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media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2초

어린이 광고의 설득전략에 대한 기호학적 해독 연구 (Decoding the Persuasion Strategies Used in the Advertising Targeted for Children)

  • 이두원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50
    • /
    • 2010
  • 이 연구는 어린이 광고에 내재된 설득전략을 기호학적 시각에서 해독(decoding)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현대사회에서 광고가 소비생활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어린이 광고에 대한 '비판적 연구(critical studies)'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많은 선진국들이 '어린이 광고'가 어린이 소비가치관 및 소비생활에 미치는 유해성이나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장기간 연구하고, 그 결과를 어린이 광고 정책과 비평의 틀로 활용하는 것과 매우 대조적인 현실이다. 이 연구는 사회적 '의사소통 도구'로서 그리고 미디어 산업의 생태학적 부분으로서 '어린이 광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린이를 광고의 '수동적 수용자'로 단정하지 않고, '능동적·비판적 수용자'로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비판적 담론을 구축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린이 광고를 수집하여 '표현기법(화용적 양태)'과 광고에 내재된 설득 '소구점(appeals)'과 '전제(premises),' 소비문화적 '이데올로기(ideology)'를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광고주의 의도된 정교한 설득전략을 해독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호학적 접근을 통하여, 어린이 광고에서 소비 기호들의 화용적 체계와 의미전달 체계 그리고 그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생성, 유지, 강화되며, 어린이를 향한 '전략적인' 구매 설득 수단으로 이용되는가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지속가능 패션 브랜드 광고의 색채와 표현형식이 소비자의 감정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The Effect of Sustainable Fashion Brand's Advertising Color and Expression on Consumers' Emotions and Perceptions - Focus on Instagram -)

  • 강미;고은주;채희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2-451
    • /
    • 2019
  • Companies and brands that practice sustainability pay attention to New Media due to its ability to build a sustainabl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The need for research on specific roles, characteristics, and social media effects on eco-friendly advertising has had rapid growth in marketing programs for sustainable activities especially shown through social media. Information about sustainable fashion has spread to consumers through social media, and multif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youth. Despite the dramatic increase in eco-friendly marketing through social media as a part of sustainability,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major influences of emotional factors such as ad color and expression in social media. In this context,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responses, advertising value and consumer behavior of sustainable fashion brands in Instagram and implement a suitable advertising type (color vs expression) for consumers. We used 366 response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otional responses, advertising valu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This study expands on a previously limited research field by verifying consumer responses to image advertising on Instagram, rather than general sustainable fashion marketing. The study results als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a relation formation between customers and fashion brands vis-${\grave{a}}$-vis sustainable social media marketing.

광고 채널로서 틱톡(TikTok) 사용, 동기, 반응에 대한 연구 (Use, Motivations, and Responses of TikTok as an Advertising Channel)

  • 마뤼야오;김소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07-519
    • /
    • 2021
  •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틱톡의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틱톡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를 고찰함으로써 틱톡 광고 효과에 주요한 광고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20-30대 틱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주요 틱톡 이용 동기로는 정보성과 오락성이 도출되었으며 틱톡 특성으로 짧은 동영상, 다양한 콘텐츠 내용, 형식의 참신성이 언급되었다. 또한, 유용성, 오락성, 광고 회피를 위한 조작용이성, 친근감, 상호작용이 주요 틱톡 광고 특성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틱톡 광고 참여행위는 대체적으로 '좋아요' 클릭, 댓글쓰기, 공유, 구매 링크/광고주 홈페이지 클릭, 광고 제작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소셜미디어 광고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틱톡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Why SNS Sites Are Using Advertising Models Like You: An Explanation from Construal-Level Theory

  • Garam Hong;Seongwon Lee;Kil-Soo Su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4호
    • /
    • pp.695-718
    • /
    • 2020
  • Based on the Construal Level Theory, we aim to study a most favorable fit among the advertising model, media type, and message construal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an advertisement. A two (social distance of the ad model in an ad: distal (low similarity) vs proximal (high similarity) by two (social distance of a media type: distal (portal) vs. proximal (SNS)) by two (message construal: abstract vs concrete)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attitude changes on ad messages. The results show that abstract messages were more effective i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and purchase intention under the distal social distance (i.e. advertising model in low-similarity and portal media type) while concrete messages were so under the proximal social distance and SNS media type.

외식기업의 유명인 모델 속성이 미디어 인게이지먼트, 광고효과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elebrity's Traits on Media Engagement, Advertising Effect and Purchasing Intention in Food Service Industry)

  • 김영찬;윤성길;방소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204-219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elebrity's traits on food service enterprises' media engagement, advertising effect (AD effect) and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advance research, structural model of relationship between celebrity's traits and media engagement, AD effect and promotion of purchase was developed among the proposed constructs. Few empi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est the model. Date collection of study was from June 1st, 2017 to June 30th, distributing total of 300 issues and collecting total of 290 issues. Total of 271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as the nineteen questionnaires included missing informa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elebrity's Traits significantly affected media engagement, AD effect and purchasing intentions. More specifically, mediating effect among the celebrity's traits and AD effect which came from media engagement was valid only if the subjec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was on brands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make one conclusion. As the media engagement was identified as a mediator between celebrity's traits and AD effect, certain brands which tend to enhance their AD effectivity should liaison proper celebrity.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OTT Viewing Data in the Golden Age of Streaming: A Small Sample AHP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 Seung-Chul Yoo;Yoontaek Sung;Hye-Min Byeon;Yoonmo Sang;Diana Piscarac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1호
    • /
    • pp.140-148
    • /
    • 2023
  • With the OTT media market growing rapidly, the significance of trustworthy data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is study delves into the crucial need for such measures in South Korea, exploring the steps involved, the technological and policy-related considerations, and the challenges that may arise once these measures are put into place.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and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is study surveyed various stakeholder group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OTT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By assessing the severity of OTT data-related issues and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for reliability-improvement policies, participants shared their valuable insights and opinions on this pressing matter. The survey results clearly indicate a divided opinion among stakeholders and industry experts on the reliability of OTT data, with some expressing trust while others remain skeptical. However, there was a consensus that advertising-based AVOD is more reliable than SVOD. By analyzing the priorities of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is study paves the way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Korean MRC (KMRC), centered on the OTT media industry. The KMRC will serve as a vital platform for ensuring the authenticity and accuracy of OTT data in South Korea, providing businesses and industry players with a 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informed decision-mak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reliable data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ion in the rapidly growing OTT media market, and provides a persuasive case for the establishment of a KMRC in South Korea to meet this critical need.

