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valence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Or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in Korean Patients

한국인의 구강내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

  • Ryu, Mi-Heon (Dept. of Dental Hygiene, Namseoul University)
  • 유미현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08.08.11
  • Accepted : 2008.09.23
  • Published : 2008.09.24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 the multicenter study and retrospective method of 200 patients with intraor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which were received at the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Soonchunhyang Bucheon hospital and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from 1990 to 2006. In this study, 61.5% of the cases were benign tumor and 38.5% were malignant tumor. Of the benign tumors, pleomorphic adenoma wa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n=104) and Warthin's tumor, lymphangioma, myoepithelioma and basal cell adenoma were followed. Of the malignant tumors, adenoid cystic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n=32)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carcinoma, carcinoma ex pleomorphic adenoma, metastatic adenocarcinoma and acinic cell carcinoma were followed.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location was palat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other previous reviews and showed some differences.

본 연구는 구강내 발생하는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서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소타액선 종양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1990년부터 200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 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에 내원한 200명의 소타액선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치과 및 의과 임상 기록지 검토와 H/E 슬라이드를 재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0명의 환자 중 양성 종양은 123예(61.5%), 악성종양은 77예(38.5%)였으며 남성에서는 87예, 여성에서는 113예였다. 2. 가장 흔하게 발생한 소타액선 종양은 다형성 선종이며 선양 낭성 암종, 점액표피암종,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 림프관종 등의 순이었다. 3. 호발 부위는 경구개(42.5%), 연구개(9%), 협점막(6%), 입술(3.5%) 부위였다. 4. 발생 연령은 4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50대에서 가장 많았다. 양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은 46.2세였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이 56.1세였다. 5. 다형성 선종은 가장 호발한 소타액선 종양으로서 모두 104예였으며 남성 38명, 여성 6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46.7세였으며 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관 구조 형성, 별 모양, 다각형, 방추형, 형질세포양(plasmacytoid), 연골양, 점액양 구조를 보였으며 불완전한 피막과 종양 피막을 뚫고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6. 선양 낭성 암종은 가장 호발한 악성 타액선 종양으로 모두 32예였으며 남성 16명, 여성 1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7.4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cribriform pattern, 관상 구조, 판상 구조 형성, 종양 세포의 신경 주위 침습 등을 보였다. 7. 점액표피암종은 모두 25예였으며 남성 10명, 여성 15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0.0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점액 세포, epidermoid-type 세포, intermediate cell의 분포가 대부분 저등급을 보였다. 이외에도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종양, 림프관종 등이 발생하였다. 8. 한국인의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는 양성 종양이 높으며 특히 다형성 선종이 많았고 여성 발생, 구개 부위 발생이 많았으며 다형성 저등급 선암종 등 특정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이 극히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