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Development Model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소규모 소매유통업체를 위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SP Service Model for Small Retailer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 김경민;이숙경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1호
    • /
    • pp.21-41
    • /
    • 2008
  • The development of POS (Point of Sales) systems for small retailers according to their need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However, their financial statuses hinder the adoption of the tailored POS systems. Viewing ASP as a viable solution to provide tailored POS systems for the small retailers, this study develops ASP POS service models for the small retailers. First, this study elicits ASP POS requirements of the small retailers in the following areas: merchandising, pricing, store design and display, customer service, advertising and promotion and personal selling. Then, the requirements are clustered and the clusters a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ers. Then, ASP service models are proposed according to the needs and profiles of the retailers.

  • PDF

헬스 리터러시 사업의 주요 특성과 정책적 개선방안 (Issues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health literacy research and practice in South Korea)

  • 오현정;최명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5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reviews literature on health literacy and provides communication guideline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ddressing health literacy for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EBSCOHost, JSTOR, ProQuest, Web of Science, and PubMed were searched using the term "health literacy." The present study also reviewed reports and publications released by governments and healthcare agencies. Results: By reviewing existing articles and reports, the present study provides following suggestions : (a)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health literacy survey on a regular basis, (b) development of tailored health literacy interventions for different target segments, (C)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mode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health literacy programs, and (d) development of health literacy guidelines for distributing health information and educa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Conclusions: Health literacy issues must be addressed through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policies and guidelines as well a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healthcare organizations.

공공 데이터 기반 소비자 상황을 고려한 시간대별 미디어 추천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Media Recommendation System with Time Period Considering the Consumer Contextual Information Using Public Data)

  • 김은비;이청용;장필식;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4호
    • /
    • pp.95-117
    • /
    • 2022
  •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광고주들은 기업의 광고 전략에 적합한 미디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광고 마케팅 전략을 바탕으로 광고 미디어를 선택하면 소비자의 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의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비자가 필요하거나 관심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광고주에게 맞춤형 미디어를 제공하는 추천 시스템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추천 시스템은 정량적 선호도 정보를 기반으로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미디어 시청 시간, 거주 지역, 나이, 성별 등 상황 정보를 고려하여 광고주에게 맞춤형 미디어를 추천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에서 제공하는 소비자행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여러 벤치마크 모델과 비교하여 추천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소비자의 상황 정보를 반영한 추천 모델이 기존의 벤치마크 모델보다 높은 정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광고주들이 소비자의 여러 상황 정보를 바탕으로 맞춤형 미디어 선택할 때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actors Affecting Night-Time Economic Development: Research in Hanoi, Vietnam

  • Ngoc Son NGUYEN;Vu Hiep HOANG;Quoc Dung NGO;Van Hoa HOANG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3권2호
    • /
    • pp.1-7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night-time economic development in Hanoi, Vietnam. The results can help policymakers achieve a scientific basis to plan the development of night-time economy in Hanoi.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model is developed from literature review with 7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natural conditions and resources, infrastructure, safety, environmental issues, promotion and international integration, development of sharing economy, and institution and policy. This model is then adjusted by exploratory factors analysis to have 4 new variables: Institution and environment, Infrastructure and safety, Promotion and sharing, and Nature and resources. The model is regressed based on the data of 463 observations of night-time economy in Hanoi, Vietnam. Results: Consistent with the current literature addressing night-time economy, the results show positive impacts of all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studied.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for the local authorities to strengthen advertising and promoting investment for NTE development in Hanoi city and also enhance the role of state management in NTE activities by raising awareness of the state management apparatus towards a more open-minded multi-dimensional view of the NTE, developing the NTE to overcome the barrier of thinking "if it cannot be managed, it is forbidden" in state management agencies, and defining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among state management agencies in the management of NTE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de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powers for localities in th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NTE.

게임 산업 수익화(monetization) 방식과 한·중·일 스마트폰 게임의 국가별 수용 양상 (Monetization of Smartphone Games in South Korea, Japan, and China)

  • 조은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5-84
    • /
    • 2017
  • 한국 스마트폰 게임의 빠른 성장과 함께 새로운 수익화 모델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공급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사업화 관점에서 적절한 수익모델을 찾지 못한 것에 비해, 스마트폰 게임은 기존 아케이드 게임 산업과 콘솔 PC 기반 패키지 게임 산업의 시장 경험을 적극 수용하여, 유료 다운로드 모델, 부분 유료화 모델, 게임 내 광고 모델 등 과금을 유도하는 다양한 수익화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했으며, 이를 통해 단시간에 두터운 과금 사용자 그룹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수익화 모델의 개발과 적용은 스마트폰 게임 시장의 고속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기폭제가 된다. 이에 한국 스마트폰 게임에서 부분 유료화 모델의 문화적 특징과 게임 산업 전체의 수익화 모델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분 유료화 모델을 도입 발전시킨 일본과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중국의 부분 유료화 모델을 비교하고자 한다.

