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o smartphon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3초

대학생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 이복임;김선운;김유진;배자영;우성경;우해나;이소미;이수연;정미경;최고은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university students' physical and mental health. Methods: A survey of 320 university students in Ulsan was conducted from Nov. 26 to 28, 2012,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mount of time spent using smartphones,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OVA,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of the time spent using smartphones was $154.94{\pm}93.97$ minutes. Female university students tend to spend significantly longer time using smartphones than male university students (p<.01). Smartphone usage tim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tudents' score of smartphone addiction (r=.26,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to prevent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caused by smartphone usage.

  • PDF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메타분석 (Smart phone dependence Intervention Program meta-analysi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송화;이경은;김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44-152
    • /
    • 2019
  • 아동의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은 일상생활에 장애가 되며 아동의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스마트폰에 중독된 아동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국내에서 출간된 스마트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1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초등학생 스마트폰 중독감소를 유발하는 스마트폰 중독 집단프로그램의 전체 변인의 효과 크기는 g=-0.90로 나타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스마트폰 중독 감소 및 관련 변인들의 변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자발적인 참여 동기에서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연구결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개입은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전 스마트폰에 대한 예방 교육이 필요하고,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이 스마트폰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이 스마트폰에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IT 리터러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ssociation Between Screen Overuse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Choi, Yeonkyu;Lee, Dong Yun;Lee, Sangha;Park, Eun-Jin;Yoo, Hee Jeong;Shin, Yu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2권4호
    • /
    • pp.154-160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association between excessive exposure to screen media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31 parents of children aged 7-10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Kids Cohort for Understanding of Internet Addiction Risk Factors in Early Childhood (K-CURE)" study. Children's demographics, household media ownership, screen time,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were assessed using a parental questionnaire. Children's behavior/emotional problem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the of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score. Results: The total K-CBCL score in the screen overuse group was 51.18±9.55, significantly higher than 47.28±10.09 in the control group (t=2.14, p=0.05). For each subscale, the externalization score (51.65±10.14, 48.33±8.97, respectively; t=2.02, p<0.05), social problem score (55.4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and rule breaking behavior score (55.71±6.11, 53.24±5.19, respectively; t=2.27,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creen overuse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creen overuse group also had a significantly higher usage rate than the control group, even if limited to smartphones, not only on weekdays (3.56±2.08, 1.87±2.02, respectively; t=-4.597, p<0.001) but also weekends (1.62±0.74, 1.19±0.83, respectively; t=-3.14, p=0.003).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screen media overuse patterns in children in Korea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nd are related to higher risk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스마트폰 유형에 따른 문자 입력 시 뇌파 및 아래팔 근활성도 비교 (A Comparison of EEG and Forearms EMG Activity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 이형수;고경진;김진원;박송이;박지선;박진리;석혜리;양구름;양시은;윤광오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9-88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ropensities and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e forearms and brain wave depend on the type of smartphone when inputting text messages. Method: We used an EMG to measure the change in muscle activity by attaching pads to the four muscles in both forearms of all 16 participants. We simultaneously conducted EEG measurements by observing the changes in alpha and beta waves recorded from electrode attached to both ears and the forehead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had to input a given text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martphones for ten minutes each. Result: The comparison of the EMG when inputting text involved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Pad3 was highest for muscle activity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iPhone4. For EEG measurement, 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lso used and the results showed iPhone4 was higest followed by GALAXY Note2 and finally iPad3 for EEG stress score. Conclusion: The results are thought to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mart phone users.

스마트폰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Smartphone Users)

  • 임순택;이동건;이상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9-138
    • /
    • 2013
  •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정적 측면들이 쟁점화 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첨단 기술은 테크노스트레스로 이어지며 잠시라도 손에서 스마트폰이 멀어지면 불안하고 당황하여 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디지털 중독 현상이 사회문제로 비화되고, 이러한 디지털 중독을 해결 하려는 디지털 디톡스와 첨단 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테크노스트레스가 쟁점화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내적 요인들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테크노스트레스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디지털 디톡스와 지각된 유용성, 플로우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정의하는 이론적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설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테크노스트레스, 디지털 디톡스가 스마트폰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였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other's original family experience in relation to mother's addiction tendency of smartphone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부은순;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74-481
    • /
    • 2018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유아를 보내는 어머니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뒤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 분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 18.0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하위요인 유능성과 지도력, 애정표현과는 정적상관을 불안정성과 방해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한 결과 경쟁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은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impacts on school life of a occupational therapy student use of smartphone

