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iamyci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7초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제 DA-125의 랫트에 있어서 태자독성효과 (Embryotoxic effects of DA-125, a new anthracycline anticancer agent, in rats)

  • 정문구;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5-172
    • /
    • 1994
  • DA-125는 새로운 안트라사이클린계 항암성 항생제로서 아드리아마이신의 유도체이다. Sprague-Dawley 랫트를 이용하여 DA-125의 배아 및 태자독성발현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미확인(정충확인일=0일)된 120마리의 랫트를 4개군으로 나눈후 0, 0.1, 0.3 및 1.0mg/kg의 용량으로 임신 7일 부터 임신 17일까지 1일 1회 연속 정맥투여 하였으며 임신 20일째에 제왕절개를 하여 태자를 적출하였다. 1mg/kg 투여군에서는 모동물의 사료섭취량의 감소, 체중감소 및 비장중량의 감소와 배아 흡수율의 증가 및 태자체중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종류의 외표, 내부장기 및 골격기형들이 각각 11.9, 41.8 및 14.5%의 빈도로 출현했다. 그중 특이 기형소견으로는 뇌탈출증, 복벽파열, 외측 및 제3뇌실의 확장, 늑골유착 등을 들 수 있다. 0.1 및 0.3mg/kg 투여군에서는 어떠한 배아 및 태자 독성증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DA-125는 랫트에 있어서 경미한 모독성 용량에서 배아 및 태자독성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마우스 간암에서 항암제-방사선 복합요법을 이용한 치료 효과 향상 (Enhancement of Tumor Radioresponse by Combined Chemotherapy in Murine Mepatocarcinorna)

  • 성진실;김성희;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29-336
    • /
    • 2000
  • 목적 : 마우스 간암에서 방사선과 각종 항암제와의 복합요법을 시행하여,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 C3H/HeJ마우스에 마우스 간암인 HCa-1을 이식하고, 평균 직경 8 mm에 이르렀을 때, 방사선 조사(25 Gy), 항암 약물(5-Fu, 150 mg/kg; adriamycln, 8 mg/kg; paclltaxel, 40 mg/kg; gemcltablne, 50 mg/kg), 또는 방사선과 항암 약물의 복합 치료를 시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종양 반응은 종양 성장 지연과 항진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항진 효과를 보인 약물에 대하여 그 기전 연구는 조직 절편에서 apoptotic 수준을 평가하고, 또한 조절물질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p53, Bcl-2, Bax, Bcl-XL, Bcl-XS, p21$^{WAF1/CIP1}$의 발현 분석은 westeblotting으로 하였다. 결과 : Gemcltabine 만이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항진요인:1.6). Gemcltabine과 방사선의 복합 치료는 apoptosis 유도에서는 부가적 수준만을 보였다. 조절울질의 발현 양상은 방사선 단독에 비하여 방사선과 gemcitabine의 병용시 p21$^{WAF1/CIP1}$의 증가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 Gemcitabiue은 마우스 간암에서 방사선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조절하는 요소로서 p21$^{WAF1/CIP1}$ 이 관여할 것으로 생각 된다.

  • PDF

임상에서의 투약오류원인과 관련 의약품 분석 - AJN에 기고된 Medication Error 기사의 73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and Causes of Medication Errors and Related Drugs - by Analyzing AJNs Medication Error 73 Cases -)

