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Learning

검색결과 1,155건 처리시간 0.035초

Designing a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Course for Pre-dental Education: A Theoretical Exploration

  • LEE, Jihy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249-272
    • /
    • 2015
  • This study is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and its application in designing pre-dental curricula. As a response to the limitation of community service courses, service-learning has been implemented as pedagogy in higher education practices. Service-learning connects service and learning by engaging students in activities that address community needs with intentionally designed learning opportunities while adding value to and transforming both service and learning.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is an extended and more active version of service-learning. Whereas service activities are arranged by instructors in the original service-learning,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for exploring problems and root causes on site and then devising and implementing solutions of their own using their talents and creativity.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approach to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and suggests six design components, namely, related curriculum, reflection, reciprocity, service and community engagement, evaluation and recognition,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components, 20 design strategies are formulated. The exploration is aimed to provide design guides for professionals attempting to implement project-based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ffects of Blended-TBL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 PARK, Eunsoo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0권1호
    • /
    • pp.137-15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Blended-TBL(Team Based 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teamwork of students in on-off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and apply it into the college course and explore whether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one group pretest and posttest is different. For thi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oncep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m Based Learning, and developed the Blended-TBL Model to apply it into the college course, and finally prove effects of Blended-TBL model on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7 college students. They participated in on-off blended-TBL course for 15weeks. Participants followed the content grounded and the problem solving steps in collaborative team-based learning. This research practiced a quantitative research to find out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using SPSS. The result revealed that Blended-TBL students improved self-regulated learning including motivation, cognitive, metacognitive, and resource management. Based on this result, this research discussed the effects of Blended-TBL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suggested the further study.

3차원 탄성파자료의 층서구분을 위한 패치기반 기계학습 방법의 개선 (Improvements in Patch-Based Machine Learning for Analyzing Three-Dimensional Seismic Sequence Data)

  • 이동욱;문혜진;김충호;문성훈;이수환;주형태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5권2호
    • /
    • pp.59-70
    • /
    • 2022
  • 최근의 연구들을 통해 기계학습은 탄성파 해석 분야에 그 적용 범위를 확장하고 있으며, 탄성파 해석에서 중요한 탄성파 층서 구분을 수행하는 합성곱 신경망들의 개발도 수행되었다. 하지만 지도 학습의 경우 대량의 학습 자료가 필요하며, 비용과 시간의 한계로 탄성파 층서구분의 지도학습은 학습 자료의 부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료 부족 문제를 보완하기위해 탄성파 단면에 패치 분할과 자료증강을 적용하였다. 또한 패치 분할로 손실될 수 있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깊이를 고려할 수 있는 인공 채널을 생성하여 추가하였다. 실험을 위한 학습 모델로 U-Net을 사용하였으며, 층서 구분을 위한 학습 자료가 제공되는 F3 block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과 예측 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증강과 인공 채널의 추가로 패치 기반의 층서 구분 학습 모델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능동적 학습을 위한 군집화 기반의 다양한 복수 문의 예제 선정 방법 (Cluster-Based Selection of Diverse Query Examples for Active Learning)

  • 강재호;류광렬;권혁철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1호
    • /
    • pp.169-189
    • /
    • 2005
  • 능동적 학습은 훈련 예제의 수가 제한적일 때 효율적으로 분류기를 생성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분류하기 모호한 예제에 카테고리를 부여하기 위한 문의 과정과 이렇게 얻어진 예제들을 추가해 가면서 분류기를 재생성 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온라인 환경에서는 반복적으로 예제에 카테고리를 부여해야 하는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문의 예제의 총 수뿐만이 아니라 문의 횟수 또한 최소화하여야 한다. 예제 수와 문의 횟수를 줄이면서도 좋은 분류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매 문의 시 사용자에게 다양하면서도 대표성이 높은 복수의 모호한 예제들을 선정하여 제시하는 것이 좋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하면서, 대표적이며, 또한 모호성이 높아 능동적 학습에 효과적인 복수의 문의 예제를 선별하기 위하여 군집화 기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문서 분류 문제를 대상으로 본 제안 방안을 실험한 결과 모호성만을 기준으로 복수의 문의 예제를 선정하는 방법보다 우수한 분류기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수업에서 능동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tive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ursing Health Assessment Practice Class)

