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ministrative District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4초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구 설정 방법 (Methods Used in Determining Enumeration Districts in the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 이명진;서우석;변미리;이건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7권1호
    • /
    • pp.109-129
    • /
    • 2006
  • 그동안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결과에 대한 연구와 정보는 많았으나 총조사를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대한 조사방법 관련 논의가 없었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해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준비하는 2년여 과정에서 거처를 파악하고 조사구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특히 1999년 읍 면 동의 통계기능축소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여러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주요한 방법으로는 과거 인구주택총조사 DB, 행정자료, 수치지도의 활용 등이 있다. 이들은 대체로 IT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조사방법들이다. 한편, 취약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자료관리체계는 IT 기술 활용의 제약이었다.

  • PDF

행정구역에 기초한 어촌지역의 유형구분과 지역개발방향 (The Classification and Regional Development's Direction of Rural Fishing Area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19권4호
    • /
    • pp.81-93
    • /
    • 2013
  • The selection of land for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the standard used to classify fishing villages has been determined based on the guidelines developed by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The approach fishing village cooperatives follows is likely to classify fishing villages without first reflecting on the overall development environment of the region, such as other industries and workers in the area. It also acts as a barrier for business promotion or evaluation, because the cooperatives do not match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are the units of administration, and the main policy enforcement agent in regional developmen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ategories to situ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as well as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fishing villages based on eup, myeon, and dong administrative units as defined by the Fishing Villages and Fishery Harbors Ac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ensus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2010, and analyzed 826 eups, myeon, and dongs with fishery households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2-Step cluster analysis methods. Therefore, 95% of the variance was explained using the covariance matrix for types of fishing villages, but it was analyzed as one component focusing on the number and ratio of fishery households, and used the cluster-type analysis, which focused on the sizes of fishing villages. The cluste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 the development type based on the number of fishermen in the eups, myeons and dongs was analyzed as village size (682); (2) administrative district size (121); and (3) total eups, myeons and dongs (23), which revealed that the size of most fishing villages was small. We could explain 73% of the variance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which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three principal component scores, namely fishery household power, fishery industry power, and fishing village tourism power. Most fishing villages did not have a clear development direction because all business areas within the region were diversified, and 552 regions could be categorized under the harmonious development type, which is in need of balanced development. The fishery industry type typified by industrial strength included 159 regions in need of an approach based on industrialization of fishery product processing. Specialized production areas, which specialized in producing fishery products, were 115 regions with a high percentage of fishermen.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situations in terms of size and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existed. However, because several regions exist in the form of small village units, it was necessary to approach the project in a manner that directed the diversific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laces for local residents to relax or enjoy tourism experiences within the region, while considering the overall conditions of the relevant eups, myeons, and dongs. Reinforcement of individual support for fishermen based on the Fisheries Act must take precedence over providing support for fishermen through reg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by focusing on industrializing the processing techniques of fishery products. Areas specialized in the production of fishery products are required to consider the facilities for fisheries production, and must make efforts to increase fishery resources, such as releasing fry.

지명의 정치지리학: 행정구역개편으로 인한 시 명칭 결정을 사례로 (The Political Geography of Place Names : The Decisions of City Names in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District Reorganization)

