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BIM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초

능동형 BIM 체계에 의한 토목 및 건축분야 BIM 활용성 개선 연구 (Usability Improvement of BIM fo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Active BIM Functions)

  • 강인석;문현석;김현승;곽중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74-83
    • /
    • 2013
  • 현재 활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BIM체계는 설계 및 시공단계의 작업 현상에 대한 시각적 정보제공에 초점을 두고 있는 수동형 BIM (Passive BIM) 운영체계이다. 수동형 BIM체계에서는 설계성과품의 간섭발생 부위를 3D객체에 의해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추가적으로 간섭 상황의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시공단계 4D시뮬레이션도 일정별 시공형태의 표현은 가능하나, 프로젝트 공정조건을 고려한 최적화된 일정계획의 제시 등은 미흡한 수준이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기관에서 BIM을 적용하면서 사용자의 BIM 요구수준은 이미 시각적 정보제공을 넘어서, 파악된 문제 현상의 해결방안까지 BIM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동형 BIM (Active BIM) 기능들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형 BIM의 개념적용을 위해 시공단계의 대표적 BIM 도구인 4D CAD시스템을 예로 하여 능동형 기능 구성방법론을 제시하고 독자적 개발엔진으로 시스템 구현을 시도하였다.

BIM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철도 인프라의 모델링 자동화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on Technology for Modeling of Railway Infrastructure using BIM Library)

  • 김윤옥;문소영;윤희택;박영곤;김지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8-29
    • /
    • 2022
  • Recently,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BIM has continuously been active not only in architecture but also in civil engineering in orde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cross the project's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phases. However, the empirical applications of BIM targeting to civil engineering scope of construction sites still lags compared to architectural sized projects. This is because BIM tools are mainly based upon vertical structures of architecture, thereby most of them hav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to get utilized on horizontal structures of civil engineering.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automation technology of design using BIM library and to indicate its field availability through case application on a railway project representing linear infrastructure. In addition, it put forward the utilization plan of the automation technology upto 4D and 5D by continue making use of the BIM model created in the project's design stage up through the maintenance stage. The novel method of the technology proposed in this paper incorporates the automatic creation of the BIM library based on two-dimensional tunnel cross-sections and sweeping of it over three-dimensional alignment to create a BIM model of linear infrastructure. The proposed technology is anticipated to improve the efficiecny of modeling process of railway projects based on linear structures.

BIM IMPLEMENTATION STRATEGY AND TASKS FOR ARCHITECTURAL INDUSTRY IN KOREA

  • Ki Byung Yoo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88-92
    • /
    • 2011
  • Even though attempts are made to transform from 2D CAD to BIM representation for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it were not so successful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until recently in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However, there is a dramatic change for the use of BIM b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independent organizations as well as industry itself. Government reckons that BIM is an important tool for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and industry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 not only makes national BIM standards and push policies in order to make market environment. Independent organizations such as BuildingSMART Korea does active role to stimulate the transformation process successfully. They act as opinion leaders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BIM implementation for industry competitiveness issue. They make roadmap as well as technical standards and guidelines. It also leads technical developments and supports for its implementation. Government supports researches for the implementation of BIM. The research includes BIM standards, guidelines, linking with existing Architectural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making libraries as well as education. Government makes policy for BIM as a compulsory data for bidding process of newly designed government buildings. Private sector not only agrees BIM as a tool to adapt but also essential methods for its survival in domestic and foreign construction market. Architectural design companies and constructions companies currently develop technical skills and implement BIM for new projects such as Dongdaemoon Plaza that cannot be successfully drawn by conventional methods.

  • PDF

건축법규 자동검토를 위한 BIM정보의 분류체계 검토 및 프로세스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Review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Process of BIM Information for an Automatic Review of Building Code)

  • 이창윤;심운준;안용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45-52
    • /
    • 2012
  • 최근 BIM이 건설 산업 전반에 도입이 되면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BIM의 정보공유 활성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BIM이 나가야할 방향이며, 분명히 실현되어야 하는 부분이라 판단된다. 현재 시공단계에서 BIM의 활용 연구는 설계의 시공간섭 검토와 물량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견적부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건축법규 검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BIM이 활성화됨에 따라 건축법규 검토 방법도 BIM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검토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며, 해외의 경우, 이미 다양한 모델링 검토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연구개발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건축법규의 자동 검토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건축법규 자동 검토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BIM의 정보를 이용해 건축물 분야별 정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특성을 토대로 관련 프로그램이나 검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분류체계 검토를 통하여 법규자동 검토를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BIM 적용을 통한 소규모 건물 리모델링 시 현장시공관리 (The construction management of BIM-based small building remodeling.)

  • 정태호;김상원;박승환;홍성욱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1-192
    • /
    • 2012
  • Th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troduction of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t the design phase through the life cycle of the building until it is destroyed, I will bring big changes in the process. If you are building a small action by a variety of variables difficult to manage on-site construction, but, BIM remodeling of the building by applying a small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imported building and construction delays, such as design changes or re-construction by removing the elements of economic 04 to make. Since the early stages of applying BIM to complement the introduction part, but the future seems to lead to changes in the built environment, academics and practitioner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seem to have an active research.

