연구 결과는 향후 항공 주파수 대역 분배 및 관리 정책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재난상황과 마케팅을 위한 실시간 객체인식 기술기반 출입자 카운터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isitor counter system for disaster situations and marketing based on real-time object recognition technology)

  • 김영권;정재훈;김재현;강명진;강민성;주휘재;장우현;윤태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87-188
    • /
    • 2021
  • 최근 COVID19 상황에서 생활 속 거리두기가 강조되면서 관광지나 다중이용시설 등의 이용객 수와 밀집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CCTV 영상을 활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다중이용시설의 출입자수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실시간 객체인식기술을 활용한 출입자의 수와 동선을 측정하여 출입자에 대한 통계정보를 웹브라우저를 통해 제공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 객체인식기술인 YOLOv4와 YOLOv4-tiny 알고리즘을 Nvidia사의 Jetson AGX Xavier 와 데스크톱PC에 적용하여 각 알고리즘의 FPS와 객체 인식률을 비교 분석 하여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 PDF

안전사고 예방 기능이 적용된 스마트 전동카트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lectric Cart with Safety Accident Prevention Functions)

  • 김지원;송기선;박태원;박건영;임태호;정원규;이충민;유홍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1호
    • /
    • pp.155-15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상용화된 전동 L 카트와는 다르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낮고 작업 효율성을 상승시켜주기 위한 스마트 전동카드를 제안한다. 색상 감지 및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안전사고 예방 기능이 적용된 라인트레이싱 기반의 자율 주행 기능 스마트 전동카트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시스템에 대한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실제 실험을 통해 주행성능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 PDF

딥러닝을 이용한 고속도로 낙하물 객체 인식 시스템 (Expressway Falling Object recogni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 최상민;김민균;이승엽;김성규;신재욱;김우진;추승오;박양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51-452
    • /
    • 2023
  • 고속도로에 낙하물이 있으면 사고 방지를 위해 바로 치워야 하지만 순찰차가 발견하거나 신고가 들어오기 전까진 낙하물을 바로 발견하기 힘들며, 대다수의 사람들은 신고하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있기에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드론과 YOLO를 이용하여 도로의 낙하물을 인식하고 낙하물에 대한 정보를 보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실시간 객체 인식 알고리즘인 YOLOv5를 데스크톱 PC에 적용하여 구현하였고, F450 프레임에 픽스호크와 모듈, 카메라를 장착하여 실시간으로 도로를 촬영할 수 있는 드론을 직접 제작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낙하물에 대한 인식 결과와 정보를 제공하며 지상관제 시스템과 웹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적은 인력으로 더 빠르게 낙하물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빠른 상황 조치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딥러닝 객체 인식을 이용한 가정용 쓰레기 수거 로봇 설계 (Design of Household Trash Collection Robot using Deep Learning Object Recognition)

  • 이주현;김동명;최병찬;김우진;이규호;신재욱;윤태상;윤광식;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113-114
    • /
    • 2023
  • 가정용 생활 쓰레기 수거 작업은 야간이나 이른 새벽에 이루어지고 있어 환경미화원의 안전사고와 수거 차량으로 인한 소음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영상 인식을 활용하여 종량제 봉투를 인식하고 수거가 가능한 생활 쓰레기 수거 로봇의 설계를 제시한다. 제시하는 생활 쓰레기 수거 로봇은 지정 구역을 자율주행하며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학습된 모델을 기반으로 가정용 쓰레기 종량제 봉투를 검출한다. 이를 통해 처리 대상으로 지정된 종량제 봉투와 로봇 팔 사이의 거리를 카메라를 활용하여 얻은 깊이 정보와 2차원 좌표를 토대로 목표 위치를 예측해 로봇 팔의 관절을 제어하여 봉투를 수거한다. 해당 로봇은 생활 쓰레기 수거 작업 과정에서 환경미화원을 보조하여 미화원의 안전 확보와 소음 저감을 위한 기기로 활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