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ated Fly Ash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2초

Waste Glass as an Activator in Class-C fly Ash/GGBS based Alkali Activated Material

  • Sasui, Sasui;Kim, Gyu Yong;Lee, Sang Kyu;Son, minjae;Hwang, Eui Chul;Nam, Jeong Soo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7-78
    • /
    • 2020
  • An alkaline activator was synthesized by dissolving waste glass powder (WGP) in NaOH-4M solution to explore its effects on the Class-C fly ash (FA) and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GGBS) based alkali-activated material (AAM).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porosity were measured, and (SEM-EDX) were used to study the hydration mechanism and microstructur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sition of alkali solutions was significant in enhancing the properties of the obtained AAM. As the amount of dissolved WGP increased in alkaline solution, the silicon concentration increased, causing the accelerated reactivity of FA/GGBS to develop Ca-based hydrate gel as the main reaction product in the system, thereby increasing the strength. Further increase in WGP dissolution led to strength loss, which were believed to be due to the excessive water demand of FA/GGBS composites to achieve optimum mixing consistency. Increasing the GGBS proportion in a composite also appeared to improve the strength which contributed to develop C-S-H-type hydration.

  • PDF

감수제 종류 및 첨가율 변화에 따른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 (Basic Properties of Alkali-activated Mortar With Additive's Ratio and Type of Superplasticizer)

  • 한천구;장지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50-57
    • /
    • 2015
  • 본 연구는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모르타르 및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에 감수제 종류 및 첨가율 변화를 적용하여 기초적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우의 경우 감수제 종류와 관계없이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향상되었으며, OPC-Pn의 경우는 플로우치가 크게 증가하는데 비해 AA의 경우는 증가량이 크지 않았으며, AA중에서는 AA-Pn이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OPC 및 AA에 액상 및 분말형 Pn 첨가에 따른 플로우의 경우는 OPC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유동성이 증가하였으며, AA의 경우는 AA-PN-L(액상형)의 경우보다 AA-Pn-P(분말형)의 경우가 유동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량은 OPC의 경우는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공기량 분포가 증가되었으며, AA는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OPC에 액상 및 분말형 Pn 첨가율에 따른 공기량은 0.3% 이상 첨가할 경우 공기량이 큰 폭으로 증가되었는데, AA의 경우는 첨가율에 따른 공기량 변화는 크지 않았다. 압축강도의 경우는 OPC에 비해 AA가 전반적으로 강도발현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재령 및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저하 혹은 유사하였고, 특히 AA-Pn 1%의 경우가 가장 우수한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감수제 종류 변화에 따라서는 Pn의 경우가 유동성 및 강도적인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의 혼화제로써 활용성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 활성화제 혼합비가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를 사용한 무시멘트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Alkali-Activator Mixing Ratio of Cementless Mortar Using Fly Ash and Blast Furnace Slag)

  • 강현진;고경택;류금성;강수태;박정준;이장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15-316
    • /
    • 2010
  • 본 연구는 플라이애시와 고로슬래그를 사용 알칼리 활성 모르타르에 대하여 알칼리 활성화제의 혼합비율이 유동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도로포장 보수재 활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알칼리 활성 시멘트 모르타르 기초연구 (Fundamental Study of Alkali Activated Cement Mortar for Evaluating Applicability of Partial-Depth Repair)

  • 전성일;안지환;권수안;윤경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8
    • /
    • 2013
  • PURPOSES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alkali activated cement concrete for application of partial-depth repair in pavement. METHODS : This study analyze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alkali activated cement mortar based on the changes in the amount/type/composition of binder(portland cement, fly ash, slag) and activator(NaOH, $Na_2SiO_3$, $Na_2CO_3$, $Na_2SO_4$). The mixture design is divided in case I of adding one kind-activator and case II of adding two kind-activators. RESULTS : The results of case I show that $Na_2SO_4$ based mixture has superior the long-term strength when compared to other mixtures, and that $Na_2CO_3$ based mixture has superior the early strength when compared to other mixtures. But the mixtures of case I is difficult to apply in the material for early-opening-to-traffic, because the strength of all mixtures isn't meet the criterion of traffic-opening. The results of case II show that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has superior the early/long-term strength when compared to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In particular, the NaOH-$Na_2SiO_3$ based some mixtures turned out to pass the reference strength(1-day) of 21MPa as required for traffic-opening. CONCLUSIONS : With thes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NaOH-$Na_2SiO_3$ based mixtures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pavement repair.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염해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loride Attack Resistibility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Concrete)

