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liver injury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2초

천연보존료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저장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xed Scutellaria baicalensis Extracts as Natural Preservative on Efficacy and Storage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

  • 이희섭;이성진;손요한;유희종;조홍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17
    • /
    • 2017
  • 본 연구는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대해 천연보존료인 복합 황금추출물이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미치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복합 황금추출물은 $H_2O_2$에 의한 산화적 손상에 대한 유산균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보호 효능에 있어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acetaminophen에 의한 급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시료에 첨가된 복합 황금추출물은 유산균 발효 마늘추출물의 간 손상 억제 효능에 있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 고찰할 때 복합황금추출물은 기능성 원료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액상제형 건강기능성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천연보존제로 판단되었다.

새로운 번데기 동충하초의 수집, 동정 및 간기능에 미치는 효과 (Collection, Identification and Hepatic Effect of Native Cordyceps militaris)

  • 이기원;남병혁;조월순;오수정;강은영;최영;이재윤;천상철;정민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4
    • /
    • 2006
  • 수집, 동정된 새로운 동충하초의 간에 관한 기전연구 및 기능향상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번데기 동충하초를 버섯채집회 등을 통해서 수집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유전자은행에 등록된 번데기 동충하초와 계통발생학적인 비교를 통해 동일종으로 확인하였다. 추출조건 및 방법을 다양화시켜 열수 및 유기용매 추출법으로부터 얻어진 분획중에서 간관련 효소활성 시험을 통해 효능이 있는 추출물 분획을 찾아내고, 이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의 대사효소인 ADH, ALDH의 활성증가가 시판되고 있는 의약품, 천연차, 혼합음료, 드링크 등의 6종류의 제품과 비교 실험하여 $500\;{\mu}g/m{\ell}$의 동충하초 추출물이 월등한 활성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체에 투여하여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해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 및 대사가 촉진되고 정상상태로 빠르게 회복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설치류 단회독성시험 및 유전독성시험을 통하여 시험물질의 무독성을 확인하였고, 간을 손상물질인 사염화탄소를 투여하여 급성손상에 대한 혈액생화학변화(GOT, GPT) 및 조직에서 동충하초 추출물에 의한 보호 및 회복작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데기 동충하초의 추출물이 독성물질에 대한 급성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저독성의 오랜기간 노출로 인한 만성간장해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지방간 등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흉술이 필요했던 다발성 외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Multiple Organ Injuries Who Required Open thoracotomy)

  • 이성광;정성운;김병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8호
    • /
    • pp.804-810
    • /
    • 1998
  • 배경: 다발성 외상환자는 교통사고, 산업재해, 우발적사고, 폭력 등의 증가로 최근 증가 추세에 있다. 다발성 외상은 심장, 폐, 대혈관 등의 흉부외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는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흉부외상은 보존적 치료와 흉관 삽관술과 같은 간단한 외과적 시술 만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보이지만 적절한 시기에 개흉술을 시행함으로써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경우가 있어 그 적응증 이나 시기의 판단에 있어서 경험있는 흉부외과 의사의 역할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저자는 다발성 외상 후 흉부개흉술이 필요했던 70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35.6세 남녀비는 3.4:1이었다. 손상의 기전은 주로 교통사고, 추락사고, 자상이었다. 결과: 흉부손상의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혈흉이며, 두 번째는 횡격막 파열이었다. 환자의 60%에서 골절을 동반 하고 42.9%에서 복부손상을 37.1%에서 두부손상을 동반하고 있었다. 개흉술을 시행한 이유로는 출혈교정 혹은 지혈이 48.6%, 횡격막손상의 복구가 35.7%였으며, 폐 열상 봉합이 25.7% 였으며, 흉부 손상으로 인한 수술외에도 비장적출술(14.3%), 간엽절제술(8.6%) 간 열상 복구(5.7%)를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무기폐(8.6%), 창상감염(8.6%), 폐렴(4.3%)이었다. 수술후 6명의 환자가 사망하였고 수술사망율은 8.6%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호흡부전증(2례), 급성 신기능부전증(2례), 패혈증(1례), 저혈량성 쇽(1례)이었다.

