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endenc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9초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서의 내현적 자기애에 관한 연구 : 익명성, 실재감, 상호작용성, 성취 동기와의 연관 (A Study of Covert Narcissism i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 Relationship to Anonymity, Presence, Interactiv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최원희;손정우;김영랑;이상익;신철진;김시경;주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103-111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compared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y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o normal adolescents. Further,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propensities and anonymity in cyberspace, presence feeling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Methods : Mal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ies (Addiction Tendency Group, N=27) and normal students (Control Group, N=29) were recruited. The scale of internet use, Covert Narcissism Scal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of anonymity in cyberspac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d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were administered. A comparison of the average score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 1)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al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both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and that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Further,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2) In the Addiction Tendency Group, the scores on several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n the scale of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anonymity in cyberspace, and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several subscales on the Covert Narcissism Scale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n the scale of interactivity in internet games.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n the subscales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and the scores of either presence feeling in internet games or anonymity in cyberspac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s with a tendency to be addicted to the internet exhibited higher covert narcissistic propensities than normal adolescents and that the covert narcissistic tendencies were related with presence feeling in cyber games as well as with anonymity in cyberspace.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SNS addiction,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 권명진;김지현;정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05-41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beta}=.265$, p<.001), SNS 사용시간(${\beta}=.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의 관계: 외로움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NS Addiction Tendency,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Loneliness)

  • 고민정;하정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00-310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심리적 통제, SNS중독경향성, 스마트폰 게임중독 간 관계를 살펴보고, 남녀중학생의 외로움이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 및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A지역 중학교의 남녀청소년 259명을 대상으로(남학생 134명, 여학생 125명)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남학생의 경우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여학생의 경우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이 정적상관을 보인 반면,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게임중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가 남녀중학생 모두 유의하게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외로움의 수준에 따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중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중학생에게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한계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lastic Surgery Addiction Tendency Among Undergraduate Women)

  • 김영아;정향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21-6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미용성형 중독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여대생 223명을 단순무작위 표집하여 성형수술 수용성,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척도, 신체-자아에 대한 다차원 설문지, 자아존중감을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5월에 이루어졌고 서술적 통계, chi-square test, 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성형중독 성향과 관련된 각각의 변수를 안정군, 긍정적기대군, 중독위험군, 중독군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정군 21.1%, 긍정적기대군 35.0%, 중독위험군 32.7%, 중독군 11.2%가 확인되었고, 전체의 45.7%는 성형수술의 개인적인 경험이 있었다. 미용성형의 경험, 높은 성형수술 수용성, 높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높은 신체상(외모평가)은 미용성형 중독성향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일반인들을 위한 성형중독 예방, 조기 발견 및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용성형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 가이드라인의 도입이 필요하고, 조기성형수술, 사회문화적 영향, 신체상 변형의 예방이 중요하다고 제안한다.