  • 양완희;황지순;전찬수;이세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9
    • /
    • 2016
  •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활용한 3성분계 혼합시멘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한 3성분계 시멘트에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1.5~2.0% 사용할 때, NT Build 492에 의한 염화물 확산 시험과 ASTM C 1202( KS F 2271)에 의한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재령 2일부터 재령 7일까지의 압축강도는 17~42% 향상되었다. 또한 재령 28일에 측정한 염화물 확산 계수는 알칼리 설페이트의 활용에 따라 Plain 대비 36~56% 감소하였으며,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시험에 따른 총통과전하량은 재령 7일은 33~62%, 재령 28일은 31~48%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마찬가지로 알칼리 활성화에 의해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반응성이 향상되어 공극이 더욱 치밀해진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칼리 활성화 3성분계 혼합시멘트의 레미콘 적용 시험 (Application of Alkali-Activated Ternary Blended Cement in Manufacture of Ready-Mixed Concrete)

  • 양완희;황지순;이세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4
    • /
    • 2017
  • 시멘트 산업은 대표적인 탄소 배출 산업으로서, 콘크리트에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다량 사용할 경우 시멘트 사용을 줄이고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초기강도의 저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대체량 증대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를 다량 활용한 포틀랜드 혼합 시멘트에 적절한 알칼리 활성화를 통해 혼합 시멘트의 성능을 보완하는 방안은 시멘트 산업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보고에서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시를 4:4:2로 혼합하고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Modified Alkali Sulfate type)를 2.0% 사용한 결합재를 적용하여 레미콘(Ready-Mixed Concrete) 제조 시설에서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그 기초적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알칼리 설페이트계 활성화제의 활용으로 슬럼프는 다소 감소하고 응결 시간이 단축되는 현상이 있었으나, 블리딩이 감소하고 조기 강도가 개선되었으며, 탄산화 저항성은 큰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와 관련하여 장기 재령의 시험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과 분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석탄회부착활성탄의 제조 및 중금속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Fly ash Adhesion-Activated Carbon and on the Removal of Heavy Metals)

  • 문옥란;신대윤;고춘남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4호
    • /
    • pp.1-8
    • /
    • 1999
  • This study was aimed ultimately to develop an adsorption process treating heavy metal wastewater by utilizing activated carbon using flyash. The affecting factors in adsorption process on heavy metal by flyash adhesion-activated carbon are s follows. Factors such as pH, and quality of activated carbon, and reaction time made batch adsorption isotherm described adsorption capacity was made use of the investigation to evaluate adsorptive possibility of heavy metal.As the results of this study, H ion has influence on adsorption of heavy metal if pH is low. As reaction time is transformed, factors such as optimum reaction tim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 adsorptive process of heavy metal because an adsorption and a reduction process occur. Adsorption isotherm of adhesion-activated carbon was generally obeyed to Freundlich formular than Langmuir formular and Freundlich constant, l/n were obtained in the range of 0.1~0.5.

  • PDF

Prediction models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with Alkali-activated binders

  • Kar, Arkamitra;Ray, Indrajit;Unnikrishnan, Avinash;Halabe, Udaya B.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7권4호
    • /
    • pp.523-539
    • /
    • 2016
  • Alkali-activated binder (AAB) is increasingly being considered as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alternative to portland cement (PC). The present study evaluates 30 different AAB mixtures containing fly ash and/or slag activated by sodium hydroxide and sodium silicate by correlating their properties from micro to specimen level using regression. A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compressive strength of AAB as a function of volume fractions of microstructural phas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elastic properties and density). The predicted models are ranked and th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The correlations were found to be quite reasonable (R2 = 0.89) for all the mixtures tested and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ompressive strengths for similar AAB mixtures.