  • PDF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석결명의 세포 보호 효과 (Cellular-protective effects of Nardotidis seu Sulculii Concha Extract against oxidative stress)

  • 김광연;이승진;지선영;배수진;송유림;윤언정;박선빈;송종국;손태진;손재동;김우현;양주혜;박선동;김상찬;김영우;박광일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80
    • /
    • 2021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cellular-protective effects of Nardotidis seu Sulculii Concha water extract (NSCE)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rachidonic acid (AA)+iron or tert-butylhydroperoxide (tBHP). Methods : In vitro, MTT assay was assessed for cell viability, and immunoblott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expression of AMP-activated kinase (AMPK) signaling pathway and autophagy related proteins. In vivo, mice were orally administrated with the aqueous extract of NSCE of 500 mg/kg for 3 days, and then injected with CCl4 0.5 mg/kg body weight to induce acute damage. The level of liver damage was measured by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analysis. Results : Treatment with NSCE inhibited cell death induced by AA+iron and tBHP. NSCE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is compound also induced the phosphorylation of LKB1, an upstream kinase of AMPK,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a primary downstream target of AMPK. NSCE in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autophagic markers (LC3II and beclin-1) and de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and simultaneously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unc-51-like kinase-1 (ULK-1) in tim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 NSCE has the ability 1) to protect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A+iron or tBHP. NSCE 2) to activat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3) to regulate autophagy, an important regulator in cell survival.

건강기능식품 헤모힘이 간손상을 일으키는가? (Does the Health Supplement HemoHIM Cause Liver Injury?)

  • 양석정;박정숙;김병선;이광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6호
    • /
    • pp.37-42
    • /
    • 2023
  • 이 연구는 메톡살렌이 함유된 건강 보조 식품인 헤모힘의 안전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헤모힘은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건강 보조 식품으로 인삼과 경쟁 관계에 있는 제품이다. 건선 및 백반증 치료용 식물 추출물인 메톡살렌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메톡살렌은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의 사례는 식품이 아닌 의약품으로 섭취했을 때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헤모힘의 주원료인 당귀, 천궁, 백년초 등 천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의 섭취로 인한 간독성 보고는 아직 없다. 그러나 최근 홍콩에서 헤모힘 섭취 후 급성 간염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간독성 위험이 높은 약물을 함께 복용했는지 확인되지 않았고, 경과에 대한 설명이 없으며, 당근, 셀러리 등 일반 식품에 함유된 메톡살렌과 헤모힘의 메톡살렌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지 않았으며, 환자의 기저 질환에 대한 설명이 없어 헤모힘으로 인한 간염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반면에 피험자 수가 충분하였던 헤모힘이 안전하다는 연구도 있다. 안정성을 주장하려면 더 많은 연구 논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우라늄오염에 의한 신부전증에 미치는 제염제의 방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hemical Drugs on the Course of Uranium-induced Acute Renal Failure)

  • 김태환;정인용;김성호;김경중;방효창;류성렬;진수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27-39
    • /
    • 1990
  • 원자력산업의 시설증대로 우라늄 오염의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사자 및 국민에 대한 안전대책 및 의료적 처치에 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에 있어 이에 대한 응급처치방안을 수립코자 우라늄을 투여한 후 제염제를 투여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라늄오염에 의한 체중변화에 미치는 제염제의 영향에 있어서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을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단독투여군에 비해 체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2. 모든 실험군은 우라늄오염에 의한 음수량과 배뇨량의 변화를 유의성 있게 호전시켰으며(P<0.05), 특히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의 투여한 군이 가장 높은 증가경향을 나타냈다(p<0.05). 3. 우라늄오염에 의한 BUN농도 변화에 미치는 제염제의 효과는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이 공히 우라늄단독투여군보다 BUN 농도가 매우 감소되었다(P<0.01). 4.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은 우라늄오염에 의한 serum creatinine의 농도증가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 (P<0.01),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5. 우라늄오염에 의한 urine creatinine농도 변화에 미치는 제염제의 효과에 있어서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단독투여군에 비해 cretinine의 배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P<0.05). 6. 우라늄오염에 의한 신장의 소견에 있어 우라늄단독투여군은 근위곡세뇨관상피의 공포화 및 종창, microvilli와 brush border의 손실, 세뇨관 상피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며, 간장의 충혈, 중심성 괴사 및 모세관 확장증도 관찰되었다. 그리고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병행투여한 군과 우라늄을 투여하고 30분이 지나서 dithiothreitol를 투여한 군에서는 우라늄 단독투여군에 비해 높은 방호효과가 관찰되었으나 다른 실험군에서는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라늄의 체내오염시에는 sodium bicarbonate와 생리적 식염수를 가능한 빨리 병행투여하거나 dithiothreitol을 체내오염후 30분이 지나서 투여하는 방법이 우라늄오염에 대한 제염에 매우 유효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우라늄에 의한 인체장해를 유의하게 경감시켜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단풍취 열수 추출물의 HepG2 인간간세포의 LPS/D-Gal에 의해 유발된 급성 간 손상에 대한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Ainsliaea acerifolia water extract on LPS/D-GalN-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human HepG2 cells)

