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ma, pleomorphic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1초

악성 침샘종양의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정도관리 (Quality Assuarance o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s)

  • 오영륜;고영혜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0-44
    • /
    • 2004
  • To evaluate the quality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diagnosis on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s, cytologic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histologic diagnosis of 56 surgically removed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Seven cases (12.5%) were insufficient, 23 cases (41.1%) were diagnosed as malignant, 17 (30.4%) cases were accurately diagnosed by histologic subtype, and 9 cases (16%) were diagnosed as benign. Five out of 9 false negative cases were misdiagnosed as pleomorphic adenomas. Except the cases with insufficient specimen, overall sensitivity was 81.6%, and the sensitivity varied according to the histologic subtype; 91% in salivary duct carcinoma, 100% in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50% in mucoepidermoid carcinoma, 63% in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50% in acinic cell carcinoma. The diagnostic accuracy differed among cytopathologists irrespective of periods after acquisition of board of pathologists. These results confirm that salivary gland neoplasm can be easily misdiagnosed in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and a great caution should be given in diagnosing the benign appearing salivary aspirates to avoid under-diagnosis of malignant neoplasm with low grade cytologic atypia.

협부 종물 2례:부이하선의 다형선종과 혈관 평활근종 (Two Cases of Buccal Mass:Plemorphic Adenoma of an Accessory Parotid Gland and Angiomyoma)

  • 이상혁;이노희;박일석;김진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6
    • /
    • 2007
  •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lesions in buccal area include lipoma, neurofibromas, epidermoid cyst, salivary ducts calculus, hemangioma, lymphadenopathy. Accessory parotid glands is defined as salivary gland tissue adjacent to the parotid duct, but separated from the body of parotid and it may be found in approximately 20% of human parotid glands. The appearance of an accessory parotid tumor is rare, with a reported frequency of 7.7% of all parotid neoplasm. Angiomyoma, which is also termed angioleiomyoma, is a rare solitary subcutaneous tumors arising from the vascular smooth muscle. It often occur in the extremities and is rarely found in buccal area. We present 2 cases of rare tumor in buccal mass and resected surgically without facial nerve palsy.

한국인의 구강내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 (The Prevalence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Or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in Korean Patients)

  • 유미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7-214
    • /
    • 2008
  • 본 연구는 구강내 발생하는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서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소타액선 종양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1990년부터 200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 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에 내원한 200명의 소타액선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치과 및 의과 임상 기록지 검토와 H/E 슬라이드를 재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0명의 환자 중 양성 종양은 123예(61.5%), 악성종양은 77예(38.5%)였으며 남성에서는 87예, 여성에서는 113예였다. 2. 가장 흔하게 발생한 소타액선 종양은 다형성 선종이며 선양 낭성 암종, 점액표피암종,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 림프관종 등의 순이었다. 3. 호발 부위는 경구개(42.5%), 연구개(9%), 협점막(6%), 입술(3.5%) 부위였다. 4. 발생 연령은 4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50대에서 가장 많았다. 양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은 46.2세였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이 56.1세였다. 5. 다형성 선종은 가장 호발한 소타액선 종양으로서 모두 104예였으며 남성 38명, 여성 6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46.7세였으며 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관 구조 형성, 별 모양, 다각형, 방추형, 형질세포양(plasmacytoid), 연골양, 점액양 구조를 보였으며 불완전한 피막과 종양 피막을 뚫고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6. 선양 낭성 암종은 가장 호발한 악성 타액선 종양으로 모두 32예였으며 남성 16명, 여성 1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7.4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cribriform pattern, 관상 구조, 판상 구조 형성, 종양 세포의 신경 주위 침습 등을 보였다. 7. 점액표피암종은 모두 25예였으며 남성 10명, 여성 15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0.0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점액 세포, epidermoid-type 세포, intermediate cell의 분포가 대부분 저등급을 보였다. 이외에도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종양, 림프관종 등이 발생하였다. 8. 한국인의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는 양성 종양이 높으며 특히 다형성 선종이 많았고 여성 발생, 구개 부위 발생이 많았으며 다형성 저등급 선암종 등 특정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이 극히 적었다.

  • PDF

경구개 부위에 발생된 점막유표피종양 (MUCOEPIDERMOID CARCINOMA OCCURRED IN THE HARD PALATE)

  • 최은숙;고광준
    • 치과방사선
    • /
    • 제24권1호
    • /
    • pp.151-159
    • /
    • 1994
  •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intermediate 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 in 29-year-old female. The origin of this tumor might be mucus secreting cells of palatal mucous gl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as follows: 1. In clinical examination, exopytic mass was observed in left hard palate and similar to pleomorphic adenoma. 2. In radiographic findings, destructive changes of left hard palate, nasal septum, nasal inferior turbinate and floor of maxillary sinus and soft tissue mass were observed. 3. Histopathologically, mucus-secreting cells, epidermoid cells and intermediate cells were observed and diagnosed as intermediate grade mucoepidermoid carcinoma.

  • PDF

구개부에 발생한 근상피종 (MYOEPITHELIOMA ON PALATE)

  • 이계영;민경인;이주현;정수일;김철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1호
    • /
    • pp.83-86
    • /
    • 2001
  • Myoepithelioma is histologically composed exclusively of myoepithelial cells. Myoepithelial cells are present in the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s. Salivary gland neoplasms that frequently contain myoepithelial cells are the pleomorphic adenoma, adenoid-cystic carcinoma, and epithelial myoepithelial carcinoma of intercalated duct origin. Neoplasms composed exclusively of myoepithelial cells are rare. Myoepitheliomas may be composed of spindle-shaped cells, plasmacytoid(hyaline) cells, or combination of both in varying proportions. A case is reported of plasmacytoid myoepithelioma with ultrastructural confirmation, together with reviews of the English literature.

