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viru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8초

Clinical Features and Role of Viral Isolates from Stool Samples of Intussuception in Children

  • Lee, Yong Wook;Yang, Soo In;Kim, Ji Myoung;Kim, Jae Yo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6권3호
    • /
    • pp.162-170
    • /
    • 2013
  • Purpose: To detect major acute gastroenteritis virus (rotavirus, norovirus, astrovirus, and enteric adenovirus) and non-enteric type of adenovirus (AdV) in the stools of intussusception patients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ole of detected viruses. Methods: From March 2012 to February 2013, major acute gastroenteritis virus and non-enteric type of AdV were isolated from stool samples that collected from 44 patients treated for intussuscep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age and isolated virus. Results: Virus was detected in 28 (63%) stool specimens. The virus detection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aged under 12 months (p = 0.04). Twenty-two patients (78.6%) had non-enteric adenovirus, 4 (14.3%) had norovirus, 1 (3.6%) had sapovirus, and 1 (3.6%) had astrovirus. AdV subgroup C (AdV 1, 2, 5, and 6) comprised the majority with 20 cases (90.9%). A monthly increment-and-decrement pattern of intussusception was similar to that of viral detection in the stool samples. Enema reductions were successful in 39 patients and surgical manual reductions were performed in 5 patients. Virus was detected in 24 patients (61.5%) of enema reduction group and 4 patients (80.0%) of surgical manual reduction group. All of the detected viruses were non-enteric adenovirus subgroup C (AdV 1, 5, and 6) in surgical reduction patients. Conclusions: The virus detection rate was high in the stools of intussusception patients. The pattern of seasonal intussusception occurrence rate was parallel with seasonal these viral detection rate in the stool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ral infe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tussusception and further research is warranted.

Anti-apoptotic effect by Bcl-2 in UVB-irradiated keratinocytes.

  • Takahashi, Hidetoshi;Honma, Masaru;Ishida-Yamamoto, Akemi;Namikawa, Kazuhiko;Miwa, Akiko;Okado, Haruo;Kiyama, Hiroshi;Iizuka, Hajime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5-228
    • /
    • 2002
  • Bcl-2 is a member of large bcl-2 family and protects cells from apoptosis. Using bcl-2-expressing adenovirus vector (Ad-bc1-2),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c1-2 on UVB-induced apoptosis. Adenovirus vector efficiently introduced bc1-2 gene in cultured normal mouse keratinocytes (NMK cells); almost all NMK cells (lx10$^{6}$ ) were transfected at Ixl0$^{8}$ PFU/ml. Bcl-2-transfected NMK cells were significantly resistant to UVB-induced apoptosis with the suppressive effect dependent on bcl-2-expression level. Following UVB irradiation caspase 8, 3, 9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NMK cells, while in bc1-2-transfected cells, only caspase 8, but not caspase 3 or 9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c1-2 in vivo, topical application of Ad-bc1-2 on tape-stripped mouse skin was performed. Following the application, Bc1-2 was efficiently overexpressed in almost all viable keratinocytes. The expression was transient with the maximal expression of Bc1-2 at 1st day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lxl0$^{9}$ PFU in 200ml. The introduced Bc1-2 remained at least for 6 days. UVB irradiation (1250 J/m$^2$) induced apoptosis within 12 h and the maximal effect was observed at 24 h in control mouse skin. Bc1-2-transfected mice skin were resistant to UVB-induced apoptosis. Topical application of empty adenovirus vector alone had no effect on Bc1-2 expression or UVB-induced apopto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enovirus vector is an efficient gene delivery system into keratinocytes and that Bcl-2 is a potent inhibitor of UVB-induced apoptosis both in vitro and in vivo.

  • PDF

소아의 Adenovirus 하기도 감염증에 관한 연구 - 유행 양상과 임상 양상에 대하여 -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Children in Korea from 1990 Through 1998)