항온 배양 논토양 조건에서 비산재 처리에 따른 CH4와 CO2 방출 특성 (Fly Ash Application Effects on CH4 and CO2 Emission in an Incubation Experiment with a Paddy Soil)

  • 임상선;최우정;김한용;정재운;윤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53-860
    • /
    • 2012
  • 비산재 혼합에 의한 $CH_4$$CO_2$ 방출 저감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질소 ($(NH_4)_2SO_4$) 무처리구와 처리구를 두고 비산재를 0, 5, 10% 수준으로 혼합한 후 토양 수분 변동조건 (습윤기간, 전이기간, 건조기간)에서 60일간 실험실내 항온배양실험을 통해 $CH_4$$CO_2$ flux를 분석하였다. 전체 항온배양기간 중 평균 $CH_4$ flux는 $0.59{\sim}1.68mg\;CH_4\;m^{-2}day^{-1}$의 범위였으며, 질소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flux가 낮았는데, 이는 질소 처리시 함께 시용된 $SO_4^{2-}$의 전자수용체 기능에 의해 $CH_4$ 생성이 억제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질소 무처리구와 처리구에서 비산재 10% 처리에 의해 $CH_4$ flux가 각각 37.5%와 33.0% 감소하였는데, 이는 물리적인 측면에서 미립질 (실트 함량 75.4%)인 비산재 시용에 의해 통기성 대공극량이 감소되어 $CH_4$ 확산 속도가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생화학적 측면에서는 비산재의 $CO_2$ 흡착능에 의해 $CH_4$ 생성의 주요 기작 중 하나인 이산화탄소 환원에 필요한 $CO_2$ 공급이 억제된 것도 원인 일 수 있다. 한편, 전체 항온 배양 기간의 평균 $CO_2$ flux ($0.64{\sim}0.90g\;CO_2\;m^{-2}day^{-1}$) 역시 질소 무처리구가 질소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에 의해 토양 호흡량이 증가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본 연구에서 질소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CO_2$ flux 최초 측정 시점 (처리 후 2일째) 이전에 이미 상당한 양의 $CO_2$가 이미 방출되어 실측 flux에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CH_4$과 유사하게 $CO_2$ flux도 비산재무처리구에 비해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는데, 이는 비산재의 원소 구성 중 Ca과 Mg과 토양수내 탄산이온의 탄산염 ($CaCO_3$$MgCO_3$)화 반응에 의한 $CO_2$ 침전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비산재 처리에 의한 $CH_4$$CO_2$ flux 감소에 의해 지구온난화지수 역시 비산재 10% 처리구에서 약 20%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산재는 논 토양에서 $CH_4$$CO_2$ 방출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재 벼 재배 포장에서의 실험을 통한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Experimental study on geopolymer concrete prepared using high-silica RHA incorporating alccofine

  • Parveen, Parveen;Singhal, Dhirendra;Jindal, Bharat Bhushan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5권4호
    • /
    • pp.345-358
    • /
    • 2017
  • This paper describes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carried out to develop geopolymer concrete using rice husk ash (RHA) along with alccofine. The study reports the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of the geopolymer concrete (GPC) activated using alkaline solution. GPC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RHA content (350, 375 and $400kg/m^3$), the molarity of the NaOH (8, 12 and 16M). The specimens were cured at $27^{\circ}C$ and $90^{\circ}C$. GPC was activated using NaOH, $Na_2SiO_3$, and alccofine. Prepared GPC samples were tested for compressive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s after 3, 7 and 28 days. RHA was suitable to produce geopolymer concrete. Results indicate that behavior of GPC prepared with RHA is similar to fly ash based GPC. Workability and strength can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the alccofine. Further, alccofine and heat curing improve the early age properties of the GPC. Heat curing is responsible for the initial polymerization of GPC which leads to high workability an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PC. High strength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high concentration alkaline solution in terms of molarity and at elevated heat curing. Further, RHA based geopolymer concrete has tremendous potential as a substitute for ordinary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