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netobacter baumannii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43초

One-Step Engineering of a Stable, Selectable Marker-Free Autoluminescent Acinetobacter baumannii for Rapid Continuous Assessment of Drug Activity

  • Jiang, Huofeng;Gao, Yamin;Zeng, Sheng;Wang, Shuai;Cao, Zhizhong;Tan, Yaoju;Yin, Huancai;Liu, Jianxiong;Zhang, Tian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88-1493
    • /
    • 2019
  • The rising cases of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b) and the lack of effective drugs call for quick attention. Here, based on a Tn7 transposon and Xer/dif system, we constructed a stable, selectable marker-free autoluminescent Ab capable of producing visible light without extra substrates. Utilization of this autoluminescent reporter strain has the potential to reduce the time, effort and costs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activities of anti-Ab drug candidates in vitro.

객담에서 Carbapenem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가 동정된 중환자실 환자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with Carbapenem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d from Sputum)

  • 이성원;조희숙;김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2호
    • /
    • pp.228-234
    • /
    • 2006
  • 연구배경 : A. baumannii는 중환자실내의 원내감염의 중요 원인균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원내 폐렴, 요로 감염증, 균혈증 등을 일으킨다. 현재 이 균의 다약제 내성이 문제되고 있으며 특히 carbapenem에 내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환자의 객담에서 배양된 A. baumannii 중 carbapenem 내성군과 감수성군 두 군으로 나누어 위험인자를 알아보고 임상적 특징을 비교 및 분석하는 것이다. 방 법 : 2003년 1월 1일부터 2003년 12월 31일까지 강원대학교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들 중 객담 배양 검사상 A. baumannii가 한 번이라도 검출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챠트 기록을 통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위험인자로 연령, 성별, APACHE II score, 동반질환, 사용한 항생제, 재원기간, 중환자실 재원기간,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인공호흡기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 과 : 총 49명으로 A. baumannii에 대한 carbapenem 감수성군은 23명 내성군은 26명이었다. 단일변량분석에서는 신장 질환, 이전의 aminoglycoside 및 carbapenem 사용력이 통계적인 의미를 보였고 다변량분석에서는 이전의 aminoglycoside 사용력은 carbapenem 내성과 음의 상관관계를(p=0.026; OR, 0.18; CI, 0.04 to 0.82), 이전의 carbapenem 사용력은 carbapenem 내성과 양의 상관관계를(p=0.024; OR, 8.17; CI 1.32 to 50.68) 보여주었다. 사망률에서는 양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0 vs 42%, P=0.39). 결 론 : Carbapenem 내성 A. baumannii의 발생의 위험인자로 이전의 aminoglycoside와 carbapenem 사용력이 있으며 carbapenem 사용 시 A. baumannii의 carbapenem 내성정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Carbapenem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로 인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환아에서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 과 Colistin 항균제 병합요법의 치료적 예후: 예비 연구 (Outcome of High Dose AmpicillinSulbactam and Colisti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aused by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 Pilot Study)

  • 정성희;김영아;최고은;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45-52
    • /
    • 2020
  • 목적: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에 의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의 치료에 있어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의 병합요법 치료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방법: 2017년도 6월부터 2018년도 8월까지 17명의 CRAB VAP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0명(58.8%)의 환자는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 병합요법(병합치료군)으로 치료받았으며, 나머지 7명은 colistin 단독치료를 하였거나 colistin을 포함 또는 미포함하는 다양한 항균제의 병합치료(기타치료군)를 하였다. 본 연구는 두 그룹간의 임상 및 세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병합치료군에서 항균제 사용 후 발열기간은 1.30±1.70일이었고, 기타치료군에서는 1.71±1.49일이었다. 기관내관 흡인물 검체에서 균이 음전 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병합치료군에서 3.40±1.71일 기타치료군에서 11.80±8.86일이었다(P=0.030). 항균제 치료 30일 이내 사망률은 병합치료균에서 1/10 (10%)이고 기타치료군에서 3/7 (42.9%)이었다. 결론: 소아의 CRAB에 의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환자에서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의 병합요법이 임상적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객담에서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가 동정된 중환자실 환자에서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are of ICU Patients with Sputum Culture positive for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지현;천석철;정선혜;편래현;장문주;이용구;홍성관;홍성근;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6호
    • /
    • pp.579-588
    • /
    • 2003
  • 연구배경 : 원내 폐폄은 중환자실에서 가장 흔한 원내 감염이다. 특히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의 빈도도 증가되고 있으나 이에 의한 원내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예후에 대해서는 보고가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저자들은 중환자실에서 객담 배양 검사상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가 검출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CPIS)가 6점을 초과한 군과 6점 이하인 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간의 임상 양상 및 예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l일 부터 2002년 7월 31일 까지 포천 중문 의대 분당 차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환자 중에서 객담 배양 검사상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가 검출되면서 임상적으로 폐렴이 의심된 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군 중 CPIS 6점 초과 군은 19명, 6점 이하 군은 24명 이었고, CPIS 6점 초과 군의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 ($71{\pm}11$ vs $61{\pm}19$, p=0.046). 중환자실 입원일과 객담 검체가 채취된 날의 APACHE II score는 두번 모두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17.4{\pm}5.7$ vs $18.5{\pm}6.1$, p=0.553; $20{\pm}6$ vs $17{\pm}8$, p=0.078). 그러나 사망률은 CPIS 6점 초과 군에서 73.7%(14/19), CPIS 6점 이하 군에서 16.7%(4/24)로 CPIS 6점 초과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1) 결 론 : 중환자실에서 임상적으로 폐렴이 의심된 환자에서 객담 배양 검사상 Multi-drug resistant A. baumannii가 검출 되었을 때 CPIS가 6점을 초과할 경우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분리된 Acinetobacter baumannii의 Integron과 연관된 다제내성 분석 (Analysis of Integron-Associated Multi-Drug Resistance of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d in Korea)