  • 홍정연;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1호
    • /
    • pp.94-107
    • /
    • 2000
  • 목 적 : 우리나라 하기도 감염 소아에서 분리되는 아데노바이러스 각 혈청형의 유행 양상과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하기도 감염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0년 1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호흡기 감염증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비흡인물을 채취하여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 형광염색법 및 HEp-2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법으로 87례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을 진단하고, 분리된 바이러스는 중화 항체 시험으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인되고 혈청형 결정 시험이 시행된 84명의 환아 중에서 혼합감염과 병록 고찰이 불가능한 환아들을 제외한 74명의 환아들의 병록 고찰을 하였다. 결 과 : 혈청형 검사가 시행된 84례 중에 7형이 36례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나머지는 혈청형 1은 3례, 혈청형 2는 13례, 소아 혈청형군이 13례, 기타 혈청형군이 12례였다. 혈청형 7형은 95년 10월부터 97년 초까지 유행성으로 발병하였고 그 외의 다른 혈청형은 7형이 유행할 당시에는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그 외의 기간 동안에는 98년을 제외하고는 7형은 분리되지 않았고 주로 2형과 3형이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년 11개월로 주로 6개월에서 5세 사이였고 6개월 이하의 영아도 14례 있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의 흉부방사선 소견은 폐나 폐문 주위의 침윤, 과환기, 무기폐, 폐경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상소견도 있었다. 그러나 7형의 경우는 세균성 폐렴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의 병변으로 폐경화와 늑막 삼출, 그리고 대엽성이나 소엽성 무기폐 등이 관찰되었고 양측 폐야를 동시에 침범한 경우도 7형에서 20례(55%)에서 있었다. 호흡곤란으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경우는 혈청형 7의 36례 중의 14례(38.9%)였다. 사망한 환자는 총 9명(12%)이었고 그 중 호흡 부전으로 사망한 경우는 7명(9.4%)였다. 그 중 7례는 혈청형 7이 분리되었고 소아 혈청형군 1례와 2형이 1례씩 있었다. 결 론 :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6개월에서 5세사이의 소아에서 심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혈청형 7형에 의한 심한 폐렴이나 선행질환으로 선선청 심질환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 혹은 만성 폐질환을 앓는 경우에 사망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5년간 관찰되지 않던 7형에 의한 폐렴은 유행성으로 많은 정상 환아에서도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였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에 대한 연구를 더욱 진행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vian Adenovirus Associated Virus (AAAV)의 특성에 관한 연구 I. AAAV의 분리 및 동정 (Characterization of Avian Adenovirus Associated Virus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vian Adenovirus Associated Virus)

  • 이영옥;벤스 제이 예인스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1980
  • 매추리 유래 가금 adenovirus인 QBV로 부터 CsCl을 사용한 균질밀도분배원심분리법으로 AAAV의 분리를 시도하였으며, 분리된 바이러스의 순수성을 전자현미경 및 혈청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증명하였으며 순수 분리된 AAAV를 항원으로 사용한 혈청반응을 개발하였다. 즉, CsCl의 밀도 1.38 및 $1.42gm/cm^3$의 분획들은 순수한 AAAV이었으며 $1.42gm/cm^3$의 분획은 토끼에서 양성혈청제조용 면역원으로 1.38 및 $1.42gm/cm^3$의 분획은 혈청반응용 표준항원으로 사용하였다. AAAV 표준항원 및 가토 양성혈청계는 MDV, IBDV, ITV 및 "helper"인 가금 adenovirus와의 교차반응이 없었으며 혈청학적인 특이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상기 혈청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AAAV의 동정은 물론 AAAV에 대한 닭의 항체검출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돼지 폐포탐식세포로부터 adenovirus의 국내분리주 작성 (Isolation of adenovirus from porcine alveolar macrophages)

  • 권창희;조재진;권병준;송재영;채찬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7-183
    • /
    • 1997
  • One cytopathogenic virus was isolated in alveolar macrophages from pig without any apparent respiratory clinical signs. Biophysical properties and electron microscopy of the isolat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adenovirus. Intracytoplasmic inclusion bodies were seen in virus-inoculated cells. The genetic analysis indicated the presence of DNA with the size of >20Kb. In a serological survey of 40 serum samples collected from two different farms in slaughter house, 9 sera were positive for neutralizing antibody against the isolate.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 isolate as the causative agent in respiratory disorder were discussed.

  • PDF

Avian adenovirus 관련 심낭수종-봉입체간염 증후군 진단에 관한 연구 (Diagnosis of avian adenovirus-associated hydropericardium hepatitis syndrome)

  • 추금숙;이정원;송희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13-319
    • /
    • 2007
  • Avian adenoviruses are diverse group of pathogens and recently hydropericardium hepatitis syndrome (HHS) Is an important, emerged disease of poultry. Particularly 2-3 weeks old age broilers increased mortality ranging from 20-30% and brown native chicken 3-7 weeks sudden onset with mortality 20-50%, typically development secondary infection. The infection chicken shows liver enlarged, pale and straw- colored fluid is present in the sac surrounding the heart. Histopathological positive samples have necrotic foci and basophilic intranuclear inclusion bodies in the hepatocyte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ful for detect the fowl adenovirus (FAV) associated with HHS.

