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of Children in Korea from 1990 Through 1998

소아의 Adenovirus 하기도 감염증에 관한 연구 - 유행 양상과 임상 양상에 대하여 -

  • Hong, Jung You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oan Jong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홍정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환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0.05.31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severity of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LRTI) in Korean children. Methods : Adenoviral respiratory infection was diagnosed by viral culture in HEp-2 cell and indirect immunofluorescent technique with nasal aspirates. Isolated adenoviruses were typed by neutralization test.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in patients with adenoviruses were typed by neutralization test.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done in patients with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ho were brought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from November 1990 through February 1998. Results : Adenovirus was isolated in 87 cases. Of 84 cases serotyped, type 1 was recovered in 3 cases, type 2 in 13 cases, type 3 in 13, type 4 and 5 in 4 cases each other, type 6 in 1 cases, type 7 in 36 cases, type 11 in 1 case and the other types in 9 cases.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infection occurred sporadically throughout the year but from November 1995 through February 1998, an outbreak of adenovirus type 7 lower respiratory infection was observed in number upto 36 case. The incidence of adenoviral infection peaked in young children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of age and the mean age was 1 year 11 months old. There were 10 cases of mixed infection with another pathogen. Clinical diagnosis were pneumonia(88%), acute broncholitis(5.4%), acute tracheobronchitis(5.4%), croup(1.3%). The clinical features of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infection were severe especially in type 3 and 7 infections in aspect of fever duration, ventilator care.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were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23 cases(31%), hepatomegaly in 36 cases(53%), seizure and mental alteration in 13 cases(20.3%). In chest radiographic findings, parahilar and peribronchial infiltration were in 49 cases(67%), hyperaeration in 21 cases(29%), atelectasis in 14 cases(19%), consolidation in 39 cases(53%) and bilateral pneumonic infiltration in 28 cases(38%). Among thirty six adenovirus type 7 LRTI, 15 patients(41.6%) had pleural effusion and 3 patients had chest tube insertion. Number of fetal cases related to adenovirus were 9 cases(12%) and fetal cases due to ventilatory failure were 7(11%). Conclusion : During 7 year period of studying adenoviral lower respiratory infection, we identified the serotypes of adenovirus. Among the serotypes, adenovirus type 7 were epidemically isolated. Adenovirus were isolated in sever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of young children aged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and related to death of the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patients had underlyng diseases or were infected by adenovirus type 7.

목 적 : 우리나라 하기도 감염 소아에서 분리되는 아데노바이러스 각 혈청형의 유행 양상과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하기도 감염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0년 11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호흡기 감염증상을 주소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를 내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비흡인물을 채취하여 단일 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 형광염색법 및 HEp-2 세포주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법으로 87례의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을 진단하고, 분리된 바이러스는 중화 항체 시험으로 혈청형을 결정하였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인되고 혈청형 결정 시험이 시행된 84명의 환아 중에서 혼합감염과 병록 고찰이 불가능한 환아들을 제외한 74명의 환아들의 병록 고찰을 하였다. 결 과 : 혈청형 검사가 시행된 84례 중에 7형이 36례로 가장 많았다. 그리고 나머지는 혈청형 1은 3례, 혈청형 2는 13례, 소아 혈청형군이 13례, 기타 혈청형군이 12례였다. 혈청형 7형은 95년 10월부터 97년 초까지 유행성으로 발병하였고 그 외의 다른 혈청형은 7형이 유행할 당시에는 거의 분리되지 않았다. 그 외의 기간 동안에는 98년을 제외하고는 7형은 분리되지 않았고 주로 2형과 3형이 연중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환아의 평균 연령은 1년 11개월로 주로 6개월에서 5세 사이였고 6개월 이하의 영아도 14례 있었다.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한 폐렴의 흉부방사선 소견은 폐나 폐문 주위의 침윤, 과환기, 무기폐, 폐경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정상소견도 있었다. 그러나 7형의 경우는 세균성 폐렴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의 병변으로 폐경화와 늑막 삼출, 그리고 대엽성이나 소엽성 무기폐 등이 관찰되었고 양측 폐야를 동시에 침범한 경우도 7형에서 20례(55%)에서 있었다. 호흡곤란으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경우는 혈청형 7의 36례 중의 14례(38.9%)였다. 사망한 환자는 총 9명(12%)이었고 그 중 호흡 부전으로 사망한 경우는 7명(9.4%)였다. 그 중 7례는 혈청형 7이 분리되었고 소아 혈청형군 1례와 2형이 1례씩 있었다. 결 론 : 아데노바이러스는 주로 6개월에서 5세사이의 소아에서 심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며, 특히 혈청형 7형에 의한 심한 폐렴이나 선행질환으로 선선청 심질환이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경우 혹은 만성 폐질환을 앓는 경우에 사망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5년간 관찰되지 않던 7형에 의한 폐렴은 유행성으로 많은 정상 환아에서도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하였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에 대한 연구를 더욱 진행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보건복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