  • 지상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0-325
    • /
    • 2012
  • 인류는 한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분하기 위해 지명을 사용해왔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지명이 선택된다는 점에서, 지명은 인간의 집합적인 의식의 산물이다. 또한 지명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사성을 가지며, 그 변화의 이면에는 사회 집단들의 경쟁과 투쟁 그리고 헤게모니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지명을 관철시키기 위한 정치적 의도가 자리하고 있다. 최근의 지리학계의 지명연구는 이러한 정치 사회적 과정에 주목하고 있으며,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경향의 연장선상에서, 1990년대 중반 도농통합적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시의 명칭을 둘러싼 논쟁을 정치 지리학적으로 살펴보았다. 통합 당시 시 군 주민들은 지명이 가지는 역사성과 인지도를 내세우며 자신들의 주장을 정당화하였으며, 지역의 경제력이 정치적 자원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통합시 명칭의 결정은 주로 인구규모나 기초의회 의원의 숫자 등 정치적 자원의 양으로 결정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시의 명칭을 통합의 협상카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지명의 결정이 정치적 경합관계의 산물임을 보여주며, 이러한 정치적 논쟁속에서 지명은 시 군의 영역성(territoriality)의 상징이 된다. 시명칭의 결정 이후에도 지명은 지역정치에서 지속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며, 이는 향후 행정구역 개편과정에서 갈등을 완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지명 결정의 방법이 고민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형태학적 개념을 활용한 조선시대 고산현의 도시형태 변천과정 해석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Urban Form in Gosan-Up)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7-49
    • /
    • 2014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읍치로부터 성장한 지방 소도읍의 하나인 고산을 대상으로 형태학적 개념과 연계하여 도시의 형성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형태구조와 도시평면 변화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해보고 시기별 형태특성을 도출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산의 도시형태 분석을 위하여 콘젠과 카니지아가 설정한 도시형태 분석개념을 토대로 형태구조, 도시평면, 경로체계, 개발규정선, 전이지대, 중심지구, 평면단위, 형태시기, 브레이크 포인트, 자투리필지, 유휴지, 사유화 등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고산현시대에 골격이 형성된 고산의 도시형태 변천과정에는 도시형태 형성-구시가(kernel)의 형태구조 해체 재편-중심지구(epidome district)의 형성 발달-확장형 충진-중심지구 확장 재편으로 이어지는 순환적 사이클이 존재하고 있다. 공공사업은 고산의 형태구조와 도시평면의 변화를 주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초기 단계 고산의 형태적 변화과정에는 간선경로로서 구시가(kernel)을 관통하며 개설된 신작로(고산로)와 이를 연결하는 계획로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신작로 개설을 계기로 T(십(十))자형 골격도로체계를 바탕으로 구시가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던 관아시설구역의 평면단위가 소블록 단위의 개방형 평면단위로 전이되었다. 이와 더불어 신작로와 시장 경계도로를 따라 상가가 들어서면서 선형의 평면단위를 지니는 노선상가와 시장이 어우러진 근대적 중심지구를 형성하게 되었다.

점사상의 지역단위 집계가 K-지표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Aggregation of Point Features to Areal Units on K-Index)

  • 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1-138
    • /
    • 2006
  • 최근 점사상을 활용하는 GIS 분야에서 많은 양의 점사상 축적과 함께 점분포 패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K-지표를 활용하여 점사상의 공간적 밀집 여부의 검증이 가능하며, 사건과 배경의 상호 관련성 평가가 가능함을 증명하고 있다. 한편 GIS 데이터로서의 점사상은 측량에 의해 실좌표가 관측된 사상보다는 주소와 같은 위치참조에 의해 간접적으로 좌표가 주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통계자료와 같이 행정구역과 같은 지역단위의 집계자료로 대표되어 점사상 각각이 좌표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한 공간 분석 기법으로서 K-지표를 계산할 때, 집계자료의 사용이 K-지표의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데이터(지번단위), 지형적인 집계(블록 단위), 행정적인 집계(행정구역 단위) 등 세 가지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K-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까운 거리에서 밀집이 심하게 일어나는 점사상의 경우에는 행정구역과 같은 큰 지역단위를 이용하면 결과의 왜곡이 심하게 발생하여 활용이 곤란하나, 블록단위의 K-지표는 원데이터의 K-지표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난방도일 기반 대한민국 행정구역별 기후존 구분 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Climatic Zones in Korean Building Code Based on Heating Degree-Days)