성인 남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환자에서 인터넷 중독 성향에 관여하는 특성 (Characteristics Involved i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Adult Male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노동현;김준원;민경준;이영식;김붕년;정재훈;안지영;한덕현
    • 신경정신의학
    • /
    • 제53권3호
    • /
    • pp.154-161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depression, anxiety, attention, and impulsivity in adult male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Methods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181 (121 patients and 60 healthy control subjects) adult males older than 19 years of age in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and Gongju National Hospital. Subjects were divided according to ADHD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I), pure adults with ADHD (AD), and healthy control subjects (HC). All groups completed the Adult ADHD Scale (AADHD), Wender-Utah ADHD Rating Scale (WUADH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the Korean Version of Young Internet Addiction Scale (YIAS-K),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and Temperament Character Inventory-Revised Short version for identific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Results AI groups were found to have higher AADHD, WUADHD, BDI, YIAS-K, and Novelty Seeking scores, compared to the AD and HC groups. The Cooperativeness score of the AI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D group and HC group. The BAI and BIS scores of the AI group and A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HC group. The Self-Directedness scores of the AI group and AD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C group. YIAS-K scores were partially related to BDI scores in the AI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n association of higher score of BDI with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 adult patients with ADHD. Management of temperament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xiety, attention, and impulsivity may be important for adults with ADHD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 (SNS Addiction Tendency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61-5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병리적 자기애, 스트레스 및 사회적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 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385명의 대학생으로 부터 수집된 자료는 t test, ANOVA, Sheffe's test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단계별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SNS 중독경향성의 수준은 1.78점이었고, 병리적 자기애는 2.45점 이었고, 스트레스는 2.75점 그리고 사회적 지지정도는 3.26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중독경향성 차이는, 성별(F=26.525, p<.001), SNS사용시간(F=24.938, p<.001), SNS과다사용 여부(F=72.083, p<.001), SNS사용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유무(F=13.075, p<.001), 가족의 경제적 수준(F=3.409, p=.03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중독경향성은 병리적 자기애, 스트레스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SNS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병리적 자기애(${\beta}=.335$, p<.001), SNS사용시간(${\beta}=.222$, p<.001), SNS과다사용 여부(${\beta}=-.262$, p<.001), 성별(${\beta}=.159$, p<.001), 사회적 지지(${\beta}=-.125$, p=.002), 학교성적(${\beta}=.088$, p<.029)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대상자의 SNS중독경향성을 39.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을 위한 중재에서 이런 변수들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Smartphone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 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15-922
    • /
    • 2020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이용성향과 중독에 관한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로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9년 04월21일부터 05월31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33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00부를 SPSS/PC Ver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정보, 여가, 편의성으로 하였으며, 중독요인으로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 내성, 금단으로 총 37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대, 학력, 근무기관,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스마트폰 관련 특성으로는 월평균요금, 사용시간, SNS사용시간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은 3.10±.55점으로 평균정도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2.34±.62점으로 평균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 및 중독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10.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사선사의 스마트폰 이용성향에 따른 중독요인을 분석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행복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on SNS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 박진웅;권명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53-46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행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정도를 파악하여 SNS 중독 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2017년 3-4월에 시행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5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SNS 중독 경향은 SNS 하루 이용시간(F=9.13, p<.001)과 주당 이용 일 수(F=4.06, p=.018)가 많을수록, 이용 장소는 가정(F=3.25, p=.040)에서 높게 나타났다. 2) SNS 중독은 학업탄력성(r=-.17, p=.005), 사회적 지지(r=-.20,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SNS 중독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SNS 하루 이용시간(${\beta}=4.40$)과 사회적 지지(${\beta}=-0.28$)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11.2%이었다(F=4.08, p<.001). 그러므로 대학생의 SNS 중독 경향성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아동의 개인, 가족 변인 및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Aggression and the Variables a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Adjustment)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1-44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aggression and the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individual variables included age, self-esteem, and game-addiction tendency. Family variables included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child-abuse, parents' marital conflict. As for school adjustment, teacher relations, peer relations, classroom and rule adjustment in school were examined. The sample consisted of 642 children of the fifth and sixth grade in Busan. Statistics and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two-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Several major resul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First, boys' aggression was higher than girls'. But no age difference was found in children's aggression. Second, game-addiction tend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aggression. In addition, self-estee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ys' aggression. Third,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aggression. Child abu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oys' aggression, and parents' marital conflict with girls' aggression. Fourth, teacher relations, peer relations, classroom and rule adjustment in schoo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ys' aggression. In addition, rule adjustment in schoo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irls' aggression. Fifth, game-addiction tendency, rule adjustment in school, self-esteem,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and teacher relations in school we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game-addiction tendency and rule adjustment in school were import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aggression.

  • PDF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n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a mediating effect of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

  • 윤은초;김정민;한아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647-6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더불어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415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부정정서의 회피,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착취/자기중심성이었으며, 몰입 및 내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은 과민/취약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 염려 완벽주의는 내현적 자기애와 몰입 및 내성, 가상세계지향성 및 금단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반면, 내현적 자기애와 조절실패 및 일상생활장애, 부정정서의 회피 간의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