인쇄매체 광고의 주의력 제고를 위한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yout aimed at Promoting Attention in Print Media)

  • 박광래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111-122
    • /
    • 2000
  • 광고(advertising)에 있어서 광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비자로부터 광고에 대한 주의(attention)를 이끌어 내야하고 다음으로는 광고에 대한 이해(comprehension)와 승복(yielding) 그리고 파지(retention)와 같은 정보처리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요즘의 매체환경은 경쟁사 광고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문의 경우 광고 규격(size)의 대형화와 발행 면수(page)의 증가와 더불어 칼라광고가 보편화되어 있고, 잡지의 경우 실질적인 잡지의 편집내용 보다도 광고가 더 많아 광고의 주의를 끌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가 처해 있는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환경에서는 소비자에게 독특하게 지각할 수 있는 광고만이 광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기억에 관련이 있는 시각화 (visualization)과정 중 레이아웃(layout)에 대한 디자인원리 (design principles)와 레이아웃 형태(format)에 대한 사례분석과 문헌연구를 통해 인쇄매체 광고의 주의력(attention) 제고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광고의 성장과 광고산업의 미래 (The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and the Future of the Advertising Industry)

  • 이치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03-209
    • /
    • 2016
  • 스마트폰 이용 확대로 광고 매체시장이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광고의 부상이 가져 올 광고시장의 변화를 시나리오플래닝 기법으로 예측하는 것이다. 타켓팅 기술, 개인정보 규제, 광고회피 극복을 모바일광고 성장에 크게 영향을 주는 불확실 변수로 보고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5년 후 광고시장을 시나리오로 구성했다. 모바일광고가 유선인터넷 광고를 능가하는지 여부와 유무선 인터넷광고가 4대 매체 광고를 추가 잠식할지 여부 두 가지 경우를 $2{\times}2$ 매트리스로 조합하여, 모바일광고가 유선인터넷 광고는 물론 4대 매체를 추가로 잠식하는 경우, 유선인터넷 광고를 보조하는 수준에서만 성장하는 경우, 유선인터넷을 잠식하는 수준에서만 성장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유선인터넷 광고와 동반 퇴보하는 경우를 불확실 변수 전개에 따라 기술했다. 전문가들은 모바일이 광고 매체시장을 평정하는 상황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다. 하지만 타켓팅 기술, 광고회피 극복, 개인정보 활용 범위 등 불확실 변수가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충분히 다른 시나리오도 가능하다. 앞으로 기술 변수를 사회경제적인 변수와 결합하고 기술을 좀 더 세분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광고 자기 효능감: 소비자 행동연구 적용을 위한 이론적 검토 (Advertising Self-Efficacy: Theoretical Review for the Study of Consumer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엄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50-459
    • /
    • 2019
  • 본 연구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들의 설득적 메시지 소비 행태를 연구하기 위해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을 광고적 관점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논의하고자 한다. 소비자가 컨트롤하는 미디어 환경, 소비자들의 다양한 광고 태도 및 대응전략 등을 검토하고, '자기 효능감' 개념이 정치, 교육 및 인터넷 분야에서 어떻게 정의되고 적용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광고적 관점에서 '자기 효능감'이 소비자 광고 태도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를 논의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개념이 광고 연구 및 광고 산업에 끼치게 될 영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광고 자기 효능감'이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한 활발한 토의를 위해 이론적 정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수렴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조작적 정의를 위해 타당성 검증을 위한 척도 개발에 대한 연구도 향후 이루어지길 바란다.

헬스 캠페인 관련 국내외 정부 광고 및 미디어 테크놀로지 활용 전략 (Strategies on Domestic/International Governmental Advertising and Media Technology Concerning Health Campaigns)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90-305
    • /
    • 2019
  • 2018년 정부 기관 및 공공법인 등의 광고시행에 관한 법률이 본격 시행되면서 정부 광고의 효율성 및 공익성 향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보건 안전 등 헬스 캠페인에 초점을 두고 관련 정부 광고의 현황을 살펴보고 나아가 향후 전략과 정책 방향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 외의 헬스 캠페인 관련 정부 광고를 분석하였고 특히,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헬스컴 관련 정부 광고를 연구하였다. 아울러 10명의 헬스 캠페인 관련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서 변화하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로 먼저 헬스 캠페인의 목적에 부합하는 전략과 타깃의 선정이 중요하며, 예산에 따른 캠페인의 범위를 확정해야 하고 양질의 크리에이티브를 확보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전략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 보건 안전 등 헬스 캠페인 관련 정부 광고의 효과 및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략 방안을 이론적 실무적으로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