  • 마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9-50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교과목에서 능동학습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1년 9월 1일부터 12월 17일까지 D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7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수업에서 능동학습 적용 후 비판적사고성향(t=-2.11 p=.038), 셀프리더십(t=-2.07 p=.04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능동학습으로 적용된 SOAP, 임상추론학습지(Outcome-Present-Test) 및 임상추론 웹 작성(Clinical reasoning web), 마인드맵 작성은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대면수업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초등 과학수업을 위한 캐릭터 기반의 대화형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Character-based Conversational Instruction-Learning System Design for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 정상목;송기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43-352
    • /
    • 2005
  • 기존의 초등과학 CAI나 웹기반 학습시스템의 문제점은 교수자의 학습 설계에 따라 획일적인 코스로 구성되어 있고 개인의 학습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설계되었으며 학습도중에 발생되는 학습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시스템에 반영 할 수 없어 학습 참여의욕과 학습 동기유발을 떨어뜨려 학습 효율을 높이지 못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며 학습자의 적극적인 학습참여와 학습 동기유발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캐릭터 교사와 학습자의 대화를 통해 적극적인 학습참여의 기회를 부여하고 지속적인 학습 흥미와 동기유발을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시해 주는 캐릭터 기반의 대화형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ing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전영미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61-7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정 아래, 공과대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지원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과정 분석은 다섯 가지 영역-수업내활동, 수업외활동, 상호작용, 학습성과, 학습지원체제-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의 공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T-test, Anova, 위계적선형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과 교양 수업 만족도는 높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낮았으며, 고등사고력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 않았고 학습성과 역시 낮았다. 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고등사고력 활동, 수업에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와 고등사고력 활동을 강조하고 글쓰기 지원 및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일개 간호학과 학생들의 학습유형과 학년별 특성에 관한 조사 (Nursing Student s Methods of Learning)

  • 이명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521-1530
    • /
    • 2000
  • This descriptive study identifies nursing students' methods of studying related to the learning stages, based on a sample of 251 nursing students in a Korean university.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jor learning styles of nursing students were accomodation (68.6%), divergen (53.6%), and convergence (38.8%) for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group. For all students, the majority (71.3%) showed accomodation or the divergence. The learning styles for grade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x2=110.021, df=9, p=0.001). The stage of concrete experience was the majority for all of the first year group (51.8%), the second year group (57.1%), and the third year group (61.3%). But, active experimentation (41.9%) was the majority for the fourth year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ages of learning by age (x22= 64.391, df=9, p=0.001). The most significant result of the study was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 modes of learning stages by year, thus supporting the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 greatest change of style from the first year group to the second year group was reflective observation (7.3%longrightarrow12.9%). That from the second year group to the third year group was the abstractive conceptualization (14.3%longrightarrow21.3%); and that from the third year group to the fourth year group was active experimentation (12.0%longrightarrow41.9%). This reflects the same cycle as indicated by the experimental learning theory of Kolb. According to the study, nursing students' learning stages tended to be more unbalanced as year increases. Therefore this calls for a careful review of the current nursing curriculum.

  • PDF

유비쿼터스 생활영어 체험학습장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Study on the Model Development for Experiential Learning with Ubiquitous Everyday English)

  • 백현기;김수민;강정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49-6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for teaching-teaming by applying Ubiquitous at a learning experience field, in which connect characteristics of both ubiquitous application learning and experience teaming, making use of them. A literature survey of concepts was conducted, with the main areas to find out relationships between ubiquitous application learning and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by applying ubiquitous learning methods maximizes its efficiency of experience learning in considering ubiquitous learning methods's characteristics of dynamic, interaction, sharing. Also it makes communications through positive participation and active interaction, and leads to a process of internal examination. The research data suggests that critical factors of experiencing learning applying ubiquitous are acquiring information and memory, information integration and exquisiteness, emotional and social activity, producing activity, help activity.

  • PDF

상시학습체제에서 사이버교육 요인이 공무원의 사이버교육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Effect of Cyber Education at Always Learning System in Affinity of Cyber Education for Officials: Focusing on Busan Metropolitan City)

  • 박명규;심선희;김하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6-125
    • /
    • 2011
  • In this study,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on government employe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yber education factors (learning factor, learner factor, and learning system factor) on the preference for government employee cyber education offered by the government always learning system. Analyzed results, recognition of learning factor, learner factor, and always learning system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eference for cyber education, but no indication of influence by always learning support. This study intends to assist stimula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n cyber education and active commitment in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mproving learning effect and fortifying convenient informatization education, with regard to activation of cyber education and improved preference for cyb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