  • 김성환;최지혜;박은진;서인원;손승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03-307
    • /
    • 2010
  • 임상분리 균주인 A. baumannii 1625는 imipenem (carbapenem 계열)을 포함한 대부분의 ${\beta}$-lactam계열의 항생제들과 kanamycin, gentamicin, tobramycin 및 제 3세대와 4세대 cephalosporin 계열의 항생제들에 광범위한 내성을 나타내었고, 한국에서는 드문 IMP-1형 metallo-${\beta}$-lactamase (MBL)를 생성하는 균주임이 확인되었다. A. baumannii 1625는 약 2.5 kb 크기의 class 1 integron을 갖고 있었으며, 이 integron내에 aminoglycoside계열 내성 유전자인 accA4, carbapenem 계열 내성 유전자인 $bla_{IMP-1}$, 광범위한 ${\beta}$-lactam 내성 유전자인 $bla_{OXA-2}$ 유전자 cassette들이 차례대로 위치해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IMP-1형과 OXA-2형 ${\beta}$-lactamase의 유전자를 같은 integron내에 동시에 갖는 새로운 배열 및 구조로서 이전에 국내에서 보고된 바 없는 것이다. 이 2.5 kb 크기의 integron을 항생제 내성이 없는 E. coli에 형질전환 시켰을 때, imipenem, ampicillin, piperacillin, cefazolin, cefoperazone, aztreonam 등의 항생제들에 대하여 8배 이상 증가된 내성정도를 보였다. 이는 A. baumannii 1625의 integron이 다제내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일기관 내 소아에서 Acinetobacter baumannii 의 감염현황의 분석 (Current Analysis of Acintobacter baumannii Infection among Pediatric Patients in a Single-centered Study)

  • 박혜진;김정민;김기환;김동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1호
    • /
    • pp.23-30
    • /
    • 2011
  • 목 적 : A. baumannii는 원내 감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다양한 감염증을 일으키고 있으며, 다양한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다약제 및 범약제 내성도 점차 증가하고 있어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소아에서의 A. baumannii 감염 현황 및 내성 발생 현황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치료 하였던 19세 이하의 소아환자 중 A. baumannii가 동정된 환자 505명, 680례에 대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다약제 내성은 3가지 이상의 항생제 그룹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거나 carbapenem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경우로 정의하였고, 범약제 내성은 세브란스 병원에서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낼 경우로 정의 하였다. A. baumannii의 감염빈도 및 항생제 내성 발생 현황의 연도별 추이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재원장소, 항생제 사용 유무, 기계 호흡유무 등에 따른 감염빈도 및 다약제, 범약제 내성 발생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이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 t-검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결 과 : A. baumannii 가 동정된 환자들의 기저질환은 혈액종양성 질환, 신경계 질환이 각각 208례(30.6%), 165례(24.3%)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소모성 질환이 많았다. 객담과 소변검체에서 많이 동정되었다. A. baumanii의 검출 빈도는 항생제를 사용하였던 환자들에서 78.1%로, 사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더 높았다. 다약제 내성 및 범약제 내성 A. baumannii의 발생빈도는 중 환자실 재원의 경우 각각 76.4%, 38.3%였고, 기계호흡을 하였던 경우 76.8%와 38.9%로 일반병실 재원 환자 및 기계호흡을 하지 않았던 환자보다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연도별 발생추이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증가 하다가 2005년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증가하여 2008년에는 다약제 내성균주가 63.5%, 범약제 내성균주가 48.2%에 이르렀다.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는 모든계열의 항생제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2008년에는 모든계열의 항생제가 50% 이상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항생제 내성은 중환자실 재원여부, 항생제 사용 및 기계호흡 여부와 상관하여 증가하였다(P <0.0001). 결 론:소아에서의 다약제내성, 범약제내성 A. baumannii의 증가는 항생제 과다사용 및 내성 균주의 전파 때문으로 생각되며, 철저한 환경관리가 A. baumannii 감염으로의 이환 및 내성 균주 발생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Outbreaks of Imi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Producing Carbapenemases in Korea