  • 이선엽;한준희;최다혜;홍민;권태형;이용진;유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76-48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보호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단풍취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향후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LPS/D-GalN 독성유발에 따른 단풍취 열수 추출물의 간기능 개선효과를 연구하였다. 단풍취 열수 추출물 내에 존재하는 5종의 Caffeoylquinic acid (CQA) 분석결과 4,5-di-O-caffeoylquinic acid (4,5-DCQA) 11.16 mg/g, 3,4-di-O-caffeoylquinic acid (3,4-DCQA) 5.23 mg/g, 5-O-caffeoylquinic acid (5-CQA) 4.88 mg/g, 3,5-di-O-caffeoylquinic acid (3,5-DCQA) 3.51 mg/g 및 4-O-caffeoylquinic acid (4-CQA) 3.31 mg/g 순으로 나타났다. 단풍취 열수 추출물이 함유하고 있는 총 폴리페놀 함량은 74.03 mg/g이었으며, ABTS cation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 50, 100, 200 및 400 ㎍/mL의 범위에서 각각 12.2, 25.0, 40.8, 68.55%를 나타냈고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mL의 농도에서 54.38%를 나타냈다. HepG2 세포에 LPS/D-GalN을 처리하여 간독성을 유발한 결과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처리군에서 GGT, AST 및 LDH 활성이 증가하였고, 단풍취 열수 추출물 300 mg/mL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과 비교하여 GGT, AST 및 LDH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PS/D-GalN을 처리하였을 때 정상군과 비교하여 모든 처리군에서 TNF-α 분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단풍취 열수 추출물을 100 ㎍/mL 이상 처리하였을 때 TNF-α의 분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단풍취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증가 및 GGT, AST, LDH의 활성을 감소시키고 TNF-α 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LPS/D-GalN으로 인한 간 손상을 예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臨證指南醫案에 나타난 피부외과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Study of Dermatosurgical Diseases in the ImJeungJiNamUiAn)

