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ress Recogni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5초

음성인식 기능을 가진 주소입력 시스템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ddress Input System Employing Speech Recognition)

  • 김득수;황철준;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0
    • /
    • 1999
  • 본 논문은 음성인식 기술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하여 국내 행정 단위 시(도), 구(군), 동(읍,면), 번지로 구성되는 주소를 인식의 대상으로 하는 주소 입력 시스템 구축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사운드카드가 장착된 개인용 컴퓨터상의 윈도우 95환경에서 동작하며, 음성인식부는 인식의 기본단위로 유사음소단위(Phoneme Like Units: PLUs)를 이용하여 CHMM(Continuous Hidden Markov Model) 음소모델을 작성하고, 주소인식을 위해서 주소명의 특징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유한상태 오토마타(Finite State Automata)를 구성하여 OPDP(One Pass Dynamic Programming)법으로 인식을 수행하였다. 실용성있는 시스템 성능을 얻기 위하여 마이크, 환경잡음 및 화자의 변화 등의 사용환경변화에 대해 최대사후확률추정법(Maximum A Posteriori Probability Estimation: MAP)으로 적응화시켜 인식률의 향상을 도모하였고, 개인용 컴퓨터상에서의 인식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변프루닝 문턱치를 이용한 고속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평가결과, 화자적응화 후의 성인 남자 3인에 대한 100개의 연결주소명의 연결단어 인식률은 평균 96.0%이상, 인식속도는 발성완료후 약 2초 이내로 인식이 완료되어 본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우편물 자동구분기의 구분율 향상을 위한 문자인식기의 구현 방법 (An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Character Recognizer for the Sorting Rate Improvement of an Automatic Postal Envelope Sorting Machine)

  • 임길택;정선화;장승익;김호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5-24
    • /
    • 2007
  • 우편물의 자동구분을 위해서는 주소영상의 인식이 필수적이다. 주소영상의 인식 과정은 주소영상 전처리, 문자인식, 주소해석의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소영상 전처리 과정을 통해 추출된 문자영상들은 인식과정으로 전달되고 이 과정에서 각 문자영상마다 다수의 후보문자와 인식 스코어가 생성된다. 주소해석기는 후보문자와 인식 스코어의 집합을 이용하여 유효한 최종 주소를 생성한다. 우편물의 자동구분 율은 주소영상의 인식과정에 포함된 모든 과정의 성능에 따라 좌우되는데 특히 문자인식 성능이 중요한 요인이다. 주소인식에서 좋은 문자인식기란 주소해석이 용이할 수 있도록 신뢰도 높은 후보문자를 생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인식기에서 신뢰도 높은 후보문자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논문에서는 현행 우편물 자동구분기의 주소인식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MLP 인식기를 개별 문자인식을 위한 인식기로 사용한다. MLP 인식기는 인식 속도와 인식률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인식기의 하나로 알려져 있지만, false alarm과 같은 잘못된 결과를 생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주소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주소해석을 쉽게 하고 우편물 구분율을 높이기 위해 기 구현된 MLP 인식기의 출력값을 재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재추정값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인식기의 통계적 동작특성을 생성하는 방법과, 기존 MLP와 신뢰도 재추정기로서 동작하는 Subspace 인식기를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우체국에 설치된 우편물구분기로부터 획득한 문자영상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이 개별 문자 및 비문자에 대한 오류율과 기각률 측면에서 높은 신뢰도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서장 우편물 자동처리를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 (Postal Envelope Image Recognition System for Postal Automation)

  • 김호연;임길택;김두식;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29-4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 자동처리론 위한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을 소개한다. 우편영상 인식 시스템은 서장 우편물을 집배원이 배달하는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우편영상을 입력으로 받아 수신인 주소를 출력하는 인식 시스템을 말한다. 이 시스템은 수신인 주소영역 추출, 문자열 분리, 문자분할, 문자인식, 그리고 주소해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주소영역 추출을 위해서는 우편물 주소 기입 위치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문자열 분리와 문자분한을 위해서는 연결요소 분석과 수직런 분석을 이용하였다. 문자인식에는 신경망 기반 인식기를 이용하였으며, 주소해석을 위해서는 동적 프로그래밍 기법을 적용하였다. 각 모듈은 독립적으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인식 시스템의 성능 개선을 위한 모듈별 최적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에는 대전 유성우체국의 우편물 구분기를 이용하여 실제 우편물에서 수집한 인쇄 우편영상과 필기 우편영상을 이용하였으며, 비교적 우수한 인식 결과를 얻었다.

주소해석 및 검색을 위한 우편주소파일 설계 (Design of Postal Address File for Address Interpretation and Retrieval)

  • 장태우;김호연;임길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4-88
    • /
    • 2007
  • 우편물을 배달순서대로 정렬하는 순로구분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우편물에 표기된 주소를 인식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표준화된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필수적이다.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는 주소인식뿐만 아니라 우편물 정보처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용 가능하여 우편물 처리의 자동화와 정보화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우편주소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정보체계 표준을 위한 스키마 및 이에 따른 우편주소파일의 설계 방법과 설계된 스키마에 따른 주소해석 과정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소를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우편주소파일 설계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향후 순로구분 자동화를 위한 한글 주소인식 시스템과 고객 바코드 인증을 위한 주소 데이터베이스 매칭 및 주소검색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편주소파일을 설계하였다.