  • 조원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6-18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llustrate the various medication error types and causes and identified to related drug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nurses' medication error by analysing 73 cases of AJN 'medication Error' column(1993, Oct -2000, Nov). Nurses' types of medication error were classified into 7 types. The most frequent error types are wrong medication$(21.9\%)$ and the wrong dose$(21.9\%)$ together. The others are wrong $time(4.1\%)$, $omission(2.7\%)$, mechanical $error(2.7\%)$, incorrect IV $rate(1.4\%)$. wrong route $administration(1.4\%)$ in order. Nurses' causes of medication error were 9 kinds. The most frequent type is confusing between similar drug shape, color, size, name, injection devices and patient's $name(43.9\%)$ and the others are lack of knowledge about $drugs(26.8\%),\; slips(7.3\%),\; miscalculating\;dose(4.9\%)$, incorrect adjusts $devices(4.9\%)$, difficulty to read or illegible decimal $point(4.9\%),$ $abbreviation(2.4\%)$, fatigue with $overwork(2.4\%)$ and no communication with $patient(2.4\%)$ in order. Related drugs with medication error are as follows. - dose unit(IU. minims. mcg/min. mEq) : Heparin. insulin. synthetic calcitonin, some enzymes and hormones, vitamins, some antibiotics, tuberculin injection. MgSO4 injection. nitroglycerin - similar size, color and shape drug : $0.9\%$ N/S and acetic acid $0.25\%$ for irrigation. premixed 2mg lidocaine sol. and $0.9\%$ N/S, gentamycin 20mg/2mL for children and 80mg/2mL for adult, dextroamphetamine 5mg and 10mg capsule. sedatives chloral hydrate 250mg/5mL and 500mg/5mL - similar name :Aredia(pamidronate disodium) and Adriamycin(doxorubicin), Lamictal (lamotrigine) and Lamisil 250mg. Elderpryl and enalapril, cefotaxime and cefoxitin, carboplatin and cisplatin, sumatriptan and zolmitriptan, Celebrex and Celexa, Humulin and Humalog, Percodan and Percocet, Diabeta and Diabinese, Epivir and Retrovir, Xanax(alprazolam) and Zantac(ranitidine) - decimal point : low molecular weight warfarin, methotrexate - unfamiliar drug uses of familiar drug ; methotrexate. droperidol, imipramine, propranolol - number of drug name(misleading chemical name) : 6-thioguanine, 6-mercaptopurine, 5-fluorouracil - type of administration route : Oxycodone(OxyContin). - administration time : acarbose(Precose). - injection way (Z-track method): hydroxyzine - epidural cathether : LMWHs(enoxaparin, dalteparin), - ADD Vantage self contained delivery system : ceftriaxone(Rocephin)

  • PDF

제한병기 소세포폐암에서 흉부 방사선 치료의 도입 시기에 따른 치료 효과의 비교 분석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oracic radiotherapy in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박상기;김근화;정성수;신경상;김애경;조해정;서지원;김재성;조문준;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03-915
    • /
    • 1996
  • Background: Combination chemotherapy is now considered to be the cornerstone of small cell lung cancer (SCLC). management but the optimal management of limited SCLC is not well defined. The role of thoracic radiotherapy (TRT) is less well established. Recent meta-analyses reports revealed that TRT combined with chemotherapy produce "good" local control and prolonged survival. But other reports that survival was not changed. The liming, dose, volume and fractionation for TRT with the combined chemotherapy of SCLC remains unsettl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timing of thoracic radiotherapy in limited SCLC. Method: All fifty one patients received cytoxan, adriamycin and vincristine(CAV) alternating with etoposide and cisplatin(VPP) every 3 weeks for 6 cycles were randomized prospectively into two groups: concurrent and sequential. 27 patients received 4500cGy in 30 fractions(twice daily 150cGy fractional dose) over 3 weeks 10 the primary site concurrent with the first cycle of VPP(concurrent gorup). 24 patients received 4000 to 5000cGy over 5 or 6 weeks after completion of sixth cycles of chemotherapy(sequential group). Results: 1. Response rates and response duration : Respons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p=0.13). But response duration was superior in the concurrent group(p=0.03). 2. Survival duration was nor different between two groups(p=0.33). 3. Local control rate was superior in the concurrent group(p=0.00). 4. Side effects and toxicities: Hematologic toxicities, especially leukopenia, infection and frequency of radiation esophagitis were higher in the concurrent group (p=0.00, 0.03, 0.03). Conclusion: The concurrent use of TRT with chemotherapy failed to improve the survival of limited stage SCLC patients compared with the sequential use of TRT but response duration and local control rate were superior in the concurrent group. Frequency of radiation esophagitis, life threatening hematologic toxicities and infec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concurrent group than sequential group. So, the selection of an optimal schedule of chemotherapy combined with TRT that would lead to a major increase in survival with minimal toxicity is remained to be validated in large scale study in the future.

