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859/KAIS.2020.29.1.113

A Comparative Analysis of Live Broadcasting between Korea and China  

Zhou, Jing-yi (신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Moon, Yong-eun (신라대학교 경영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v.29, no.1, 2020 , pp. 113-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In recent years, "Internet + " is a new social form. Has already brought the vitality of social and economic entities.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globalization, promote the development of an emerging network interaction, "Live broadcast". Viewers from all over the world can watch various types of live programs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Viewers and live broadcasters can generate instant and efficient interactions. Design Many companies have taken advantage of the advantages of the live broadcast platform. Use live broadcasts for brand marketing activities. Branding compared to offline, online advertising is cheaper, Spread more quickly, get feedback from consumers more realistic. Merchants are also aware that this type of interaction creates a closer connec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This article will deduce a unique research model through lots of prior studies. Establish independent variables from two aspects of live software features and consumer features, and from the seven hypotheses derived, summarize how to make consumers more loyal to the same brand. The audience of Korean and Chinese live broadcast software is also growing. In order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sumer groups in Korea and China, this article uses the same research model, analysis of consumers in Korea and China. Finding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oposal for rationalization of companies that use Korean-Chinese live broadcast platforms for brand marketing.
Keywords
Live Broadcast; Brand Marketing; Live Software Features; Consumer Featur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용영, "정보 시스템 수용 후 사용상황에서 사용자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 김유정, 김혜영, "소셜 미디어 마케팅에서 정의와 신뢰가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파워블로그와 메타블로그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제10권 제3호, 2010, pp. 131-155.
3 김은진, "광고속성이 광고태도와 기업이미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업광고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지선, 강현정, "SNS 상 이미지에 대한 감정이 온라인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8권 제4호, 2019, p. 23.
5 김현희, 범기수, "기업 페이스북의 이용동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100호, 2014, pp. 5-33.
6 민동권, 김기주, 김대수, "온라인 서비스 품질과 신뢰가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 한국산업정보학회, 제11권 제2호, 2006, pp. 29-39.
7 박수현, "외식 브랜드의 TV광고속성에 대한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 연구, 제10권 제1호, 2012, pp. 143-158.
8 박진용, 오정정, 송치훈, 박경도, "모바일 속성과 모바일 쇼핑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업연구, 제38권 제3호, 2015, pp. 209-244.
9 박현길, "소셜 라이브 서비스(SLS)", Excellence Marketing for Customer, 제47권 제9호, 2013, pp. 43-45.
10 배기형, "MCN",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1 손일권, "브랜드 아이덴티티 :100년 기업을 넘어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서울: 작가정신, 2003.
12 신호영, 김기수, "인터넷 포털 사이트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19권 제3호, 2010, pp. 35-58.   DOI
13 왕뢰, "모바일 쇼핑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하위논문, 2014.
14 엄기홍, "TV광고, 간접광고(PPL), 그리고 가상광고의 상대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인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염군, 김인재, "유튜브 뷰티 채널의 선호도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28권 제3호, 2019, pp. 25-38.   DOI
16 이동규, "텔레비전 생방송 프로그램의 제작특성에 관한 연구: SBS-TV 연기대상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7 오미현, "SNS 특성에 의한 패션제품 소비자 태도가 구매의도 및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8 임규홍, 이종효, "모바일 디바이스 특성에 따른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전산회계학회, 제3권, 2003, pp. 35-60.
19 임규홍, 이종호, "모바일 환경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시스템연구, 제9권 제2호, 2006, pp. 189-209.
20 이제원, "광고속성이 광고태도와 브랜드인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1 이태민,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품질의 구성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공경영학회지, 2011, pp. 51-70.   DOI
22 정경수, 박용재,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품질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시스템학회, 제10권 제1호, 2001, pp. 173-195.
23 정선연, "모바일 쇼핑 사용자 경험이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4 정지은, "결제 거래에서의 인터랙션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하위논문, 2015.
25 Godey B., Manthiou A., Pederzoli D., et al., "Social media marketing efforts of luxurybrands: Influence on brand equity and consumer behavior", Joumal of Business Research, Vol. 69, No. 12, 2016, pp. 5833-5841.
26 조재수, "소셜 미디어 이용동기가 지속가능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트위터와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5권 제4호, 2013, pp. 238-272.
27 DonE.Schultz., "Building Customer-Brand Relationships", Mechanical Industry Press, 2015.
28 Dussart C., "Transformative Power of e-Business Over Consumer Brands", European Management Joumal, Vol. 19, No. 6, 2001, pp. 629-637.   DOI
29 Jing Peng, "Cold thinking under the webcast boom", Television Research, 2016.
30 Kalakota, R., Robinson, M., "M-Business: The Race to Mobility", Mc/graw-Hill, New York, 2002.
31 Ma Chunna, "Research on Brand Marketing Communication Based on Webcast". Bo Hai University, 2017.
32 Mitchell, A. A., Olson, J. C.,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3, 1981, pp. 318-322.   DOI
33 Mi Tiantian, "'Watching' Logic in Live Broadcasting-Analysis of the Current Online Broadcasting Phenomenon of Entertainment Platforms", Western radio and television, 2016.
34 Pollay, R. W. and Mittal, B., "Here's the beef: Factors, determinants andsegments in consumer criticism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Vol. 57, 1993, pp. 99-114.   DOI
35 Yang Kun, Yang Wei, "'Webcast +': A New Brand Marketing Model Under the Impact of Mobile Internet", Publishing Wide Angle, 2017.
36 Siau, K., and Z. Shen, "Mobile Commerce: Promises, Challenges,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Database Management, Vol. 12, No. 3, 2001, pp. 58-64.
37 Siau, K., and Z. Shen, "Building Customer Trust in Mobile Commerc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6, No. 4, 2003, pp. 91-94.   DOI
38 Xu Siqi, "Development analysis of live video live broadcast",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2016.
39 Yang Xiaohui, "When a Brand Meets the Internet: A Quiet Rising Internet Brand Marketing", Electronic Industry Press, 2010.
40 Zhao Yuming, Wang Fushun, Radio and television dictionary.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Press, 1999.
41 China Internet Network Information Center, The 41st Statistical Report on Internet Development in China, Internet World, 2014, pp. 71-89.
42 https://cn.yna.co.kr/view/ACK20190904002000881
43 김린아, 한은경, "인스타그램 브랜드 계정 이용 동기가 이용 만족과 지속적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회, 제11권 제1호, 2016, pp. 5-39.
44 강병서, 김계수,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출판사, pp. 314-315, 2009.3.
45 김규동, 유영목, 김정래, "모바일 커머스 특성 인식이 모바일 쇼핑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제13권 제6호, 2013, pp. 297-303.   DOI
46 김근형, "모바일 서비스의 성공 영향요인 도출과 서비스 유형별 비교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제10권 제3호, 2016, pp. 586-592.
47 김선아, 신예림, 채운슬, "소셜 라이브 마케팅", Excellence Marketing for Customer, 제51권 제10호, 2017, pp. 6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