  • 조재훈;채병윤;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71-288
    • /
    • 2002
  • Authors investigated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ennatosurgical diseases in the ImJeungJiNamUiAn(臨證指南醫案). 1. The symptoms and diseases of dermatosurgery were as follows; 1) BanSaJinRa(반사진라) : eczema, atopic dermatitis, seborrheic dermatitis, psoriasis, lichen planus, pityriasis rosea, hives, dermographism, angioedema, cholinergic urticaria, urticaria pigmentosa, acne, milium, syringoma, keratosis pilaris, discoid lupus erythematosus, hypersensitivity vasculitis, drug eruption, polymorphic light eruption, rheumatic fever, juvenile rheumatoid arthritis(Still's disease), acute febrile neutrophilic dermatosis(Sweet's syndrome), Paget's disease, folliculitis, viral exanthems, molluscum contagiosum, tinea, tinea versicolor, lymphoma, lymphadenitis, lymphangitis, granuloma annulare, cherry angioma 2) ChangYang(瘡瘍) : acute stage eczema, seborrheic dermatitis, stasis ulcer, intertrigo, xerosis, psoriasis, lichen planus, ichthyosis, pityriasis rosea, rosacea, acne, keratosis pilaris, dyshidrosis, dermatitis herpetiformis, herpes gestationis, bullae in diabetics, pemphigus, lupus erythematosus, fixed drug eruption, erythema multiforme, toxic epidermal necrolysis, toxic shock syndrome, staphylococcal scaled skin syndrome, scarlet fever, folliculitis, impetigo, pyoderma gangrenosum, tinea, candidiasis, scabies, herpes simplex, herpes zoster, chicken pox, Kawasaki syndrome, lipoma, goiter, thyroid nodule, thyroiditis, hyperthyroidism, thyroid cancer, benign breast disorder, breast carcinoma, hepatic abscess, appendicitis, hemorrhoid 3) Yeok(疫) : scarlet fever, chicken pox, measles, rubella, exanthem subitum, erythema infectiosum, Epstein-Barr virus infection, cytomegalovirus infection, hand-foot-mouth disease, Kawasaki disease 4) Han(汗) : hyperhidrosis 2.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dermatosurgery were as follows; 1) When the pathogenesis of BalSa(발사), BalJin(發疹), BalLa(발라) and HangJong(項腫) are wind-warm(風溫), exogenous cold with endogenous heat(外寒內熱), wind-damp(風濕), the treatment of evaporation(解表) with Menthae Herba(薄荷), Arctii Fructus(牛蒡子), Forsythiae Fructus(連翹) Mori Cortex(桑白皮),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貝母), Armeniaoae Amarum Semen(杏仁), Ephedrae Herba(麻黃), Cinnamomi Ramulus(桂枝), Curcumae Longae Rhizoma(薑黃), etc can be applied. 2) When the pathogenesis of BuYang(부양), ChangI(瘡痍) and ChangJilGaeSeon(瘡疾疥癬) are wind-heat(風熱), blood fever with wind transformation(血熱風動), wind-damp(風濕), the treatment of wind-dispelling(疏風) with Arctii Fructus(牛蒡子), Schizonepetae Herba(荊芥), Ledebouriellae Radix(防風), Dictamni Radicis Cortex(白鮮皮), Bombyx Batrytioatus(白??), etc can be applied. 3) When the pathogenesis of SaHuHaeSu(사후해수), SaJin(사진), BalJin(發疹), EunJin(은진) and BuYang(부양) are wind-heat(風熱), exogenous cold with endogenous heat(外寒內熱), exogenous warm pathogen with endogenous damp-heat(溫邪外感 濕熱內蘊), warm pathogen's penetration(溫邪內陷), insidious heat's penetration of pericardium(伏熱入包絡), the treatment of Ki-cooling(淸氣) with TongSeongHwan(通聖丸), Praeparatum(豆?), Phyllostachys Folium(竹葉), Mori Cortex(桑白皮), Tetrapanacis Medulla(通草), etc can be applied. 4) When the pathogenesis of JeokBan(적반), BalLa(발라), GuChang(久瘡), GyeolHaek(結核), DamHaek(痰核), Yeong(?), YuJu(流注), Breast Diseases(乳房疾患) and DoHan(盜汗) are stagnancy's injury of Ki and blood(鬱傷氣血), gallbladder fire with stomach damp(膽火胃濕), deficiency of Yin in stomach with Kwolum's check (胃陰虛 厥陰乘), heat'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 with disharmony of liver and stomach(熱入血絡 肝胃不和), insidious pathogen in Kwolum(邪伏厥陰), the treatment of mediation(和解) with Prunellae Spica(夏枯草), Chrysanthemi Flos(菊花), Mori Folium (桑葉), Bupleuri Radix(柴胡), Coptidis Rhizoma(黃連), Scutellariae Radix(黃芩), Gardeniae Fructus(梔子), Cyperi Rhizoma(香附子), Toosendan Fructus(川?