  • PDF

Doxorubicin에 의한 치밀결합 강화 및 MMPs의 활성 억제를 통한 LNCap 전립선 암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의 억제 (Inhibition of Migration and Invasion of LNCap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by Doxorubicin through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and Tightening of Tight Junctions)

  • 최영현;신동역;김원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0-7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nthracycline 계열 항암항생제인 doxorubicin의 암세포 전이 억제 여부를 LNCap 전립선 암세포를 이용하여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 효능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doxorubicin은 LNCap 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현저하게 억제시켰으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및 -9의 발현과 활성을 저해함과 동시에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1 및 -2의 발현은 증가시켰다. Doxorubicin은 또한 tight junctions (TJs)의 전기적 저항성을 증대시켰으며, 이는 TJs의 주요 구성인자인 claudin family 인자들의 발현 억제와 연관성이 있었다. 따라서 LNCap 세포에서 doxorubicin에 의한 전이의 억제에는 최소한 TJ의 견고성 증대와 MMPs의 활성 억제가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항암제 내성 유방암 MCF7/adR 세포주에 대한 보정방암탕과 홍삼산성다당체의 세포고사 유도효과 (Apoptotic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Korea Red Ginseng in a MCF7/adR Multidrug-resistance Breast Cancer Cells)

  • 안귀인;박철환;이은옥;이효정;이재호;김관현;이연희;장유성;김상태;김성훈
    • 약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72-277
    • /
    • 200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the 9 herbal complex induces apoptosis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and adriamycin-resistant MCF7/adR cells.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BBTE)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Red Ginseng (GIN) induced cell death in both MCF-7 and MCF7/adR cells.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Red Ginseng also induced $G_2/M$ cell cycle arrest and increased TUNEL positive cells in MCF7/adR cells. In addition, flow cytometric analysis revealed the decreased 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in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Red Ginseng treated MCF7/adR cells. Similarly, decreased protein levels of P-glycoprotein and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s-1 were also determined by immunocytometry in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treated MCF7/adR cell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and acidic polysaccharide of Red Ginseng inhibit the function of ABC transporters such as multi 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s (MRPs) and P-glycoprotein as well as induce apoptosis in MCF7/adR cells. Thus, these data suggest that ethanol extracts of Bojungbangamtang and polysaccharide of Red Ginseng can be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multidrug-resistant MCF7/adR cells.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의 방사선치료시 분할 조사방식에 따른 치료성적 (Once vs. Twice Daily Thoracic Irradiation in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 김준상;김재성;김주옥;김선영;조문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91-301
    • /
    • 1998
  • 목적 :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으로 복합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통상적 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간의 종양 관해율, 생존율, 재발율 및 부작용에 대해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국한성병기 소세포폐암으로 치료받았던 78명 환자 중 고식적 방사선치료 및 재발성 병변으로 치료받았던 10명을 제외한 68명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하였다. 대상환자 중 통상적 방사선치료군(A군)은 26명, 다분할 방사선치료군 (B군)은 42명 이었다. 전체 환자의 연령, 성별 및 ECOG 활동지수는 각각 32-75세 (중앙값 58세), 남자 58명 여자 10명, ECOG 0-1이 58명 2 이상이 10명 이었으며 두군 간에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방사선치료로서 A군은 총 조사선량 5040-6940 cGy (중앙값 5040 cGy), 180 cGy/fx 로 치료하였고 B군은 총 조사선량 4320-5100 cGy (중앙값 4560 cGy)으로 29명 (69$\%$)은 120 cGy/fx 로, 13명 (31$\%$)은 150 cGy/fx 로 1일 2회 조사하였다. 화학요법은 전체 68명 중 65명에서 VPP (cisplatin 60 mg/$m^2$, etoposide 100 mg/$m^2$) 요법과 CAV (cytoxan 1000 mg/$m^2$, adriamycin 40 mg/$m^2$, vincristine 1 mg/$m^2$) 요법을 교대로 시행하였으며, 화학요법 횟수는 A군 3-10회 (중앙값 6회), B군은 1-11회 (중앙값 6회) 시행하였다. 화학요법 시기는 A군에서 23명이 연속 화학요법을, B군에서는 39명이 동시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예방적 전뇌조사는 두군 모두에서 완전관해 후 시행하였는데 A군 8명, B군 16명에서 조사선량 2500 cGy/10fx 로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2-99개월 (중앙값 14개월)였다. 결과 : 종양 관해는 완전관해율, 부분관해율이 각각 A군 35$\%$ (9/26), 54$\%$ (14/26), B군 43$\%$ (18/42), 55$\%$ (23/42)(p=0.119) 였다. 중앙생존기간 및 2년 생존율은 전체환자에서 15개월, 26.8$\%$였고, A군 17개월, 26.9$\%$, B군 15개월, 28$\%$ 0=0.51)였다. 전체환자 중 완전관해 및 부분관해 환자의 2년 생존율은 각각, 35$\%$ 와 24.2$\%$ (p=0.05)였다. 실패양상으로 두 군간에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0.125, 0.335). 방사선치료중 발생한 급성합병증으로 RTOG criteria상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 및 백혈구 감소가 B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p=0.028, 0.003). 결론 :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의 복합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시 종양의 부분관해 이상의 반응율이 연속화학요법을 받은 통상적 방사선 치료군과 동시화학요법을 받은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군간의 생존율에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급성합병증으로서 식도염과 백혈구 감소가 동시화학요법을 받은 다분할 방사선치료군에서 더 높게났지만,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 동시화학요법과 다분할 방사선치료가 적절한 치료의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의 장점을 밝히기 위하여 좀더 많은 대상환자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구강불편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discomfort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 정재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72-389