육계에서 봉입체성간염 및 전염성 F낭병 발생 증례 (Outbreak of inclusion body hepatitis (IBH) and infectious bursal disease (IBD) in broilers, case)

  • 이지영;권미순;추금숙;조현웅;이정원;서재식;송희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1-327
    • /
    • 2007
  • This is a case report on the occurrence of inclusion body hepatitis (IBH) and infectious bursal disease (IBD) among the broilers in a local farm located in Wanju, Jeollabukdo. Mostly IBH could be caused by adenovirus if the bird's immune system was first weakened by exposure to immunosupressive agents such as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 (IBDV) and chicken anemia virus (CIAV). However IBH primary occurred before IBD in this case. And recent work has demonstrated that virulent adenovirus alone can produce the disease.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의 발생 (An Outbreak of Epidemic Keratoconjunctivitis by Adenovirus Type 8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박나리미;나지윤;정경은;이진아;김이경;김한석;김성준;송정숙;오향순;이환종;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1호
    • /
    • pp.44-53
    • /
    • 2008
  • 목 적 :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안구 통증, 결막 충혈 및 분비물 증가 등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이 높은 질환으로, 주로 접촉으로 전파되며 4, 8, 19, 37형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사회나 안과 병원에서의 유행성 각결막염이 성인에서 다수 보고되었으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의 유행이 보고된 경우는 드물고, 국내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된 각결막염의 유행이 보고된 예가 없었다.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아데노바이러스 8형 유행성 각결막염의 전파 및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고, PCR 기법이 진단과 감염 방지 대책의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5년 7월 12일부터 8월 1일까지 20일간,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 12명, 의료진 3명 및 보호자 1명에서 결막 충혈과 분비물 증가 등의 전형적인 결막염 증상이 발생하였다. 각결막염이 의심되는 환자의 결막 분비물 및 호흡기 검체에서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배양 검사와 PCR 검사를 시행하였고, PCR양성을 보인 검체에 대해서는 hexon 유전자 염기서열분석에 의해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결 과 : 11명의 환아와 1명의 의료진에서 검사가 가능한 검체를 채취하였으며, 12명(100%) 모두에서 PCR 양성을 보였고, 검사 가능한 11명 중 6명(54.5%)에서 아데노바이러스가 배양되었다. 신생아 11명의 검체는 염기서열 분석에서 아데노바이러스 8형으로 확인되었다. 가장 먼저 결막염 증상이 발생한 4명의 환아는 유행 일주일 전 같은 날 미숙아 망막병증에 대한 정기 안과 검진을 받았다. 첫 증례가 발생한 후 10일째까지 10명의 환아와 각각 1명의 상근 의사, 간호사에서 증상이 발생하였고 이후 20일째까지 4명의 환자가 추가로 발생하였다. 감염이 의심되는 환아들은 코호트 격리 및 장갑, 가운을 포함한 접촉 격리를 시행하였고, 감염된 의료진은 증상이 호전될 때까지 1-2주간 병가를 받아 접촉이 차단되었다. 이환된 신생아들의 출생 당시 평균재태주령은 $28^{+5}$주, 평균 출생체중은 1,102 g이었고, 증상이 시작되었을 당시 연령 및 체중은 각각 평균 $35^{+6}$주, 1,745 g이었다. 환아들은 증상이 시작된 지 평균 16.7 (${\pm}$5.1)일이 지난 후에 합병증 없이 호전되었다. 이전의 보고에서 4주-4개월에 이르는 유행이 보고된바 있으나, 본원에서는 발병 3주 이후에는 더 이상 환자가 보고되지 않았다. 결 론 : 저자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아데노바이러스 8형에 의한 각결막염이 있었던 미숙아들의 유행전파 경로와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진단 시 PCR과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 혈청형의 결정법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어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이는 결막염 유행 시 빠른 실험실적 진단 방법으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러스 제거율 평가를 위한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Virus Removal Rate using Adenovirus)

  • 조윤정;임재원;백다운;이상훈;이인수;이혜영;박동희;정동주;김태우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33-641
    • /
    • 2015
  •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 is induced by several pathogenic microbes such as bacteria, viruses and protozoans, and the cases caused by viral infection is currently increasing. Water treatment process could reduce the number of virus in the water, but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to completely remove the virus particles from water. Therefore, the membrane separation technology which was reported to effectively remove pollutants from raw water has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and demand. Since its efficiency has been introduced, demands for evaluation method toward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are increasing. However, progression of the method development is slow due to the difficulties in cultivation of several waterborne viruses from animal models or cell culture syste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we used adenovirus, one of the commonly isolated pathogenic waterborne viruses which can grow in cell culture system in vitro. The adenovirus us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human adenovirus C strain. The adenovirus was spiked in the raw water and passed through the microfiltration membrane produced by Econity, a Korean membrane company, and then the viral removal rate was evaluated by real-time PCR. In the results, the amount of virus in the filtered water was decreased approximately by 5 log scale. Because coagulant treatment has been known to reduce filtering function of the membrane by inducing fouling,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ny interference of coagulant. In the results, we confirmed that coagulant treat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ference on microfilt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waterborne virus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membrane filtration system. In particular, here we also suggest that real-time PCR method can rapidly, sensitively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removal rate of virus. These results may provide a standard method to qualifying membrane filtration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