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acent ground excava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9초

지반굴착에 따른 철도시설물의 침하 원인 및 보강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ause and Reinforcement of Railroad Facilities Settlement According to the Ground Excavation)

  • 오병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85-94
    • /
    • 2012
  • 최근의 건설공사는 개발사업의 증가와 국토의 효율적 개발에 의해 인접시설물과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빌딩 개발을 위한 지반 굴착공사와 철도시설 공사가 비슷한 시기에 수행된 지역에서 발생한 인접 철도시설물의 피해사례를 소개하고, 지층 특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효율적인 보수 보강이 시행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철도시설물 시공 시와 초고층빌딩 시공을 위한 굴착 공사 시 각종 현장조사 및 시험들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철도시설물과 선로의 침하 원인 분석이 시행되었다. 추가적으로 지반의 공극 충진을 통한 지반보강과 철도구조물의 침하복원을 위해 마이크로 시멘트를 적용한 보강 그라우팅 공법이 수행되었다.

연약점성토지반의 얕은 굴착시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 (Earth Retaining Structure Using a Row of piles during Shallow Excavation in Soft Clay)

  • 홍원표;윤종민;송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91-2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굴착부지가 넓고 지하수위가 높은 점성토지반에 얕은 굴착시 종래에 널리 적용되었던 강널말뚝 흙막이공 대신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을 제안하였다.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지하굴착기간 동안 경사계 및 지하수위계를 설치하여 말뚝과 지반의 수평변위와 지하수위 변화를 조사하였다. 현장계측결과 말뚝과 지반의 변형거동은 굴착면 기울기, 말뚝두부구속조건, 말뚝설치간격, 굴착지반의 안정수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줄말뚝을 이용한 흙막이공의 시공성과 안정성뿐만 아니라 근접시공의 문제점이 없는 연약지반에서는 강널말뚝 흙막이공보다 경제적인 공법임을 확인하였다.

  • PDF

근접 굴착시 흙막이벽 버팀대 선행하중 재하에 따른 터널의 거동 (Behavior of Tunnel Due to Adjacent Ground Excavation with Pre-loading on Braced Wall)

  • 김일;이상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0호
    • /
    • pp.163-174
    • /
    • 2007
  • 큰 선행하중을 가할 수 있는 새로운 선행하중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근접굴착 시 기존 터널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흙막이 벽체의 수평변위가 거의 생기지 않도록 설계축력 이상의 선행하중을 가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하중을 가하지 않는 경우와 선행하중을 가하는 경우에 대해 축소율 1/10인 실 대형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치해석은 선행하중을 가하지 않는 경우와, 선행하중을 설계축력의 50%와 100%를 가하는 경우, 흙막이 벽체 변위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크기의 선행하중을 가하는 경우에 대해 유한요소법(FEM) 프로그램인 PLAXI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행하중을 설계축력 이상으로 적용시켜 흙막이 벽체변위를 억제시켰을 때 벽체 배면 지반에 있는 터널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터널 상부지반 굴착 후 구조물 설치에 따른 터널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tunnel behavior induced by the excavation and the structure construction above existing tunnel)

  • 차석규;이상덕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640-655
    • /
    • 2018
  • 최근 도심지 공사가 급증하여 기존 지하구조물의 상부에서 지반굴착 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지반굴착 후 구조물이 시공되는 경우 굴착 저면 하부 지반 내에서 하중 제하, 재하 과정이 반복되므로 기존 지하구조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지반굴착으로 인한 기존 지하구조물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접부에서의 굴착 및 구조물 하중에 의한 영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터널 상부에 지반 굴착 및 신규 구조물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를 실험적으로 구현하여 인접시공이 기존 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크기의 1/5로 축소한 대형모형시험기를 제작하여 굴착저면과 터널 천단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체 지반굴착, 구조물 하중의 폭, 기존 터널 중심과 지반 굴착 저면 중심과의 이격거리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하중 크기에 대하여 굴착 깊이가 깊어질수록 기존 터널에 더 큰 영향을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 이격거리에서 기존 터널에 영향은 건물하중 폭 증가에 따라 터널 내공변위가 최대 3배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건물하중 폭의 영향이 굴착 깊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평으로 이격하는 경우는 터널 중심에서 1.0D 이격되면 터널 천단변위가 48%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로부터 기존 터널 상부에 터파기 시공 위치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위치는 1.0D (D: 터널직경)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CLSM으로 되메움된 지하 인프라 매설물의 근접 굴착에 따른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Underground Facility Backfilled with Clsm According to Adjacent Excavation)

  • 유승경;유남재;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01-10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근접 굴착에 의한 지하 인프라 매설물의 변위 발생에 미치는 되메움 재료 종류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기존 매설물 주변의 되메움 재료를 일반 토사(주문진 표준사)와 CLSM으로 적용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굴착면과 되메움부의 이격거리에 따른 굴착 단계별 매설물의 변위를 분석하였다. 매설물 주변의 되메움 재료로 토사를 적용한 경우, 굴착으로 인한 배면의 토사가 붕괴한 후 안식각을 이루며 사면 안정화가 이루어 지는 과정이 굴착 단계마다 반복되었다. 그리고 토사의 붕괴선이 매설물 설치 위치를 지나게 되는 굴착 단계에서 매설물의 변위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되메움 재료로 CLSM을 적용한 경우, 굴착면과의 이격 거리와 관계없이 되메움 심도까지 굴착이 진행되어도 모형지반의 수평 및 연직 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하 매설물 설치 후의 되메움 재료를 선택함에 있어서 CLSM과 같은 비교적 강성이 큰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근접 굴착으로 인해 발생되는 횡토압에 대한 저항과 원지반의 붕괴 억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터널굴착 현장에 인접한 지상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용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Network Expert System for Safety Analysis of Structures Adjacent to Tunnel Excavation Sites)

