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college life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5초

혈액종양이 있는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적응:이탈되어진 삶에서 자아통합 해나가기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Hematologic : Self-integration from Deviated Life)

  • 손선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282-290
    • /
    • 2009
  •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daptation experience process of adolesc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Methods: The Grounded Theory Method, developed by Strauss & Corbin (1998), was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adolescents with cance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occurred concurrently. Theoretical sampling technique was used until the data reached saturation. Results: "A deviated life" was verified as the central phenomenon for adolescents with cancer. The adaptation experience process was divided into 3 steps: "Self-confusion", "Reinterpretation", and "Regeneration of self". Through these 3 steps, the adolesc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fitted a new life by self-integr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frame for individualized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in helping with the psycho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 PDF

코로나19(COVID-19) 환경 속에서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In the COVID-19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Adaption to College Life of Freshmen at K-University)

  • 김혜옥;윤종식;김진현;조해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K대학 신입생의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도 소재 K대학교 대학신입생 120명이고, 온라인 자가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4월 1일부터 2021년 5월 10일까지이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그룹간의 차이는 독립 t-test, 일원배치 ANOVA로 분석하였다. 사회적지지는 7점 만점에 평균 5.35±0.99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35±0.34점, 대학생활적응은 9점 만점에 평균 4.93±0.63점 이었다. 대상자들의 대학생활적응과 회복탄력성(r=.380, p<.000), 사회적 지지와 회복탄력성(r=.372, p<.000)이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결과를 통하여 코로나19(COVID-19)와 같은 위기 상황 속에서도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사회적지지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는 바이다.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and Mental Health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백선숙;조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77-85
    • /
    • 2016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과 정신건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1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197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의 차이는 성별, 학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의 차이는 성별이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수준의 차이는 성별, 건강상태, 스트레스, 삶의 만족도 등이었다. 다섯째, 대학생활 적응과 정신건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정신건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우선적으로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상담과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앞으로 다각적인 적응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조손가족 조모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ouble ABCX 가족스트레스 모델을 기초로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 황미진;정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4호
    • /
    • pp.1-22
    • /
    • 2014
  •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Double ABCX family stress model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and the major factors examined in the study included a pile-up of stressors, family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appraisal of situation(redefinition of nurturing), and adaptation(depressive mood and happiness).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 with 213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utilizing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a pile-up of stressors, the family resources(i.e., contact and emotional solidarity with grandchildren's parents), and the redefinition of nurturing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grandmother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t was also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indirect influence on grandmothers'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redefinition of nurturing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adaptation, followed by a pile-up stressor, and then the family resources.

한의과대학 예과생의 진로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of pre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 진성미;박선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7-61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explor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of premedical students in Korean Medicine college and those relationships with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vocational value. Methods : A total of 140 pre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e for career choice, specialty preference after college gradu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Also they responded in the web-survey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and vocational value inventory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Eight items of motive for career choice were collected from the pilot study from 70 premedical students. Results : 'Job stability' was the top motive for career choice(25.5%). The average college life adaptation score was relatively low(13.7) : higher in male(14.3) and the early career decision group(14.2) than female (12.9) and late decision group(12.9),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9 and p=0.036, respectively) in the subgroup analyses. The result of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 showed that 'self-knowledge' (79.3) and 'confidence on career decision' (78.6) were the two highest, which is similar to the result of the vocational value inventory ('fulfilling abilities' and 'self-improvement'). More characteristics were also described.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Medicine premedical students have high vocational ident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specified studies for identifying 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for Korean Medica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desig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medical education programs.

요양원 입소노인의 일상생활 적응경험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Adaptation Experience on Nursing Home Admission among Senior Patients)

  • 정재연;김영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8-19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nstituents and structure of adaptation experiences in their everyday life among senior patients of a nursing home in order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data for the satisfaction and the improvement of life of senior patients by appreciating the nature of their adaptational experi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ive female and one male senior patients who were 65-years old or older and admitted at a nursing home in a metropolitan city.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Results: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three constituents have been found out: retrospective focus based on the meaning of admission, expanding a view and facing up to the reality, reconstructing views about the meaning of life and the world. Conclusion: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senior in facilities, nurses not only play a key role in caring for seniors but also in managing their maladaptation.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both the seni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s well as for the nurses, by presenting the data about senior patients' adaptational experiences of nursing home admission.

  • PDF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과 사전 교육 경험에 따른 조리전공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도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을 중심으로 - (Culinary Art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a Culinary Laboratory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 Focus on the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이동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자의 조리 실습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입학 전 교육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충청권에 위치한 대학교 3곳의 조리전공자를 대상으로 총 20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이 중 191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남학생과 고학년 전공자,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학 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 비해 대학 생활 적응도가 부분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만족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대학 생활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효과의 분석결과는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와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 정서적 적응 및 사회적 적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래 지향적 교수-학습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전공자의 만족도가 높고 그 기능을 충분히 다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리 교육 환경이 계획되어야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 Focusing 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영;박성은;박민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18-229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스마트폰 중독 중재와 대학생활 적응 교육 및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 4년제 일 간호대학의 1, 2학년생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은 고위험군 47명, 잠재적 위험군 29명, 일반군 97명으로 나타났고, 스마트폰 중독군별 대학생활 적응 평균은 중독수준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스마트폰 중독군별 사회적지지 평균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r=-.3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지지(r=.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스마트폰 중독(r=-.17, p=.02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는 낮게 나타났으며(F=5.29, p=.023), 대학생활적응도 낮게 나타났다(F=20.01, p<.001). 스마트폰 중독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1), 이 때 스마트폰 중독의 ${\beta}$값 -.264(B값 -.178)이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았을 때의 ${\beta}$값 -.327(B값 -.221) 보다 작아 사회적지지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oble test 결과에서 사회적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였다(Z=-2.11, p=.034). 이에 대한 설명력은 21.5%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지지 관련 대학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대학 생활적응과 성별 및 성 역할 정체감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aptation, Sex and Gender Role Identity)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371-38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적응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142명과 여학생 146명이다. 연구도구는 대학생활 적응 척도와 성역할 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응의 수준과 자원에 대한 성별의 영향은 유의하나 성 역할 정체감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었을 때에 설명력이 의미 있는 수준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 수준에 대한 남성성과 여성성의 영향은 유사하였으나 적응 자원에서는 남성성이 여성성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남학생은 남성성이, 여학생은 여성성이 매개하여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과 정체감에 따라 지도방향이 달라야 함을 제안하며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정신의 중요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