子), Curcumae Radix(鬱金), Moutan Cortex(牧丹皮), Paeoniae Radix Rubra(赤芍藥), Unoariae Ramulus Et Uncus(釣鉤藤), Cinnamorni Ramulus(桂枝), Paeoniae Radix Alba(白芍藥), Polygoni Multiflori Radix (何首烏), Cannabis Fructus (胡麻子), Ostreae Concha(牡蠣), Zizyphi Spinosae Semen(酸棗仁), Pinelliae Rhizoma(半夏), Poria(백복령). etc can be applied. 5) When the pathogenesis of BanJin(반진), BalLa(발라), ChangI(瘡痍), NamgChang(膿瘡). ChangJilGaeSeon(瘡疾疥癬), ChangYang(瘡瘍), SeoYang(署瘍), NongYang(膿瘍) and GweYang(潰瘍) are wind-damp(風濕), summer heat-damp(暑濕), damp-warm(濕溫), downward flow of damp-heat(濕熱下垂), damp-heat with phlegm transformation(濕熱化痰), gallbladder fire with stomach damp(膽火胃濕), overdose of cold herbs(寒凉之樂 過服), the treatment of damp-resolving(化濕) with Pinelliae Rhizoma(半夏), armeniacae Amarum Semen(杏仁), Arecae Pericarpium(大腹皮), Poria(백복령), Coicis Semen(薏苡仁), Talcum(滑石), Glauberitum(寒水石), Dioscoreae Tokoro Rhizoma(??), Alismatis Rhizoma(澤瀉), Phellodendri Cortex(黃柏), Phaseoli Radiati Semen(?豆皮), Bombycis Excrementum(?沙), Bombyx Batryticatus(白??), Stephaniae Tetrandrae Radix(防己), etc can be applied. 6) When the pathogenesis of ChangPo(瘡泡), hepatic abscess(肝癰) and appendicitis(腸癰) are food poisoning(食物中毒), Ki obstruction & blood stasis in the interior(기비혈어재과), damp-heat stagnation with six Bu organs suspension(濕熱結聚 六腑不通), the treatment of purgation(通下) with DaeHwangMokDanPiTang(大黃牧丹皮湯), Manitis Squama(穿山甲), Curcumae Radix(鬱金), Curcumae Longae Rhizoma(薑黃), Tetrapanacis Medulla(通草), etc can be applied. 7) When the pathogenesis of JeokBan(적반), BanJin(반진), EunJin(은진). BuYang(부양), ChangI(瘡痍), ChangPo(瘡泡), GuChang(久瘡), NongYang(膿瘍), GweYang(潰瘍), Jeong(정), Jeol(癤), YeokRyeo(疫?) and YeokRyeolpDan(疫?入?) are wind-heat stagnation(風熱久未解), blood fever in Yangmyong(陽明血熱), blood fever with transformation(血熱風動), heat'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熱入血絡). fever in blood(血分有熱), insidious heat in triple energizer(三焦伏熱), pathogen's penetration of pericardium(心包受邪), deficiency of Yong(營虛), epidemic pathogen(感受穢濁), the treatment of Yong & blood-cooling(淸營凉血) with SeoGakJiHwangTang(犀角地黃湯), Scrophulariae Radix(玄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丹參),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Polygoni Multiflori Radix(何首烏), Cannabis Fructus(胡麻子), Biotae Semen(柏子仁), Liriopis Tuber(麥門冬), Phaseoli Semen(赤豆皮), Forsythiae Fructus(連翹), SaJin(사진), YangDok(瘍毒) and YeokRyeoIpDan(역려입단) are insidious heat's penetration of pericardium(伏熱入包絡), damp-warm's penetration of blood collaterals(濕溫入血絡), epidemic pathogen's penetration of pericardium(심포감수역려), the treatment of resuscitation(開竅) with JiBoDan(至寶丹), UHwangHwan(牛黃丸), Forsythiae Fructus(連翹), Curcumae Radix(鬱金), Tetrapanacis Medulla(通草), Acori Graminei Rhizoma(石菖蒲), etc can be applied. 9) When the pathogenesis of SaHuSinTong(사후신통), SaHuYeolBuJi(사후열부지), ChangI(瘡痍), YangSon(瘍損) and DoHan(盜汗) are deficiency of Yin in Yangmyong stomach(陽明胃陰虛), deficiency of Yin(陰虛), the treatment of Yin-replenishing(滋陰) with MaekMunDongTang(麥門冬湯), GyeongOkGo(瓊玉膏), Schizandrae Fructus(五味子), Adenophorae Radix(沙參), Lycii Radicis Cortex (地骨皮), Polygonati Odorati Rhizoma(玉竹), Dindrobii Herba(石斛), Paeoniae Radix Alba(白芍藥), Ligustri Lucidi Fructus (女貞子), etc can be applied. 10) When the pathogenesis of RuYang(漏瘍) is endogenous wind in Yang collaterals(陽絡內風), the treatment of endogenous wind-calming(息風) with Mume Fructus(烏梅), Paeoniae Radix Alba (白芍藥), etc be applied. 11) When the pathogenesis of GuChang(久瘡), GweYang(潰瘍), RuYang(漏瘍), ChiChang(痔瘡), JaHan(自汗) and OSimHan(五心汗) are consumption of stomach(胃損), consumption of Ki & blood(氣血耗盡), overexertion of heart vitality(勞傷心神), deficiency of Yong(營虛), deficiency of Wi(衛虛), deficiency of Yang(陽虛), the treatment of Yang-restoring & exhaustion-arresting(回陽固脫) with RijungTang(理中湯), jinMuTang(眞武湯), SaengMaekSaGunjaTang(生脈四君子湯), Astragali Radix (황기), Ledebouriellae Radix(防風), Cinnamomi Ramulus(桂枝), Angelicae Gigantis Radix(當歸), Ostreae Concha(牡蠣), Zanthoxyli Fructus(川椒), Cuscutae Semen(兎絲子), etc can be appl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