  • PDF

침샘에 발생하는 고등급 악성 종양과 방추세포 병변의 세침흡인 세포소견에 대한 고찰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High Grade Neoplasm and Spindle Cell Lesion of Salivary Gland)

  • 오영륜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5-87
    • /
    • 2005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is a very useful tool in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lesions of the salivary gland. Surgical therapy of high-grade malignancies (salivary duct carcinoma, mucoepidermoid carcinoma, squamous cellcarcinoma,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small cell carcinoma, and sebaceous carcinoma) is different from that of benign lesions or low-grade malignancies.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high-grade malignancies is important in salivary gland FNAC. Although recognition of high-grade malignancies of the salivary gland by FNAC is not difficult, precise classification of these malignancies is often impossible. Additionally, because of its rarity, FNAC of spindle cells and mesenchymal lesions of the salivary glands is a tool that is not familiar to many cytopathologists. The characteristic cytomorphologic features of these lesions are reviewed here with a discussion of specific diagnostic problems.

타액선 양성 종양에 대한 임상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Benign Salivary Gland Tumors)

  • 이승균;백병준;오천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5-210
    • /
    • 1998
  • Benign salivary gland tumors have relatively lower incidence, but it have various histopathologic diagnosis and biological behavior. Authors analyzed retrospectively 77 patients with benign salivary gland tumor who were treated surgically and had the following results.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5th decade, and sex distribution was not specific.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parotid gland(75.3%) and submandibular gland(20.8%) was next. Histopathologically, the most common salivary gland tumor was pleomorphic adenoma(82.7%) and Warthin's tumor(8.6%) was next. An asymptomatic mass was the most common presentation. Duration of symptoms and signs were mostly under the 5years(90.9%). Diameter of tumors was mostly under 4cm(76.7%). Parotid gland tumors were treated mostly with superficial parotidectomy and submandibular gland tumors were treated mostly with submandibular gland resectio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facial nerve palsy(9 cases).

  • PDF

이하선 상피-근상피 암종 1예 (A Case of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of the Parotid Gland)

  • 강기훈;김장묵;송태현;차영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8-112
    • /
    • 2000
  •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EMC) is a rare low grade malignant salivary gland neoplasm that most commonly occurs in the parotid gland but can also arise in minor salivary glands. It is a distinct neoplasm characterized by tubular and solid growth patterns and a dual cell population including an inner larger of cuboidal to columnar epithelial cells which are peripherally bounded by a layer of myoepithelial cells with distinctly clear cytoplasm. The clinical course is characterized by a high incidence of local recurrence and not infrequent distant metastasis. Th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d acinic cell tumor, adenoid cystic carcinoma, mucoepidermoid carcinoma, sebaceous carcinoma and pleomorphic adenoma. We report a case of EMC of left parotid gland in a 55-year-old woman.

  • PDF

소타액선 종양에 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Minor Salivary Gland Tumors)

  • 이종수;최종욱;이승호;정광윤;이남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5-30
    • /
    • 1994
  • 최근 7년간 저자들이 치험한 소타액선 종양 26례에 대하여 임상양상과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발생부위를 구개 10례 (38.5%), 비강 및 부비동 8례 (30.8%), 설근부 2례 (7.7%), 협부 점막 2례 (7.7%), 구순 1례(3.8%), 후두개곡 1례(3.8%), 구강저 1례(3.8%), 비인강 1례(3.8%)이었다. 2)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양성 종양 10례, 악성종양 16례이었으며, 양성 종양은 전례가 다형성선종이었으며, 구개에서 6례로 가장 많았고, 악성종양은 비강 및 부비동 5례로 가장 많았으며, 선양낭성암종 9례, 악성혼합종 2례, 점액표피암종 2례, 다형성선암종 2례, 상피근상피성암 1례이었다. 악성화율은 61.5%이었다. 3) 치료는 양성 종양은 모두 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악성 종양은 광범위 적출술 4례(25.0%), 수술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9례(45.2%),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병합요법 1례(5.25%), 방사선 요법 2례(12.3%)등을 시행하였다. 4)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는 근치적 치료를 시행한 8례에서는 무병생존 6례, 유병생존 1례, 유병사망 1례를 보였으며, 고식적 치료를 시행한 6례에서는 유병생존 2례, 유병사망 4례를 보였다. 이상의 성적에서 소타액선 종양은 대타액선 종양에 비하여 악성화 비율이 높고 선양낭성암종의 발생 빈도가 높아 그 침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고식적 치료의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Salivary Gland Tumors)

  • 장경훈;장유철;정환우;양훈식;김훈;김춘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77-286
    • /
    • 1997
  • 저자들은 1988년부터 1996년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수술적으로 치료한 47례의 타액선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호발연령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악성종양의 경우 양성종양보다 호발연령이 높았다. 2) 여자에서 남자보다 호발하며 그 비율은 1.5;1 이었다. 3) 발생부위는 이하선이 가장 많아 48.9% 였으며, 악하선, 소타액선의 순이었으며 소타액선 종양은 구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4) 악성의 빈도는 소타액선에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악하선, 이하선 순이었다. 5) 가장 많은 증상은 무통성의 종물이었다. 6)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진단적 정밀도는 88.9% 였다. 7) 가장 흔한 타액선종양은 혼합종으로 전체의 57.4 %였다. 8) 악성종양 중 경부임파절 전이율은 22.2%였다. 9) 수술적 치료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19.1% 였으며 일시적 안면신경마비가 가장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