  • Jeong Seok-Hoon;Bae Il-Kwon;Park Kwang-Ok;An Young-Jun;Sohn Seung-Ghyu;Jang Seon-Ju;Sung Kwang-Hoon;Yang Ki-Suk;Lee Kyung-Won;Young Dong-Eun;Lee Sa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4권4호
    • /
    • pp.423-431
    • /
    • 2006
  • Among 53 Acinetobacter baumannii isolates collected in 2004, nine imipenem-resistant isolates were obtained from clinical specimens taken from patients hospitalized in Busan, Korea. Nine carbapenemase-producing isolates were further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mechanisms underlying resistance. These isolates were then analyzed via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microbiological tests of carbapenemase activity, pI determination, transconjugation test, enterobacterial repetitive consensus (ERIC)-PCR, and DNA sequencing. One outbreak involved seven cases of infection by A. baumannii producing OXA-23 ${\beta}-lactamase$, and was found to have been caused by a single ERIC-PCR clon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ther outbreak involved two cases of infection by A. baumannii producing IMP-1 ${\beta}-lactamase$. The two clones, one from each of the outbreaks, were characterized via a modified cloverleaf synergy test and an EDTA-disk synergy test. The isoelectric focusing of the crude bacterial extracts detected nitrocefin-positive bands with pI values of 6.65 (OXA-23) and 9.0 (IMP-1). The PCR ampl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mplicons via direct sequencing showed that the clonal isolates harbored $bla_{IMP-1}$ or $bla_{oxA-23}$ determinants. The two clones were characterized by a multidrug resistance phenotype that remained unaltered throughout the outbreak. This resistance encompassed penicillins, extended-spectrum cephalosporins, carbapenems, monobactams, and aminoglycosides. These results appear to show that the imipenem resistance observed among nine Korean A. baumannii isolates could be attributed to the spread of an IMP-lor OXA-23-producing clone. Our microbiological test of carbapenemase activity is a simple method for the screening of clinical isolates producing class D carbapenemase and/or class B $metallo-{\beta}-lactamase$, in order both to determine their clinical impact and to prevent further spread.

Prevalence, speci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Acinetobacter in surgical practice and laboratory dog husbandry room environments

  • Nakbubpa, Kulchai;Janchawna, Ratchadaporn;Thumchop, Wanatchaporn;Panboonthong, Ailisa;Pornsukarom, Suchawan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26.1-26.8
    • /
    • 2021
  • Acinetobacter is a bacteria found in the environment and clinical specimens, causing nosocomial infection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AMR) threats.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species, and AMR characteristics of Acinetobacter isolated from surgical practice and the laboratory dog husbandry room environments (n = 235) at Rajamangala University of Technology Tawan-ok veterinary hospital during 2018-2019. The prevalence of Acinetobacter in the laboratory dog husbandry room and veterinary belongings were 2.55% and 0.43%, respectively. Species determination was Acinetobacter hemolyticus (2.13%) and Acinetobacter baumannii (0.43%) from environments in the laboratory dog husbandry room, and Acinetobacter junii (0.43%) from the shoes used in the surgical practice room. AMR was observed in both study environments and the specimens sent to the Veterinary Diagnostic Center. These isolates had a high resistant percentage to amoxicillin-clavulanic acid (84.62%),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61.54%), and cephalexin (53.85%) but were susceptible to imipenem. Compared to the isolates recovered from the clinical specimens, most isolates derived from environments exhibited multidrug resistance and shared correlated resistance pattern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sanitization in the dog husbandry room. Furthermore, the AMR results can be used as a preliminary baseline for studying AMR Acinetobacter contamination in animals and their environments.

영상의학과 검사실의 감염 실태 (The Pathology of Infection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 신성규;이효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3호
    • /
    • pp.211-218
    • /
    • 2012
  • 부산광역시내 일개 대학병원의 영상의학과를 대상으로 환자와 접촉이 빈번한 검사장비의 세균오염도를 파악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입원환자 검사실의 소독 실시 전에는 MRSA, VRE, Acinetobacter baumannii,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sp.가 검출되었다. 소독 후에는 균이 완전히 사멸되었다. 검사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검출되는 균이 많아졌으며 7시간 후에는 Bacillus sp.(GPR), CNS, Acinetobacter baumannii, Enterococcus sp.가 검출되었다. 감염환자 검사 후에는 Bacillus sp.(GPR), VRE, Enterococcus sp. CNS, Micrococcus sp.가 검출되었고 방사선사 손에서는 CNS, Enterococcus sp.와 Escherichia coli, Enterobacter sp.가 검출되었다. 각 검사실별로는 앞서 검출되었던 균종들과 비슷하였으나 이동검사장비의 손잡이와 대기실 의자에서 Pseudomonas aeruginosa가 검출되었다. 따라서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접촉이 빈번한 검사장비의 정기적인 소독과 감염환자 검사 후에는 즉시 소독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철저한 손 씻기 수행과 영상의학과 특성에 맞는 감염교육과 관리를 통해 감염 예방을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