    • /
    • 1995
  • The frequency with which administration of chemotherapy for gynecological cancer treatment is used has increased along with the use of surgery and radiotherapy Among the various side effects of chemotherapy, stomatitis causes a problem of function and sensation in the oral cavity. This oral discomfort can be categorized into two components ; perceived oral symptoms and observed oral symptoms. If the oral problem continues, it may cause infection, bleeding and nutritional deficiencies. As a result of this condition, compliance with the treatment process can be affected as well as the prognosis for the cancer patients. But as the oral discorrfort usually appears after chemotherapy, it is often not reported to the health care personnel as a patient problem. Without problem identification of the oral discomfort and ability to assess the problem, effective intervention cannot be planne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oral discomfort due to cancer chemotherapy and thus to provide data for identification of the patient problem and for nursing assessment.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in -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under the diagnosis of gynecological cancer between Mar. 15, 1994 and May 15, 1994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was 64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of 41 (A : 5FU & Neoplatin), the other of 23(B : Neoplatin, Cytoxan, Adriamycin), according to the treatment regimen. The data were collected for 24 days using self-re-port instruments. The instruments were the 「Perceived Oral Symptom Assessment Tool」 and 「Observed Oral Symptom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PC program, ANOVA, t-test, paired t-test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A regimen the peak time for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was the fifth day after chemotherapy, and the tenth day for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Both of the problems started on first day of chemotherapy and were not resolved completely until the 24th day after treatment. 2. In B regimen, the peak time for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was on the seventh day after chemotherapy, and the eighth day for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It was noted that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were higher than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consistently for 24 days. Both also started on first day of chemotherapy, and were not resolved completely until the 24th day after chemotherapy. 3. There were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between A and B regimen. The loss of appetite and xerostomia caused the most severe discomfort in both of these two groups. 4. The were no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between the A and B regi moil. In the A regimen, the highest observed symptom scores were the lips, gingiva, tongue and buccal membrane in that order. But in the B regimen, the highest observed symptom scores were tongue, lips, buccal membrane and gingiva in that order. 5. In A regimen, the patients who had gingival edema and dentures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those who had gingival edema and bleeding, foul odor and aphthous stomatitis had significantly higher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6. In B regimen, the pati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stomatitis in the last course of chemotherapy had significantly higher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Those who had gingival edema had significantly higher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7. In the A regime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lab values for lymphocytes and albumin with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In the B regimen,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lymphocytes and albumin with the observed oral symptom scores, but not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 scores and lymphocytes and albumin values. In conclusion, the nurse should expect that the patient undergoing chemotherapy will complain severely about subjective discomfort and before objective physical change is observed. Also the patients who have chronic oral problems such as dentures, gingival edema and bleeding, foul odor, aphthous stomatitis will complain of severe oral discomfort due to chemotherapy.