  • Lee, Sun-Myung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89-129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ccupational therapy at M college in Changwon and the impact of smart phone use on the school life of college students and to help them find ways to further develop in the future. Method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152 total questions with 15 interpersonal questions, 23 problem solving skills, 43 self-efficacy, 16 class participation scale, and 55 self-directed learning scale. It was conducted to first and second graders of M college and conducted a survey through the corresponding academic year from March 26, 2019 to March 29, 2019 to retrieve 120 questionnaires and use them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20.0. Results: Studies show that "school life satisfaction" is usually the highest at 53 percent. The "smartphone user motivation" was the highest with 50.8 percent, while the "most frequently used feature on smartphones" was the highest with 57.5 percent on SNS. Satisfaction after using a smartphone was the highest with 49.2 percent, while 41.7 percent said it would be easier to acquire and utilize information in the areas of satisfaction. Conclusion: Smartphone addi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blem-solving skills,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self-control learning items are not only affected by one part, but also by the other.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 황경혜;유양숙;조옥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65-375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과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5월부터 6월까지 일 대학의 대학생들 중 스마트폰 사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에 대해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불완전한 경우를 제외한 52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에 따른 상지통증,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차이는 $x^2$와 t-test로 분석하였고, 스마트폰 중독사용, 불안, 우울 및 대인관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독사용군은 62명(11.8%)이었다. 여자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는 남자 대학생에 비해 심각했으며, 하루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긴 대상자가 스마트폰 중독사용 정도가 높았다. 스마트폰 중독사용군이 정상사용군에 비해 어깨통증 호소가 많았으나 다른 부위의 상지 통증의 차이는 없었다. 상태불안, 특성불안, 우울 모두 중독사용군이 정상사용군보다 높았다.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 정도는 높았고,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는 좋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사용 고위험군을 조기에 선별하고, 이들을 위한 바른 자세, 다양한스트레스 대처방법, 긍정적인 정신건강 및 효율적인 대인관계 향상 등의 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보행안전을 위한 앱서비스 'Smombie Safe Go' UI 연구 (User Interface for the 'Smombie Safe Go' App for Walking Safety)

  • 차오셴웨;김세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90-198
    • /
    • 2020
  •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생활에 편리를 가져왔으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다양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중 생명과 직결되는 대표적인 위험한 사고가 보행 중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 중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이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Smombie Safe Go' UI(user interface)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조사와 사용자 관찰을 통해 보행자 여정맵을 작성하고 사용자 보행 중 안전에 필요한 주요 기능을 도출하였는데, 투명한 인터페이스를 비롯하여 장애물 위치 알림, 위험에 대한 주의와 경고 기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사용자 관찰을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보행 시에 맞닥뜨리는 위험상황을 세 가지로 - ① 전방에 장애물이 나타날 경우, ②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있는 경우, ③ 횡단보도에 신호등이 없는 경우- 구분하였다. 위험상황별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각 상황에서 위험을 경고하는 앱서비스 flow와 UI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 서비스 구현을 위해 V2N(Vehicle to Network), AI 3D 물체인식기술, 비콘(Beacon) 등의 기술들을 검토하고 활용방식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연구의 심화를 통해, 'Smombie Safe Go'는 일반 보행자 뿐 만 아니라, 시각 장애인들에게 안전한 보행을 지원할 수 있는 앱서비스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excessive smartphone use on attention deficit, learning environment,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in health college students)

  • 임인철;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주의력결핍, 학습환경과 학습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7년 3월 6일부터 6월 12일까지 부산광역시 보건계열 2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사용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과다사용정도, 주의력결핍, 학습환경, 학업지연행동 정도는 스마트폰의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중독 인식과 수업시간 개인사용 경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주의력결핍(r=0.870, p<0.01), 학습환경(r=0.812, p<0.01), 학업지연행동(r=0.772, p<0.01)과 정적상관을 보였고, 주의력결핍은 학습환경(r=0.918, p<0.01), 학업지연행동(r=0.798,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습환경은 학업지연행동(r=0.777, p<0.01)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미치는 영향요인은 주의력결핍(p<0.001), 학업지연행동(p<0.01)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으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건강한 학습환경 조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