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Preven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Hig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using Local Children's Centers)

  • 도경진;이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51-60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하는 31개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교 4, 5, 6학년 29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5월 13일부터 2019년 6월 1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𝑥2-test,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중독위험군이 16%, 일반군이 84.0%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평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95% CI:1.263~827.849, p=.036), 스마트폰 주요 사용 시간대(95% CI:1.028~29.574, p=.046)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 및 사용 시간대를 파악하여 예방교육이나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 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20-431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스트레스, 우울 및 온라인 쇼핑중독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패널을 보유한 설문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성인 336명의 자료는 회귀분석에 기반한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온라인 쇼핑중독 경향이 증가하였고,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코로나19 감염병이 장기화될수록 온라인 쇼핑과 같은 행위중독 예방 및 정신건강 관리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성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부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 수준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between Average Internet Users and Excessive Internet Us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 한선희;오복창;장인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6-74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average Internet users and excessive Internet user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465 middle school students from June 7th to 17th, 2002, based on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included were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reconstructed by the author based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Walker, Sechrist & Pender, 1987) and Internet addiction test translated by Center for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Counseling based on Young's test. Data were analyzed with N, %, x2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average Internet users and excessive Internet users.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diet behavior(p=.030), even 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general health promoting behaviors(p=.109). 3.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rnet use and diet behavior (r=-.193, p=.000). Therefore, average Internet users had more desirable diet behavior than excessive Internet users. Conclusion: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s part of a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he school health education curriculum to rear students' responsibility on their health behaviors.

  • PDF

Psychological Problems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Cigarette Smoking Behavi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Malaysia

  • Saravanan, Coumaravelou;Heidhy, Im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629-7634
    • /
    • 2014
  • Background: Cigarette smokers have their own motivation and justification to smoke. For example, smoking reduces their stress or enhances their pleasu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 prevalence of cigarette smokers among undergraduates in Malaysia, (b) gender differences in nicotine dependence among current smokers, (c)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based on the status of smoking cigarettes (current, former and non-smokers) and (d) extent to which precipitating factors (tension reduction, addiction, automatism, handling, social interaction, pleasure, and stimulation) predict the smoking behavior among current smokers.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780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from a private university in Kuala Lumpur and Selangor state in Malaysia. The Depression, Stress and Anxiety Scale, Modified Reason for Smoking Scale and Fagerstrom Nicotine Dependence Test were used to measure psychological problems,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and nicotine dependency among current smoke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14.7%(n=106) of the students were smokers. Current smokers exhibited more psychological problem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mpared to former and non-smokers. Addiction, tension reduction, pleasure and automatism were predictors of smoking behavior among the current smoking students. Step 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moking behavior was highly predicted by nicotine dependency or addiction. Smoking students were motivated to smoke cigarettes as they believed that it reduced their tension and enhance pleasure. Conclusions: Hence, there is a need for health promotion and anti-tobacco prevention as cigarette smokers experience more psychological problems. Nicotine dependency or addition was one of the major causes for smoking behavior among the student population in Malaysia.

생활기술훈련 기반 학교 보건교육이 중학생의 건강지식, 태도, 실천 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hool Health Education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 이은영;김정남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1-21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LST) on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Methods: For this study, 961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Korea, were selected. The students received health education one day a week for 7 weeks from September 1, 2014 to October 25, 2014. Before and after the whole education program, the students filled out questionnaires surveying on their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Excluding inappropriate data, the data of 843 students was analyzed through Paired t-test. Result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based on L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cores for knowledge about drinking, body image distortion, good eating habits, right usage of smartphone,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05).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cores for attitude toward smoking, drug, good eating habits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scores for behavior regarding drug, good eating habits, right usage of smartphone and prevention of smartphone addiction (p<.05). Conclusion: Health education based on life skill training was especial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ubjects' scores for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 Therefore, various and systemic LS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nd their effects should be evaluated in further studies.

초등학생의 흡연 지식, 태도 및 경험 (The Study on Elementary Students's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of Smoking)

  • 김일옥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5-126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attitude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students on smoking. Metho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by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31 students who are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 1) 67.9% of subjects have smoking family members, 91.9% of subjects don't have good relation to their parents, 78.6% of subjects have discontented school life and 4.6% of subjects are smoking now. 2) 37.9% of subjects hardly ever experienced education of substance use. There are only 10~17% of subjects have experienced education of substance use among 3~4th grade students. 3) There is highly right answer rate in "relation between pregnant women and fetus(91.6)", "addiction of smoking((85.6%)" and "earlier smoking stronger addiction(72.9%)". 4) The attitude of smoking is mostly negative, and 3.1% of subjects have future smoking plan. 5) The subjects who have smoking parents more have future smoking plan(t=-2.28, p=.02), more positive attitude for smoking(t=-4.42, p=.00). Conclusion: There is needed systematic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which fits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not later than 3rd. grade, and continual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adulthood.

  • PDF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조규영;김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632-1640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3년 4월 29일부터 5월 16일까지 대학생 354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고위험 사용자군은 6.2%, 잠재적위험 사용자군은 21.2%로 스마트폰 중독률이 27.4%로 나타났다.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에는 성별, 주중 및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 유무,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 유무, 주요변수에서는 사회성, 충동성, SNS 중독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일수록(${\beta}=0.149$, p<.001), 주중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292$, p=.001), 주말 일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beta}=0.390$,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손목통증이 있을수록(${\beta}=0.148$, p<.001), 스마트폰 사용 중 사고가 있을수록(${\beta}=0.133$, p=.002), 사회성이 낮을수록(${\beta}=-0.099$, p=.029), 충동성이 높을수록(${\beta}=0.211$, p<.001), SNS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beta}=0.376$, p<.001)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모형 설명력은 43.3%였다. 따라서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영향 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Adul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 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5-317
    • /
    • 2014
  • 본 연구는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특성 및 인터넷 이용 특성과 스마트폰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를 발굴하고, 교육, 예방 및 상담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도의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터넷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자의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SNS 이용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39세 성인 중에 매일~최근 1주일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4,787명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 나이, 교육정도, 직업종류, 직업유무에서 인터넷중독자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 구성 및 생활 형태별 특성에서는 결혼과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이용특성에서 인터넷이용시간, 인터넷 최초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에서 중독자집단과 비중독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특성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인식,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시간의 변화와 SNS 과다사용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인터넷 중독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net addiction)

  • 오익수;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29-537
    • /
    • 2009
  • 본 연구는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의 효과를 메타 분석한 것이다. 주제어 '인터넷', '중독', '상담', '프로그램'의 결합으로 국가전자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등의 홈페이지에서 인터넷 검색을 하여, 메타분석에 적합한 54 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메타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편의 연구의 평균 효과크기는 1.89 였으며, 전체적으로 인터넷 중독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인터넷중독 개선에 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이론적 배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심리교육'을 제외한 모든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1.26이상이었다. 셋째, 실험대상인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집단간 효과크기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총회기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7회기 이상일 때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실험집단원수가 14명이하일 때 만족할만한 효과크기를 얻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대학생들의 불안정애착, 우울, 삶의 만족도, 성별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in University Students)

  • 김은영;김은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95-3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정애착, 우울, 삶의 만족도가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대전, 경북 지역의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애착유형, 우울, 삶의 만족도, SNS 중독경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대학생 31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로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를 제외한, 애착불안(${\beta}=.32$, p<.001), 성별의 더미변수인 남자(${\beta}=-.25$, p<.001), 우울(${\beta}=.17$, p=.003)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총 26%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SNS 중독 경향성의 이해와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