  • PDF

호흡기계암세포주에서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항암제 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NF-$\alpha$ Gene Transfer to Respiratory Cancer Cell Lines on Sensitivity to Anticancer drugs)

  • 모은경;이재호;이계영;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최형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302-313
    • /
    • 1995
  • 연구배경: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는 다양한 생물학적인 작용을 가지며 종양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은 그 대표적인 기능중의 하나이다. TNF-$\alpha$는 생체외에서(in vitro) 몇몇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항암제, 특히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agent의 세포 독성 효과를 상승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최근 암세포에 대한 cytokine 유전자 요법에서 TNF는 중요한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유전자 이입에 의해 암조직이 TNF를 생성하게 될 경우 암 증식 억제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연구자는 암세포에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자신이 TNF-$\alpha$를 생성하도록 형질을 변환시킨 암세포는 topoisomerase II 억제 항암제에 대한 김수성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였고 이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외로(in vitro)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하여 TNF-$\alpha$를 생성하는 암세포주에서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 효과가 모세포주에 비하여 증대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하였다. 방법: TNF-$\alpha$에 감수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인체 중피종 세포주인 NCI-H2058 세포주 및 생쥐의 섬유육종 세포주인 WEHI164 세포주와 인체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인 A549 세포주를 배양하여, 먼저 임상에서 흔히 폐암의 항암 화학 요법 치료에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인 etoposide(VP-16)와 doxorubicin(adriamycin)을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을 MTT assay로 측정하고, 각 모세포주(parenta1 cell line)에 TNF-$\alpha$의 유전자를 이입시켜서 형절 변환한 세포주(transformed cell line)에 대하여 각각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 관찰된 세포 독성의 정도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세포주에 외부에서 TNF를 가하여 전처치한 후 동일한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의 세포독성을 관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2058 세포주에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 topoisomerase II targeted drug을 가하였을 때, 항암제 감수성이 모세포주에 같은 항암제를 가하였을 때에 비하여 의미있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p<0.05), WEHI 세포주와 A549 세포주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를 이입한 세포주에서 모세포주에 비하여 항암제 감수성이 증가하지는 않았다. 결론: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이 topoisomerase II targeted chemotherapeutic drug에 대한 항암제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적어도 선택된 특정 종류의 호흡기계 암세포에 있어서는 TNF-$\alpha$ 유전자의 이입으로 항암제 감수성(chemosensitivity)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oxorubicin의 심근 손상에 대한 Cardioxane의 예방 효과에 관한 연구 (Myocardial Protective Effect of Cardioxane for the Myocardial Damage due to Doxorubicin)

  • 박희주;오재민;김성훈;이창훈;김상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76-882
    • /
    • 2003
  • 목 적 : Doxorubicin에 의한 심근손상에 대한 cardioxane의 심근 예방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몸무게 2.0-3.2 kg의 집토끼 20마리를 이용하였으며, 2마리는 광학 및 전자현미경 결과를 위한 대조 조직을 만드는데 이용되었고 나머지 18마리를 대상으로 group I은 doxorubicin을 단독 투여하였고 group II는 cardioxane으로 전처치한 후 doxorubicin을 투여하였다. Group I은 12마리의 가토를 대상으로 $30mg/m^2$의 doxorubicin을 가능한 한 매주 정맥 주사하였으며 group II는 6마리의 가토를 대상으로 cardioxane $600mg/m^2$으로 전처치한 후 약 20-30분 후에 doxorubicin을 투여하였고, 각각의 doxorubicin 축적총량이 210, 300, $360mg/m^2$이 되도록 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목표치에 도달한 후 6일 경과 시에 개흉하여 심근 조직을 확보하고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으로 심근의 손상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 과 : Doxorubicin의 총 투여량과는 무관하게 토끼 심장의 외견상 차이 및 양 심방과 심실의 크기나 두께에 있어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광학 현미경상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210mg/m^2$까지는 정상 대조 가토와 비교시 조직학적으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고, 총 투여량 $240mg/m^2$에서는 심근섬유의 변성과 괴사 등을 볼 수 있었고 총 투여량 $300mg/m^2$에서는 국소적으로 그리고 미만성으로 심근 섬유의 심한 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하에서 소견상 group I에서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180mg/m^2$ 미만에서는 전자현미경 하에서 심장 조직의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210mg/m^2$을 투여했던 가토에서는 미토콘드리아 내에 능선(cristae)의 관강(lumen)이 약간 팽창된 소견을 보였고, $240mg/m^2$을 투여했던 토끼에서는 심근섬유의 변성을 관찰할 수 있었고 $300mg/m^2$을 투여했던 토끼에서는 전반적으로 심한 변성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cardioxane 전처치군에서는 doxorubicin의 총 투여량이 $300mg/m^2$이하에서 광학현미경 및 전자현미경 소견상 조직학적으로 정상의 심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360mg/m^2$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정상 심근의 소견과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고 국소적인 근세사의 성근 배열부가 발견되었으나 doxorubicin 투여결과에 의한 것인지는 명백하지 않았다. 결 론 : Cardioxane은 doxorubicin에 의한 심근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훌륭한 약제로서 doxorubicin을 투여하는 모든 환자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