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Contents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9초

Adaptive Output Feedback Controllers for Feedback Passive Nonlinear Systems

  • Son, Young I.;Shim, Hyungbo;Shim, Nam H.;Seo, Jin H.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59.3-59
    • /
    • 2002
  • $\textbullet$ Contents 1: Preliminaries on passivity and feedback passivity $\textbullet$ Contents 2: Assumptions in the paper $\textbullet$ Contents 3: Adaptive output feedback controllers $\textbullet$ Contents 4: Adaptive disturbance attenuation $\textbullet$ Contents 5: Adaptive passification $\textbullet$ Contents 6: An illustrative numerical example

  • PDF

An Indirect Decoupled Adaptive Fuzzy Sliding-Mode Control through width adaptation

  • Kim, Dowoo;Yang, Haiwon;Han, Hongsuc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62.4-62
    • /
    • 2002
  • $\textbullet$ Contents 1. Introduction $\textbullet$ Contents 2. System Description $\textbullet$ Contents 3. Decoupled Sliding Mde Control $\textbullet$ Contents 4. Decoupled Adaptive Fuzzy Sliding Mode Control through width adaptation $\textbullet$ Contents 5. Simulation Result $\textbullet$ Contents 6. Conclusion

  • PDF

A Robust Direct Adaptive Controller Design for Nonlinear Systems using High-Order Neural Networks

  • Lee, Hyo-Seop;Cheong, Jin-Hyuk;Rhee, Hyoung-Chan;Yang, Hai-W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64.2-64
    • /
    • 2002
  • Contents 1. Introduction $\textbullet$ Contents 2. System description $\textbullet$ Contents 3. Desired feedback control and function approximation $\textbullet$ Contents 4. Robust adaptive controller design $\textbullet$ Contents 5. Simulation study $\textbullet$ Contents 6. Conclusion

  • PDF

Adaptive Output Feedback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swith Uncertain Rotor Resistance and Load Torque

  • Hwang, Young-Ho;Yang, Hai-Won;Kim, Hong-Pil;Kim, Hyung-Jo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년도 ICCAS
    • /
    • pp.64.4-64
    • /
    • 2002
  • $\textbullet$ Contents 1 Introduction $\textbullet$ Contents 2 Problem Statement $\textbullet$ Contents 3 Adaptive Output Feedback Control Design $\textbullet$ Contents 4 Stability analysis $\textbullet$ Contents 5 Simulation Result $\textbullet$ Contents 6 Conclusions

  • PDF

환경 적응적 3D 깊이 재구성 방법 (A New 3D Depth Reconstruction Method Adaptive to Various Environments)

  • 김정언;강행봉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1-279
    • /
    • 2016
  •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HD (High Definition) and UHD (Ultra High Definition) technology allowed the growth of 3D contents market. Yet the majority of the 3D contents in the market are strictly for 6.5 cm inter-ocular distance, causing various visual discomforts for the viewers who have different inter-ocular distance. Moreover, because the 3D contents are created for a fixed viewing distance, the change of the viewing distances when watching 3D contents can also cause visual conflicts. To solve this problem, we devised technique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viewer watching 3D cont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distance, inter-ocular distance, and perceived depth, we created an adaptive content viewing system that reflects the viewer's environment to minimize any conflicts in watching 3D contents. From our experiments,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our adaptive content viewing system was reasonable.

An Exploration of Players' Aggression: Role of Game and Life Self-Efficacy and Adaptive Game Use Tendency

  • Lee, Hye Rim;Jeong, Eui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4호
    • /
    • pp.7-14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game usage would alleviate players' aggressive tendencies. Other game-related variables, psychological care factors (adaptive game use tendency, game self-efficacy, and life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problem factors (loneliness and depression) were controlled for determination of the effect. We drew on the catharsis theory from therapeutic psychology literature to explain how game usage contributes to the alleviation of aggressive tendencies. Over two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918 participants onli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gaming ac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ggression. Higher levels of game and life self-efficacy, as well as adaptive game use tendencies, decreased the degree of aggression. Likewise, higher levels of loneliness and depression reduced the degree of aggressio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해 적응행동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학교 교사 및 장애학생 교육기관 전문가들의 AHP설문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적응행동기술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어떠한 적응행동기술 분야가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 앱개발 전문가들의 토론과 설문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에 적합하고 그 효과가 높은 적응행동 기술은 언어이해, 시간이행 및 엄수, 이동기술, 옷입기, 개인위생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당국은 단편적인 교육용 스마트 콘텐츠 개발보다는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특성 및 특수교사나 부모의 요구에 맞는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Service adaptive Network Architecture(SaNA)을 활용한 콘텐츠 전송 시스템 (Effective Contents Delivery System Using Service Adaptive Network Architecture(SaNA))

  • 공석환;이재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B권6호
    • /
    • pp.406-413
    • /
    • 2014
  • 최근 몇 년 사이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디바이스가 다양해지는 한편 디바이스가 콘텐츠의 사용자가 아닌 제공자가 되면서 콘텐츠 트래픽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콘텐츠 트래픽이 기존과는 다른 패턴을 갖기 때문에, 효율적인 콘텐츠 전송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대표적 콘텐츠 전송 서비스 기술인 CCN(Contents Centric Network)은 기존의 기술 구조와 상이한 혁신적인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네트워크와의 호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CCN과 기존 망과의 연동 시 효율적 콘텐츠 전송을 위한 SaNA(Software adaptive Network Architecture) 구조를 제안한다. 이는 미래 인터넷의 핵심 기술 분야인 CCN 과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술(Software Defined Networking : SDN) 을 활용하여 기존 망에 점진적으로 적용해 나가기 위한 융합 시스템이다. SaNA를 통해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경우, 기존 네트워크 대비 네트워크 대역폭 효율성을 두 배로 높일 수 있고, 콘텐츠 전송 시간도 약 1.7 배 단축시킬 수 있다.

적응 등화기를 이용한 적응 OFDM 시스템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daptive OFDM Systems using Adaptive Equalizer)

  • 강희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55-360
    • /
    • 2011
  • 본 논문에서 OFDM 시스템의 성능분석을 Matlab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적응 OFDM 시스템에 채널 추정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환경에서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추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적응 등화기를 적용한 적응 OFDM 시스템의 성능을 BER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채널상태에 따라 가변을 취하는 적응변조 OFDM 시스템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에 비해 (BER=$10^{-1}$)를 기준으로 약 7dB 성능의 이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속 멀티미디어 무선통신 채널환경에서 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제안한 적응 시스템이 효율적임을 확인 하였다.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적응적 학습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Personalized Learning)

  • 김명회;이현태;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8-1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특성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학습자 특성에 따른 적응형 학습 요소를 도출하고, 콘텐츠 순서를 고려하여 학습 콘텐츠의 제작과 학습 관리 시스템의 개발 시 학습 내용과 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성을 높이고 개별적인 학습자 특성에 알맞게 지능적으로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관리 로직을 설계한다. 적응형 학습 관리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기존의 학습 관리 시스템에 적응형 학습 지원 기능을 포함하여 시스템 기능 모델을 설계한다. 또한, 설계된 기능모델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구현 구조를 제시하고 ADL의 SCORM 기반의 런타임 환경에서 적응형 학습 관리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