한·중 인터넷 라이브 방송 앱 사용현황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Live Broadcasting between Korea and China)

  • 주정이;문용은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9권1호
    • /
    • pp.113-136
    • /
    • 2020
  • Purpose In recent years, "Internet + " is a new social form. Has already brought the vitality of social and economic entities.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globalization, promote the development of an emerging network interaction, "Live broadcast". Viewers from all over the world can watch various types of live programs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Viewers and live broadcasters can generate instant and efficient interactions. Design Many companies have taken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the live broadcast platform. Use live broadcasts for brand marketing activities. Branding compared to offline, online advertising is cheaper, Spread more quickly, get feedback from consumers more realistic. Merchants are also aware that this type of interaction creates a closer connec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This article will deduce a unique research model through lots of prior studies. Establish independent variables from two aspects of live software features and consumer features, and from the seven hypotheses derived, summarize how to make consumers more loyal to the same brand. The audience of Korean and Chinese live broadcast software is also growing. In order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mer groups in Korea and China, this article uses the same research model, analysis of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Finding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posal for rationalization of companies that use Korean-Chinese live broadcast platforms for brand marketing.

준거집단, 편의성, 정보추구가 신뢰성 및 궁금증을 통해 유료웹툰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ow Reference Groups, Convenience and Pursuit of Information Affect Subscription-Based Webtoon Service Usage through Reliability and Curiosity)

  • 이지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1-109
    • /
    • 2017
  • 본 연구는 준거집단, 편의성, 정보추구, 신뢰성, 궁금증이 유료웹툰이용과의 인과관계성을 살펴보고, 본 결과를 이용하여 웹툰 개발 및 서비스 기업의 수익성 도출을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료웹툰 1회 이상 이용한 독자 449명을 대상으로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인과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찾아내었다. 첫째, 웹툰 기업들은 웹툰 개발시 좀 더 전문성이 높은 작가를 섭외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둘째, 웹툰 기업들은 캐릭터를 이용한 광고와 상품 개발 및 판매를 통해 독자로 하여금 웹툰 이용 욕구를 높이기보다는 현재 이용 중인 웹툰에 대해 다음 호나 차시 광고에 초점을 맞추어 이용자의 이용 욕구를 자극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웹툰 기업들은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것들을 소재로 사용하여 웹툰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넷째, 웹툰 기업들은 상품 및 광고개발에 대한 투자를 좀 더 높여 다양하고 질 좋은 상품 개발과 광고의 독특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redicting the Application of Huawei Augmented Reality on Media Façade: Using the TAM Model

  • Chen, Yan;Liu, Shanshan;Lee, Jong Y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2호
    • /
    • pp.32-46
    • /
    • 2022
  • In recent years, large-scale and high-density use of LED on facades has exposed some disadvantages, such as light pollution, high energy consumption, unsustainability, and poor interactivity.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and augmented reality (AR), AR has emerged as a new technology available to users to interact with the media façade. As an augmented reality app for public space, the AR map app can superimpose virtual images on the surface of a building to form an AR media façade, which can be applied in the fields of navigation, advertising, interactive public art, smart retail, etc. This study establishes the variables influencing usage intention and the consequent outcomes of Huawei AR map app and us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discuss their relationship. Results show that consumer innovativeness, information quality, and design qual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quality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but design quality has a weak influence. Also, the design quality of Huawei AR map app and consumer innovativeness have a higher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than information quality. Users' usage attitude and perceived usefulness when using Huawei AR map app are key factors determining their usage intention. This study inspires city planners, architects, developers, and designers of AR apps that augmented reality can partly replace media façade, and that investment in augmented reality will achieve significant sustainabl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측정을 위한 분류체계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Measuring Marketing Expenditure and Marketing Performance)

  • 전인수;정애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39-72
    • /
    • 2009
  • 최근 들어 마케팅지출의 수익책임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재무제표에서 마케팅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연구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를 분류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마케팅지출과 마케팅성과의 관계를 다섯 가지 가설로 검증하였으며 검증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체계를 제안한다. 첫째는 투자성업무비가 마케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많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을 투자성업무비로 정의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안한다. 재무제표상의 계정과목으로 시장조사비, 경상개발비, 광고선전비, 판촉비, 해외시장개척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마케팅지출은 여러 시기에 걸쳐서 마케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마케팅지출은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일반적으로 투자라고 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마케팅지출은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중요하지만 업계의 비율과 비교한 초과개념이 중요하다. 끝으로 마케팅성과는 과정모델보다는 균형모델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마케팅성과인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 간의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과정모델과 균형모델을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 PDF

A Case Study on Partnership Types between Network Operators & Netflix: Based on Corporate Investment Model

  • Minzheong,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14-26
    • /
    • 2020
  • We categorize partnership types between network operators and a global video streaming or over-the-top service provider, Netflix from 2011 to the first quarter 2018. The options are based on the integration of over-the-top (OTT), Netflix with pay TV and telecommunication operators in the form of carrier billing, access to over-the-top (OTT) via devices or the development of their tariff plans. Options of the Type 3, 'cooperation' or the Type 4, 'agreement' entails a kind of the technical involvement between two partners and commercial agreement. The types of partnership are evolving from one to others. Some partnerships have characteristics of more than one type. The majority of technical or service integration cooperation of Type 3 entail bundling and marketing promotion of Type 2 and Type 1. Similarly, the 'agreement' of Type 4, co-branded or white-label service initiative entail tariff or device user interface (UI) integration of the 'cooperation' of Type 3 and joint marketing initiatives of Typ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