  • 배규진;김창용;신휴성;홍성환
    • 화약ㆍ발파
    • /
    • 제17권4호
    • /
    • pp.67-88
    • /
    • 1999
  • 터널굴착으로 발생되는 지반침하는 지상구조물의 변형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터널굴착전에 지상구조물의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포함된 터널현장의 지표침하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상구조물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전문가 시스템 NESSS(Neural network Export System for Adjacent Structure Safety Analysis)를 개발하였다. NESASS는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기존 터널현장의 지표침하 계측자료로 작성된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학습자료로 하여 학습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터널현장의 지표침하 트라프를 추론한다. 또한 추론된 지상구조물 기초부 변형을 기반으로 계산된 평가 매개변수(angular distortion 등)의 혀용 한계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Dulacska의 균열평가 모델을 이용하여 지상구조물의 균열양상을 예측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표침하의 주 영향인자들을 선정하고 이를 분류항목으로 이용, 서울지하철 일부구간의 지표침하 계측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를 추진하였다. 그리고 인공신경망 구조에 관련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여 개발된 NESASS의 인공신경망 구조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기수행된 침하계측 결과치와 비교하여 지표침하 예측능력도 조사하였다. 또한 NESASS를 이용하여 실제 터널현장을 모델로 설정, 지상구보물의 안전성 평가를 수행해 봄으로써 NESASS의 실무적용성을 아울러 확인하였다.

  • PDF

지반개량에 의한 Anchor 정착부 개선효과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Soil Improvement on Anchor Bond Zone)

  • 김태섭;송상호;조규완;이재동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08-1013
    • /
    • 2006
  • Ground anchor method is widely used in the large scale deep excavation of urban area to support a retained wall. Excavation using the ground anchor as a supporting system near a building have many difficulties due to the limitation of construction space. This method can not be applied to the site with the insufficient space from the retained wall to the boundary line. In this case, soil improvement at the anchor bond zone can be used to secur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ground anchor within the boundary. Through this method, the bond length of anchor can be shortened considerably. This paper deals with the case study on the ground excavation adjacent to a building. The object field is Yongsan Park Tower Construction Site. In this site, the enlarged anchor with soil improvement was applied to solve the problem due to the limitation of construction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field test and monitoring, the anchor with soil improvement is very effective to secure the frictional resistance at the anchor bond zone.

  • PDF

느슨한 모래지반(地盤)에서 앵커로 지지(支持)된 널말뚝의 배면지반침하(背面地盤沈下) (Settlement of Ground Surface behind Anchored Sheet-Piles in Loose Sand)

  • 천병식;강인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45-153
    • /
    • 1990
  • 본(本) 연구(硏究)는 굴착에 따른 지반심하(地盤沈下)와 벽변형(壁變形)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느슨한 모래 지반(地盤)에서 앵커로 지지(支持)된 널말뚝의 모형실험(模型實險)을 한 것이다. 실험(實驗)에 고려된 요소로는 널말뚝의 하단구속(下端狗束), 앵커의 경사각(傾斜角), 널말뚝의 강성(剛性), 굴착단계(段階)이며 실험결과(實驗結果)는 기존의 이론(理論)과 버팀대로지지(支持)된 토류벽(土留壁)의 현장계측결과(現場計測結果)와 비교되었다. 분석결과(分析結果)는 일단(一段)의 앵커로 지지(支持)된 널말뚝의 지반침하(地盤沈下)를 예상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 회귀식(回歸式)으로 나타냈고, 굴착으로 인한 벽변형(壁變形)과 지반침하(地盤沈下)는 굴착변의 지지방법(支持方法)에 따라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Impact of adjacent excavation on the response of cantilever sheet pile walls embedded in cohesionless soil

  • Singh, Akshay Pratap;Chatterjee, Kaustav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0권3호
    • /
    • pp.293-312
    • /
    • 2022
  • Cantilever sheet pile walls having section thinner than masonry walls are generally adopted to retain moderate height of excavation. In practice, a surcharge in the form of strip load of finite width is generally present on the backfill. So, in the present study, influence of strip load on cantilever sheet pile walls is analyzed by varying the width of the strip load and distance from the cantilever sheet pile walls using finite difference based computer program in cohesionless soil modelled as Mohr-Coulomb model. The results of bending moment, earth pressure, deflection and settlement are presented in non-dimensional terms. A parametric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different friction angle of soil, embedded depth of sheet pile walls, different magnitudes and width of the strip load acting on the ground surface and at a depth below ground level. The result of present study is also validated with the available literature. From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optimum behavior of cantilever sheet pile walls is observed for strip load having width 2 m to 3 m on the ground surface. Further as the depth of strip load below the ground surface increases below the ground level to 0.75 times excavation height, the bending moment, settlement, net earth pressure and deflection decreases and then remains cons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