  • PDF

BIM 기반의 골조공사에서 참여자별 정보의 흐름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Derivation of Participant's Information Flow At Framework Construction based on BIM)

  • 김용화;이주성;오중근;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2-34
    • /
    • 2013
  • 최근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되면서 다양한 참여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정보는 건설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건설현장에서 주로 생산된다. 건설현장 관련 참여자 간 정보 교환의 미흡은 공기지연, 품질하자와 같은 건설생산성 저해 요인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BIM의 도입은 주로 설계단계에 집중되어 있으며 시공단계에서 BIM의 활용정도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골조공사에서 정보 교환의 미비로 인한 실패요인을 구분하고, BIM의 적용이 가능한 업무를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하여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BIM이 도입된 다수의 골조공사 현장의 분석을 통해 업무별 BIM 지원을 위한 참여자간 정보의 흐름을 실무 수준으로 제안하고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시공단계 BIM 활용을 위한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 개발 - MEP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odel Requirements Checklist for Utilizing BIM in Construction Phase - Focused on the MEP -)

  • 김우진;박진호;차용운;현창택;한상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2-31
    • /
    • 2019
  • 국내 외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되는 정보의 관리 및 통합이 가능한 BIM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BIM을 시공단계에 활용할 경우 공기단축, 재시공 감소, 협업능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국내 BIM 지침서 정의수준 부족, 설계 기준의 미비 때문에 시공단계에 BIM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설계 단계에 비해 시공단계에서는 MEP 분야는 그 중요성이 훨씬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공단계의 MEP 분야에서 BIM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공 BIM MEP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하여 국내 외 BIM 지침서 및 시공 BIM이 적용된 민간 공공 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지침서 및 사례를 토대로 작성객체 31개, 속성기준 31개, 총 62개의 시공 BIM 모델 요구조건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62개의 요구조건을 활용목적과 필요사항으로 구분하여 시공 BIM MEP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체크리스트를 실무에서 활용한다면 시공단계 MEP BIM 모델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문적인 측면에서 시공단계 BIM 모델의 표준화된 지침서 개발에 활용될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설계단계에서의 BIM 안전설계 품질검토 (BIM Quality Assurance for DFS in Design Phase)

  • 권오철;조주원;조찬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348-358
    • /
    • 2013
  • Since the safety accidents on the construction sites take large part of total industry disasters,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safety has been getting important. Recently, as BIM technology allows cooperation between designer and constructor groups, it becomes more active worldwide than before to study on the ways of accomplish construction safety improvement in the design phase.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checklist for assuring construction safety in the phase of design, and performed automatic evaluation by using a BIM quality checking tool. This shows that it is possible for us to find out the construction safety has been improved in the design phase. Once the standard checklist and assurance process are developed, they are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of reducing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사업관리기업의 BIM 활용수준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IM Utilization Level Evaluation Model in Construction Management Company)

  • 정서희;김광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4-33
    • /
    • 2024
  • 최근 스마트건설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업의 스마트 건설기업으로 전환을 위해 건설회사에서는 스마트건설에 관한 역량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건설의 활성화는 건설회사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발주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시공자 등 건설 프로젝트 참여자 전체의 활용수준이 평가되어 향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수행에서 CM기업의 BIM 활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BIM 활용수준에 대한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BIM 활용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기 위해 BIM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정된 결과를 평가 모델에 활용하기 위해 점수화 시켜 BIM 활용수준 평가모델을 구축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결과 중 정량 평가에서는 BIM 사용 가능 인력수에서 기업별 차이를 보였고 정성평가에서는 간섭검토, 시공성 검토, 설계변경관리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M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설사업관리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BIM 활용능력을 강화시키고 건설사업관리업무 수행에 있어 BIM활용에 대한 명확한 활용기준 및 업무범위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활용하여 더 많은 기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며, 평가 결과는 CM기업의 스마트건설의 전환과 BIM 도입 활성화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반, 궤도분야 철도인프라 BIM 원형 라이브러리 구축 (A Development of Railway Infrastructure BIM Prototype Libraries for Roadbed and Track)

  • 박형진;서명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461-468
    • /
    • 2017
  • BIM 설계에서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기존 컨텐츠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설계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건축분야와 달리 토목분야, 특히 철도시설분야에서는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표준화가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시설분야에 3차원 객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표준화하고자 한다. 철도시설물 분류체계 및 관련도면을 수집 및 분석한다. 분석된 표준도면의 항목과 분류체계 항목을 매칭하였다. 각 항목별로 라이브러리가 필요한지 여부와 그럴 경우 어떤 소프트웨어가 적절한지를 검토하였다. 사용가능한 소프트웨어는 주로 Civil 3D와 Revit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철도인프라 3차원 라이브러리의 속성 항목 및 명세서를 설계하고 라이브러리를 구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