  • PDF

Human Recognition 방법을 적용한 DSTM 서버의 IPv4 주소 할당 인증 방법 (Authenticated IPv4 Address Allocation Using Human Recognition in DSTM Server)

  • 최재덕;김영한;권택정;정수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B호
    • /
    • pp.979-986
    • /
    • 2006
  • IPv6/IPv4 변환 기술 중 하나인 DSTM 기술은 DSTM 서버가 IPv4 노드와 통신을 원하는 IPv6 노드에게 IPv4 주소를 할당할 때 DoS 공격으로 인해 DSTM 서버의 IPv4 주소 pool 고갈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DSTM 서버의 IPv4 주소 할당 서버인 DHCP의 인증 방법으로 HRAA (Human Recognition Address Allocation) 기법을 제안하였다. HRAA는 사전에 공유된 정보륵 필요로 하는 단말의 mac 주소, 패스워드, 지연 인증 방식과는 달리 어떠한 정보도 공유할 필요가 없어 DSTM 도메인 내에서 언제 어디서나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서 인증값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DoS 공격을 통한 DSTM 서버의 IPv4 주소 pool 고갈 공격에 효과적이다.

한국어 주소 음성인식의 고속화를 위한 적응 프루닝 문턱치 알고리즘 (An Adaptive Pruning Threshold Algorithm for the Korean Address Speech Recognition)

  • 황철준;오세진;김범국;정호열;정현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55-62
    • /
    • 2001
  • 음성인식의 고속화를 위한 저자들에 의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탐색이 진행함에 따라 시간방향의 탐색공간 문턱치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인식률의 저하없이 인식속도를 개선시켰다. 이 방법은 탐색 공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는 있었으나 문턱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여러 번의 사전 실험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전 탐색구간에 대한 최대우도와 후보들의 우도를 이용하여 현재 탐색구간의 문턱치를 탐색이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구하는 적응 프루닝 문턱치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행정단위 시 (도), 구 (군), 동 (읍, 면), 번지를 구성하는 단어로 구성된 주소 인식 시스템에 적용하여 기존의 방법과 제안한 방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인식실험 결과, 연결단어 인식률 96.0%, 단어 인식률이 98.7%인 경우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고정 프루닝과 가변 프루닝 문턱치에 비하여 인식률 저하없이 각각 14.4%와 9.14%의 탐색 공간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어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ntelligent Digital Public Address System using Agent Based on Network

  • 김정숙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7-92
    • /
    • 2013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digital and integrated PA(Public Address) system with speech recognition and sensor connection based on IP with an ID using agent. It has facilities such as an external input, a microphone and a radio for a PA system and has speech recognition. If "fire" is spoken to the PA system then it can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and will broadcast information to the appropriate agency immediately. In addition to that, many sensor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nfrared, etc., can be connected to the PA system and can be integrated with the context awareness which contains many types of information about internal statuses using inference agent. Also, developed the digital integrated PA system will make it possible to broadcast the message to adaptable places using network IP based on IDs. Finally, the digital PA system is designed for operation from a PC, which makes installation and setting of operating parameters very simple and user-friendly. For implementation details, we implemented thread based concurrent processing for the events which occur concurrently from many sensors or users.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우편번호 인식 (Recognition of Zip-Code using Neural Network)

  • 이래경;김성신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365-365
    • /
    • 2000
  •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ystem to recognize the six digit postal number of mails using neural network. Our zip-code recognition system consists of a preprocessing procedure for the original captured image, a segmentation procedure for separating an address block area with a shape, and recognition procedure for the cognition of a postal number. we extract the feature vectors that are the input of a neural network for the recognition process based on an area optimizing and an image thinning processing. The neural network classifies the zip-code in the mail and the recognized zip-code is verified through the zip-code database.

  • PDF

DISTRIBUTIVE LATTICE POLYMORPHISMS ON REFLEXIVE GRAPHS

  • Siggers, Mark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1호
    • /
    • pp.81-105
    • /
    • 2018
  • In this paper we give two characterisations of the class of reflexive graphs admitting distributive lattice polymorphisms and use these characterisations to address the problem of recognition: we find a polynomial time algorithm to decide if a given reflexive graph G, in which no two vertices have the same neighbourhood, admits a distributive lattice polymorphism.

한국 우편주소 표기 표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 Postal Addressing Standards)

  • 왕승진;장태우;김호연;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3호
    • /
    • pp.703-708
    • /
    • 2004
  • 현재 우리나라의 인만 서장우편 물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월말이나 연말에 집중화되는 계절성과 순환성의 특성을 보인다. 그러나 우편물량의 증가와 월말 또는 연말에 집중화되는 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집배원의 인력 부족으로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업무 부하량 증가 등의 문제가 더욱 가시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우편물 처리와 집배원의 업무 경감 등을 위해 배달우편물 순로구분 시스템, 주소정보 시스템 도입 등의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나. 일반 소비자 또는 다량 우편물 발송업체 등의 주소 기재 방식이 일정하지 않고 표현 방법이 다양하여 자동화 기계 및 집배원 업무효율의 저하가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편물에 기입하는 주소의 표기 표준화를 통해 주소인식률과 집배원의 배달 구분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국내 우편주소 체계와 정보 구조를 살펴보고, 각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표준화 시 고려할 요소들을 표기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자동주소인식을 위해 다양한 형식의 결정을 위해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