  • 노병일;최재완;서동현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11호
    • /
    • pp.574-580
    • /
    • 2015
  • Climatic zone in building code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classification reflecting regional climatic characteristics. Use of Degree-Days is a fundamental method that can be used in various building design codes, analysi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minimum thermal transmittance of building envelopes. Many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SA, the EU, Australia, Italy, India, China, etc., have already adapted climatic zone classification with degree-days, precipitation or amount of water vapo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wn country's climate. In Korea, however,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regional thermal transmittance are classified separately for the Jungbu area, Nambu area and Jeju Island with no definite criterion. In this study, degree-days of 255 Korean cities were used for climatic zone classification. Outdoor dry-bulb temperature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1981~2010 was used to calculate degree-days. ArcGIS and the calculated degree-days were utilized to analyze and visualize climatic zone classification. As a result,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and distinctive differences in degree-days, four climatic zones were derived : 1) Central area, 2) Mountain area of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3) Southern area, and 4) Jeju Island. The climatic zones were suggested per administrative district for easy public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요양병원의 입원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Factors influencing the composite quality score from the quality assessment program for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상갑;설진주;이광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8-86
    • /
    • 2020
  • Purpose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omposite quality score from the quality assessment program for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ology: The study variables was obtained from HIRA(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composite quality scores and hospital variables such as number of doctors, nurses, beds, medical technicians, medical equipments, administrative region, ownerships from 3rd (2010) to 7th (2018) quality assessment program. National Statistical Portal(www.kosis.go.kr) provided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aged over 65 in city·county·district area. SAS 9.4 was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and used to analyze the data. Finding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osite quality score increased past 9 years. Hospital variables such as number of doctor, nurse, medical technicians, bed and public hospitals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mposite quality score. Administrative region(district) showed higher scores compare to that of city. Compare to the score of quality assessment year(2010), as the assessment year move to 2012, 2013, 2015, 2018, results showed higher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s. Practical Implication: Continuous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s, current quality assessment program are needed to update their system such as adopting indicators measuring the service process, or compensating the cost for quality assessment program. It will enable to provide more reasonable and accurate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노인중심 종합지원기관의 적정 접근성 및 입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Accessibility and Location of the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 for Senior Citizens)

  • 김미란;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3호
    • /
    • pp.21-30
    • /
    • 2020
  • This study explores institutions that provide comprehensive services to senior citizens, including welfare, healthcare, and housing support. These institutions can be defined as centers that offer continual care and carry out policies related to senior citizens. In such institutions, senior citizens have access to information about aging and senior services. First, this study reviewed prior research on senior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s and their accessibility, and the data led to several findings about the needs of the senior citizens and the proper locations of senior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s. And this study used surveys to gather information on senior citizens' perceptions of services at such institutions.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derly agreed with the priorities of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s, and that it would be more convenient to visit such institutions if there were more than one per Dong (administrative district of Seoul). In response to these results, the ideal radius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was investigated. Finally,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adequacy of this distance in comparison to that of current institutions in Japan. Combining thes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comprehensive support institutions for the citizens should be created and suggests appropriate distances and locations of such institutions.

일본의 시정촌 통합과 행정구역 재편의 공간정치 (The Politics of Space in the Municipal Mergers of Japan)

  • 조아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9-143
    • /
    • 2010
  • 지난 10년간 일본에서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진행되어, 시정촌 수가 약 40% 감소하는 지각변동을 경험하였다. 이 연구는 월경지 형성에 주목하여, 일본의 시정촌 통합의 과정을 공간정치적 관점에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본에서 시정촌 통합이 추진되어 온 배경과 경과는 행정구역 개편이 '지방분권' 보다는 국가의 재정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조정'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결과 일본의 시정촌 통합은 시 공간적으로 불균등하게 진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시정촌 통합은 재정속성, 인구속성, 입지성, 영역성, 장소성, 의사결정의 정치성의 다각적인 공간정치로 분석된다. 행정구역은 기본적으로 공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행정구역의 재편은 지역의 특수성과 일반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일본 행정구역 개편의 공간특성과 유형 -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Municipal Mergers in Japan : Focused o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 조아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53-672
    • /
    • 2010
  •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 행정구역 통합이 대대적으로 진행된 일본의 경험에 주목하여, 대도시권에서의 행정구역 재편이 지니는 특성과 그 유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행정구역은 본질적으로 공간적인 문제로 개편을 논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일본의 수도권 지역은 재정, 인구, 도시중심성에 있어서 전국의 타지역과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어 통합의 논리 또한 달랐다. 한편 수도권 내에서도 다양한 지역적 맥락이 존재하는데, 이는 재정, 인구, 도시중심성, 기간산업의 측면에서 유형화된다. 결론적으로 시정촌 통합은 배경과 방식에 따라 유형화되는데, 이 유형화로부터 일본의 시정촌 통합이 지역격차를 확대시키는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각 유형별로 다양한 문제가 내포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행정구역 재편이 지역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수단으로 자리매김 되기 위해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